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공지영 지음 | 오픈하우스 펴냄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이 책을 읽은 사람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13,800원 10% 12,42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10.1.12

페이지

356쪽

이럴 때 추천!

불안할 때 , 외로울 때 , 에너지가 방전됐을 때 , 힐링이 필요할 때 읽으면 좋아요.

상세 정보

초판, 개정판으로 거의 20여년을 관통해 온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의 개정신판.페미니즘에 대한 문제 제기는 삶의 문제, 인생의 질곡으로 20여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도 여전히 불안 요소이다. 엄마들을 울렸던 문제는 그 딸들의 눈에서 또 다시 눈물을 뽑아내고자 버티고 있다. 그렇다는 것은 이 소설이 여전히 유효하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상세 정보 더보기

이 책을 언급한 게시물3

dye purple님의 프로필 이미지

dye purple

@dyepurple

별 거 아니란다. 정말 별거 아니란다! 그런 일은 앞으로도 수없이 일어난단다. 네가 빠져 있는 상황에서 한 발자국만 물러서서 바라보렴. 그러면 너는 알게 된다. 네가 지금 느끼는 건 그리 대단한 것도 아니고 울 일은 더더욱 아니고 그저 산다는 건 바보 같은 짓거리들의 반복인 줄을 알게 될 거란다. 자, 이제 울음을 그치고 물러서렴. 그 감정에서 단 한 발자국만, 그 밖을 향해서.
p.43

어른이 된다는 것은 어쩌면 웃고 싶지 않을 때도 웃어야 된다는 걸 자연스레 깨닫는 일인지도 모르니까 말이다.
p.228

막상 마주치고 보니 찬바람도 견딜 만했다. 언제나 생각이 훨씬 더 두려운 법이다. 마주치면 오히려 담담한 경우가 많으니까.
p.296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공지영 지음
오픈하우스 펴냄

2021년 11월 18일
0
사는게버거운정도님의 프로필 이미지

사는게버거운정도

@s071bqhxwhsn

그러니 세상의 모든 딸들, 건투를 빈다!
혼자서 가는 사람들이 많으면 실은,
함께 가는 길이다.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공지영 지음
오픈하우스 펴냄

2017년 10월 14일
0
달타르트님의 프로필 이미지

달타르트

@zclmzhzctndc

나는 강한 사람이 되겠다. 강인한 엄마, 아내 뭐 그런게 아니라 오직 나를 그 누구보다 이 세상에 단 하나, 내가 가장 사랑하는 나를 꿋꿋하게 지키는 강한 여자가 되겠다.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공지영 지음
오픈하우스 펴냄

2017년 9월 20일
0
집으로 대여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초판, 개정판으로 거의 20여년을 관통해 온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의 개정신판.페미니즘에 대한 문제 제기는 삶의 문제, 인생의 질곡으로 20여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도 여전히 불안 요소이다. 엄마들을 울렸던 문제는 그 딸들의 눈에서 또 다시 눈물을 뽑아내고자 버티고 있다. 그렇다는 것은 이 소설이 여전히 유효하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출판사 책 소개

왜 다시 <무소뿔>인가?
초판, 개정판, 개정신판으로 거의 20여년을 관통해 온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는 많은 이유에서 동시대적으로 여전히 유효하다. 우연인지 복고인지 시대적 상황이나 정치는 당시나 지금이나 별반 다름없는 실소이며, 페미니즘에 대한 문제 제기는 삶의 문제, 인생의 질곡으로 20여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도 여전히 불안 요소이다. 레퍼토리가 바뀔 이유는 별로 없다. 여자들은 여전히 말대꾸(?)를 하고, 남자들은 요컨대 아직도 “제발 말대꾸 없이 그냥 단 한 번 만이라도 알았다고 대답할 수 없냐”고 역성을 낸다. 싸움은 현재진행형이다. 돈만 있으면 사이좋게 동거가 가능할 것 같았던 일과 육아는 시간이 얼마가 흘러도 아직도 남자와 여자간의 사랑과 전쟁이다.

