프란츠 카프카 지음 | 펭귄클래식코리아(웅진) 펴냄

성

이 책을 읽은 사람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13,000원 10% 11,70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두꺼운 책

출간일

2008.5.26

페이지

480쪽

상세 정보

카프카의 유고로 발표된 미완성 소설. 절대적 관료주의의 상징인 성을 배경으로 주인공 K의 부조리하고 엉클어진 세계를 보여준다. 지극히 사실적인 기법으로 관념세계의 상징인 인간존재의 정체와 그 실상을 파헤쳤다. 소설은 예언과 종교적인 측면에서 단테의 작품에 비유되었고, 철학적인 면에서는 실존주의로 해석되었으며, 기법 상으로는 특이하고 완벽한 상징법의 전범으로 받아들여졌다.

K는 어디에서도 원치 않는 토지 측량사. 또한 어디에도 소속되지 않은 채 불안정한 삶을 이어가고 있다. 그의 삶은 항상 확실성과 불확실성, 희망과 불안, 이성과 비이성 등의 부조리함 속에 놓여 있고. 모호하게 뒤엉킨 세계에서 벌어지는 그의 내적 투쟁은 존재의 본질에 관한 불가해한 진실을 밝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K는 끝내 성에서 인정받지 못하고 마을에서는 어느 누구도 그를 받아들이지 않는다.

상세 정보 더보기

추천 게시물

이정훈님의 프로필 이미지

이정훈

@atos111

  • 이정훈님의 어항을 깨고, 바다로 간다 게시물 이미지

어항을 깨고, 바다로 간다

김예지 지음
사이드웨이 펴냄

읽었어요
22분 전
0
임영신님의 프로필 이미지

임영신

@imyoungsin

살아오면서 상처를 받은 사람들에게 위로와 해결책을 제시해주고 고통에서 벗어나게 해주는 치료사의 이야기이다.누구나 살아오면서 적어도 한가지의 고민 거리와 상처는 가지고 있을것이다.그것을 치유하지 못하고 마음속에 품고 살다보면 다른일에도 영향을 미치게되고 앞으로의 삶에 큰 걸림돌이 될것이다.하지만 그것을 치유하고 나아간다면 새로운 일을함에 있어서 걸림돌없이 자기 마음껏 할 수 있을것이다.전문가와 상담을 하거나,친구와 공유 하거나,가족과 함께 나누거나,아니면 책 이나 다른것으로 간접적인 치유 방법을 찾거나 어떤 방법으로든 상처를 치유하면서 살아야만 행복한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다.

치유를 파는 찻집

모리사와 아키오 지음
북플라자 펴냄

31분 전
0
그램님의 프로필 이미지

그램

@geuraem

한국은 일제시대와 한국전쟁을 지나며 타자화를 내재화하고, 미국에 대한 일방적인 신뢰, 인종주의까지 그대로 학습하고 빠른 경제성장으로 한국보다 못사는 나라들에대한 혐오를 가지게되었다

한 번은 불러보았다

정회옥 지음
위즈덤하우스 펴냄

33분 전
0

이런 모임은 어때요?

집으로 대여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카프카의 유고로 발표된 미완성 소설. 절대적 관료주의의 상징인 성을 배경으로 주인공 K의 부조리하고 엉클어진 세계를 보여준다. 지극히 사실적인 기법으로 관념세계의 상징인 인간존재의 정체와 그 실상을 파헤쳤다. 소설은 예언과 종교적인 측면에서 단테의 작품에 비유되었고, 철학적인 면에서는 실존주의로 해석되었으며, 기법 상으로는 특이하고 완벽한 상징법의 전범으로 받아들여졌다.

K는 어디에서도 원치 않는 토지 측량사. 또한 어디에도 소속되지 않은 채 불안정한 삶을 이어가고 있다. 그의 삶은 항상 확실성과 불확실성, 희망과 불안, 이성과 비이성 등의 부조리함 속에 놓여 있고. 모호하게 뒤엉킨 세계에서 벌어지는 그의 내적 투쟁은 존재의 본질에 관한 불가해한 진실을 밝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K는 끝내 성에서 인정받지 못하고 마을에서는 어느 누구도 그를 받아들이지 않는다.

출판사 책 소개

현대인의 정신상황을 정밀하게 기록하는 지진계
20세기 문학의 최고봉 카프카의 ‘파우스트’

카프카는 소설의 아직 알려지지 않은 가능성을 발견했다. - 밀란 쿤데라
카프카는 아마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작가일 것이다. - J. G. 발라드
『성』을 읽을 때마다 그 안에서 새로운 것을 발견하게 된다. - 선데이 타임스

제2차 대전이 끝난 뒤 카프카의 작품은 예언과 종교적인 측면에서 단테의 작품에 비유되었고, 철학적인 면에서는 실존주의로 해석되었으며, 기법상 비유의 차원에서는 특이하고 완벽한 상징법의 전범으로 받아들여졌다. 『성』은 카프카의 정신세계를 그대로 반영한 작품으로, 마르셀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제임스 조이스의 『율리시스』와 아울러 20세기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카프카의 모더니즘은 문학형식상의 근대주의에서 완전히 벗어나 있다. 그리하여 그의 작품은 후기구조주의의 해체주의적 글 읽기에 있어 모범적 범례가 되어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논의의 문맥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기도 한다. 또한 카프카는 『성』에서 개인의 삶 자체가 정치임을 보여 주고자 했다. 그는 작품을 통해 역사와 세계에서 고립된 개인의 실존적 고통, 즉 근본적으로 비정치적이거나 혹은 반정치적인 삶을 그리려는 것이 아니었다. 그와 반대로 『성』에서는 욕망과 권력의 관계에 대한 천착이 더욱 강력하다. -「작품해설」에서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더 많은 글을 보고 싶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