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은 사람
5명
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14.11.1
페이지
320쪽
상세 정보
시인이자 소설가, 에세이스트로 활동 중인 최영미의 장편소설. 저자의 두 번째 장편소설로 2013년 여름부터 1년 간 계간 「문학의오늘」에 연재한 글을 묶은 것이다. 1988년에 써놓았던 초고를 새롭게 정리하여 발표한 것으로 격동의 시대에 꽃다운 이십대를 보낸 386세대에게 바치는 헌사다. 이데올로기의 대립으로 뜨거웠던 80년대, 폭압적 정권에 맞서 싸우지도 못하고 뒤로 숨을 용기도 없었던 모두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홈커밍데이를 맞아 모교인 S대에 방문하게 된 이애린은 자신의 대학 시절을 떠올린다. 81년 4월, 선배들이 주는 술을 묵묵히 받아 마시며 파쇼, 광주, 투쟁과 같은 말들을 나누는 동안 애린은 명문대학에 다니는 딸을 자랑스러워하는 군인 출신 아버지, 열 아들 부럽지 않다면 자긍심을 느끼는 어머니로부터, 착한 딸과 착한 학생이고자 했던 자신으로부터 결별을 선언한다.
독재 권력에의 저항 의지는 있지만 용기는 없었던 그녀는 경계인(회색인)으로서 대학 생활을 영위해나가던 중 운동권 선배이자 정치학과 대학원생 동혁에게서 백마 탄 기사의 모습을 발견하고 학생 신분으로 결혼을 한다.
집안의 거센 반대를 무릅쓰고 애린은 그와 동거생활을 해나가지만 독재 정권에 맞서 싸웠던 동혁이 애린에게 가하는 신체적, 정신적 폭력은 독재자의 그것과 다르지 않았고 애린은 이혼을 하게 된다. 그 후 한 선배의 권유로 마르크스의 <자본>을 번역하는 역사적인 프로젝트에 합류하게 되는데….
상세정보
시인이자 소설가, 에세이스트로 활동 중인 최영미의 장편소설. 저자의 두 번째 장편소설로 2013년 여름부터 1년 간 계간 「문학의오늘」에 연재한 글을 묶은 것이다. 1988년에 써놓았던 초고를 새롭게 정리하여 발표한 것으로 격동의 시대에 꽃다운 이십대를 보낸 386세대에게 바치는 헌사다. 이데올로기의 대립으로 뜨거웠던 80년대, 폭압적 정권에 맞서 싸우지도 못하고 뒤로 숨을 용기도 없었던 모두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홈커밍데이를 맞아 모교인 S대에 방문하게 된 이애린은 자신의 대학 시절을 떠올린다. 81년 4월, 선배들이 주는 술을 묵묵히 받아 마시며 파쇼, 광주, 투쟁과 같은 말들을 나누는 동안 애린은 명문대학에 다니는 딸을 자랑스러워하는 군인 출신 아버지, 열 아들 부럽지 않다면 자긍심을 느끼는 어머니로부터, 착한 딸과 착한 학생이고자 했던 자신으로부터 결별을 선언한다.
독재 권력에의 저항 의지는 있지만 용기는 없었던 그녀는 경계인(회색인)으로서 대학 생활을 영위해나가던 중 운동권 선배이자 정치학과 대학원생 동혁에게서 백마 탄 기사의 모습을 발견하고 학생 신분으로 결혼을 한다.
집안의 거센 반대를 무릅쓰고 애린은 그와 동거생활을 해나가지만 독재 정권에 맞서 싸웠던 동혁이 애린에게 가하는 신체적, 정신적 폭력은 독재자의 그것과 다르지 않았고 애린은 이혼을 하게 된다. 그 후 한 선배의 권유로 마르크스의 <자본>을 번역하는 역사적인 프로젝트에 합류하게 되는데….
