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은 사람
1명
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18.12.26
페이지
232쪽
상세 정보
시대가 변했고 환경이 변한 만큼 아이들을 지도하고 훈육하는 방법 또한 변해야 한다. ‘회복적 생활지도’는 인간에 대한 존엄성을 일깨워주고, 상대의 마음을 헤아려 그 상처를 품으려는 시도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문제 해결을 위해 빠른 결과를 얻어내려는 조급함은 잠시 접어두자. ‘회복적 생활교육’은 오해와 편견으로 가려져 있던 아이들의 참 모습, 갈등과 문제의 본질을 제대로 볼 수 있도록 도와준다. 교사 스스로 지쳐서 포기하려고 했던 일종의 타협이 ‘다시 도전해 보자!’는 용기로 바뀔 것이며, 불신의 눈으로 학교를 바라보았던 학부모의 마음도 믿음과 지지로 바뀔 것이다.
이 책을 언급한 게시물2
인천시부평역
@inchunsiboopyungyeok
회복적 생활교육을 위한 교실 상담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인천시부평역
@inchunsiboopyungyeok
회복적 생활교육을 위한 교실 상담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상세정보
시대가 변했고 환경이 변한 만큼 아이들을 지도하고 훈육하는 방법 또한 변해야 한다. ‘회복적 생활지도’는 인간에 대한 존엄성을 일깨워주고, 상대의 마음을 헤아려 그 상처를 품으려는 시도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문제 해결을 위해 빠른 결과를 얻어내려는 조급함은 잠시 접어두자. ‘회복적 생활교육’은 오해와 편견으로 가려져 있던 아이들의 참 모습, 갈등과 문제의 본질을 제대로 볼 수 있도록 도와준다. 교사 스스로 지쳐서 포기하려고 했던 일종의 타협이 ‘다시 도전해 보자!’는 용기로 바뀔 것이며, 불신의 눈으로 학교를 바라보았던 학부모의 마음도 믿음과 지지로 바뀔 것이다.
출판사 책 소개
* 교실은 여전히 아프다
아이들이 부대끼며 지내는 교실에서는 오늘도 많은 일들이 벌어진다. 교사는 해결하기 쉬운 일에서부터 해결이 어려운 문제에 이르기까지 늘 갈등과 상처, 사건사고의 중심에 서 있다. 학교폭력 문제, 대들고 반항하는 아이, 문제를 해결해야 할 교사의 내적 갈등, 교사를 불신하는 학부모 등 실제 교육 현장에서 나타나는 문제는 종류도 많고 상황도 다양하다.
문제를 접한 교사들의 처방은 제각각이며 해결 방법도 서로 다르다. 여기에 어설픈 전문가들의 문제해결 방법도 차고 넘친다. 그러나 해법은 여전히 모호하며 효과는 기대 이하일 경우가 많다. 교사 입장에서는 골치 아프고 신경 쓰이니까 문제를 조용히 덮으려 하거나 외면하고픈 유혹도 느낀다. 문제는 끊이지 않는 이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마땅한 방법이 없다는 것. 그래서 아이들은 아이들대로, 교사는 교사대로, 학부모는 학부모대로 갈등과 상처의 악순환을 반복한다.
* 회복적 생활교육으로의 접근
교실 안팎에서 발생한 사건사고, 갈등, 상처들을 일차적으로 접하고 치유하는 건 온전히 교사의 몫이다. 그 과정에서 교사는 상처를 받기도, 좌절을 경험하기도 한다. 잘못 대처하면 난감한 상황에 빠지기도 한다. 때로는 ‘이런 지도와 훈계가 옳은가?’ 하는 의문이 생기기도 한다.
그렇다면 이제 기존의 방법은 과감히 잊자. 그리고 ‘회복적 생활교육’으로 문제들을 접근해 보자. 아이들을 향해 매를 들거나 화를 내는 대신, 차분히 마음을 열고 대화를 시도하려는 생각을 가져보자. 이것이 망가진 것들을 회복시켜주는 ‘회복적 생활교육’의 첫걸음이다.
교육 현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문제들은 학교와 교사가 어떻게 대응하고 해결하느냐에 따라 웃고 넘어갈 수 있는 에피소드가 되기도 하고, 되돌릴 수 없는 심각한 문제로 남기도 한다. 결국 지혜로운 선제적 대응 여부가 문제의 크기를 결정한다.
이 책에서 강조하는 ‘회복적 생활교육’은 지혜로운 선제적 대응 툴이다. 가령, 교실에서 다툼을 벌인 아이들이 있다고 해보자. ‘회복적 생활교육’은 기존의 방법들처럼 가해자만 가려 벌을 주고 책임을 지도록 강요하는 것이 아니다. 학교 공동체(선생님, 아이들, 학교 등)가 해당 문제에 관심을 갖고 가해자와 피해자가 모두 회복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것이다. ‘못됐다’, ‘버릇없다’, ‘어떤 벌이 적당할까?’라는 생각(응보적 관점)으로 아이를 대하면 문제가 반복될 뿐이다. 그 대신 ‘왜 그랬을까?’, ‘무슨 일이 있나?’, ‘어떻게 도와야 좋을까?’라는 마음(회복적 관점)으로 아이를 바라본다면 아이의 태도에 변화가 일어난다.
* 행복한 교실을 만들기 위한 회복적 생활교육 지침서
이 책은 학교 안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상황별 문제들에 대한 ‘회복적 접근’의 사례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요즘 아이들을 이해하기 위한 심리행동적 특성 소개와 함께 ADHD 학생 문제, 아이들의 성(性)과 욕설 문제, 학교폭력 문제, 아이들 간의 갈등 문제, 아이들의 가정사 문제, 학부모와 갈등하는 교사 문제까지 망라한다.
각 문제들을 대처해 나가기 위한 회복적 생활 교육의 방법론은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만나볼 수 있다. 책에서 제시하는 사례별 서클 활동과 진행 방법에 대한 사례는 학교 현장의 교사들에게 실질적인 해법을 제시한다. 지금이라도 회복적 생활교육에 대한 이해와 실천을 조금씩이라도 준비해 나간다면 학생과 교사, 학부모 모두가 행복해지는 일이 더 이상 먼 미래의 이야기만은 아닐 것이다.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