“소설 주인공인 혜완과 영선, 경혜가 대학을 다니던 때로부터는 30년 가까운 시간이 흘렀다. 이제는 그들의 딸들이 대학을 다니거나 또는 이미 졸업하고 일과 사랑이라는, 그 엄마들이 했던 것과 비슷한 고민을 하고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그 30년 사이에 엄마들과 딸들 앞에 놓인 고민의 내용과 강도는 얼마나 달라졌을까. 안타깝지만, 본질적으로는 거의 아무런 변화도 없다는 것이 나의 판단이다. 혜완들을 괴롭혔던 문제는 그 딸들에게도 여전히 심각하고 버거운 실존의 문제로 다가올 것이다. 근 30년 전 혜완들이 대학에서 이론적으로 ‘학습’했던 성적 평등은 현실로 몸을 바꾸기를 완강히 거부하고 있다. 엄마들을 울렸던 문제는 그 딸들의 눈에서 또 다시 눈물을 뽑아내고자 버티고 있다. 그렇다는 것은 이 소설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가 여전히 유효하다는 뜻이다.”

그렇기에 재차 발문에 수고해준 <한겨레> 문학전문기자 최재봉의 진단에 고개를 주억거린다. 그의 질문 마냥 “첫 출간 이후 20년 가까운 세월이 흘렀음에도 그 메시지와 울림이 여전한 효력을 지니고 있다는 것은 이 소설의 행운인가 불행인가?”를 물을 수밖에 없다. 당연히 “행운이자 동시에 불행”이라 해야 할 것이다. “시대의 불행을 자양분 삼아 잉태되고 또 존속하는 문학의 역설적인 행운을 이 소설은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문학사적 혹은 시대적, 그도 아니면 인간의 존재론적 성찰의 계기로서 다시 한 번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를 펼쳐야 하는 이유가 바로 그것이다.

작가의 당부를 응원삼아 건네는 일독의 작품
소설의 시대적 배경으로 산술하면 30년이 다 지나가는 현재, 작가는 그 시대 혜완과 영선, 경혜의 삶을 들여다봤던 우려만큼이나 이제는 다 자란 딸의 사회 진출을 걱정하며 밥을 한다. 아무리 생각해도 그다지 크게는 달라질 수 없는 ‘대한민국에서 여자로 산다는 것’에 대한 안쓰러움 때문일까. 씩씩하게 인턴 사원 첫 출근을 나서는 딸아이의 뒷모습은 묘하게 개정 신판 작가 후기를 쓰기 위한 용도로 출력해 놓은 이 책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와 오버랩된다. 그리고 여전히 먹먹한 이런 대화.

“가정과 일, 아이와 자아를 어떻게 조화시킬 수가 있을까, 엄마?”
“간단해.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고도 자신의 일을 하려면(잘 하는 것이 아니라 그냥 하려면) 누군가 뒤통수에 총을 겨누는 가운데 정해진 시간 내에 밥을 하고 택시를 타고도 늘 뛰어가고 있으면 돼.”
그러면 딸은 잠시 입을 뾰쭉 내밀었다가 대답한다.
“그러면 역시 가정과 일 둘 중의 하나를 택하라는 거야? 둘 다 가질 수 없다고? 난 그러면 일하고 싶어. 집에서 애만 보고 밥만 하는 건 싫어.”
그러면 나는 대답한다.
“하지만 그러고 난 후 내 나이가 되면 밀려드는 허무 때문에 너무도 깊은 늪에 빠져야 할 거야.”
딸은 젊은 내가 세상에 대해 그랬던 것처럼 버럭 화를 내며 묻는다.
“그러면 대체 어떻게 하라구?”
나는 대답한다.
“미안해 그건 선택이야, 오로지, 너만의.”

20여년 전 소설 속의 여자 주인공들과 나누었던 삶의 대화는 대상이 딸로 바뀌었을 뿐 지금도 실체는 불분명하다. 하지만 답 하나는 명료하다. 그 시절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했던 그 자각만큼이나 분명한 “오로지, 너만의 선택”을 작가는 독자들에게 세상의 모든 딸들에게 당부와 더불어 건투를 빈다. 이런 마무리로.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이 제목은 불경에서 내가 인용했고 나의 삶을 송두리째 바꿔버린 내 출세작의 제목이며 기쁨과 영광만큼 수많은 모욕과 슬픔을 가져다 준 구절이지만, 여전히 나를 혼란스럽게 만들고 있으며 또 그 혼란 중에도 등불처럼 내게 의지가 되어주는 이상한 것임을 다시 한 번 고백해둔다.

그러니 세상의 모든 딸들, 건투를 빈다!
혼자서 가는 사람들이 많으면 실은, 함께 가는 길이다.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더 많은 글을 보고 싶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