출판사 책 소개
4월에 이미 우리는 5월의 냄새를 맡았다……
싱그러우며 황폐했던 젊은 날, 우리 모두의 이야기
시인 최영미가 26년 만에 완성한 청춘소설 《청동정원》 출간
“쇠와 살이 부딪치던 청동시대를 통과하며 어디에 있었든, 자신의 방으로 돌아오면 우리는 모두 개인이었습니다. 이애린의 이야기이지만, 그녀의 영혼에 각인된 흉터와 무늬를 그려내는 작업에 성공한다면 우리의 이야기가 될 것입니다.” _‘작가의 말’에서
시인이자 소설가, 에세이스트로 활발하게 활동 중인 작가 최영미의 장편소설 《청동정원》이 출간되었다. 1994년 한 해 동안 50만부 이상의 판매를 기록한 첫 시집 《서른, 잔치는 끝났다》로 화려하게 데뷔한 그는 이후 《꿈의 페달을 밟고》 《돼지들에게》 등의 시집과 산문집 《시대의 우울》 《화가의 우연한 시선》, 장편소설 《흉터와 무늬》 등을 펴내는 등 장르를 넘나드는 문학 활동을 펼쳐왔다. 그의 두 번째 장편소설 《청동정원》은 2013년 여름부터 1년 간 계간 《문학의오늘》에 연재한 글을 단행본으로 묶은 것이다. 군사 쿠데타에 맞서 민주화의 불꽃이 뜨겁게 타올랐던 80년대, 폭압적 정권에 맞서 싸울, 그렇다고 뒤로 숨을 용기도 없었던 ‘경계인의 초상’을 그려냈다. 제목으로 쓰인 ‘청동정원’은 쇠붙이로 무장한 전경들이 교정의 푸른 나무들과 겹쳐지는 풍경을 묘사한 표현으로, 쇠와 살이 부딪치던 시대의 분위기를 은유한다. 소설가의 눈, 시인의 가슴으로 그려낸 싱그러우며 황폐했던 젊은 날의 풍경이 작가의 섬세한 언어로 되살아난다. 단행본으로 출간하면서 작가는 퇴고 작업에 심혈을 기울였고, 서사 구조를 재구성하여 연재 당시와는 또 다른 감동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재 초 지면을 통해 작가는 이 소설의 초고를 1988년에 이미 써놓았다고 고백한 바 있다. 시인으로 이름을 알리기 훨씬 전이다. 그는 원고지 200장 남짓한 원고를 25년 동안 간직해왔다고 덧붙였다. 그동안 고치고 다시 쓰며 여러 개의 파일이 만들어졌다. 《문학의오늘》에 발표하기로 마음먹고 파일을 정리하는 데만 한 달 넘게 걸렸다. 작가에게 ‘80년대’라는 화두는 언젠가는 끝내야 할 숙제 같은 것이었다. 마침내 26년 만에 완성한 《청동정원》은 작가 최영미가 격동의 시대에 꽃다운 이십대를 보낸 386세대에 바치는 헌사다.
늘 다양한 콘텐츠로 독자를 만나왔던 은행나무는 이번 《청동정원》 출간을 기념해 《청동정원》 오디오북을 자체 제작해 선보일 예정이다. 아나운서와 배우로 활동 중인 임성민 씨의 목소리로 낭독되는 《청동정원》 오디오북은 소설의 일부를 담은 시디를 통해 초판에 한해 무료로 제공된다.
사랑과 혁명의 불꽃이 지나간 자리에서 돌아보다
유신의 위세가 삼엄하던 여학교에서 수업거부의 선봉에 섰던 내가, 뭘 해도 용인되던 ‘서울의 봄’에 캠퍼스의 순한 양으로 지낸 이유를…… 나를 이해하기 위해 이 소설을 쓴다. _본문에서
어느 날 홈커밍데이를 맞아 모교인 S대에 방문하게 된 이애린은 젊음의 열기, 활기로 가득한 교정을 둘러보며 자신의 대학 시절을 떠올린다. 관악산 유원지 입구에 자리 잡은 ‘강 건너’라는 주점이 추억의 물꼬를 튼다. 81년 4월, 선배들이 주는 술을 묵묵히 받아 마시며 파쇼, 광주, 투쟁과 같은 무시무시한 말들이 가슴으로 흘러드는 동안, 애린은 명문대학 다니는 딸을 자랑스러워하는 군인 출신 아버지, 열 아들 부럽지 않다며 자긍심을 느끼는 어머니로부터, 또한 착한 딸, 착한 학생이고자 했던 자신으로부터 결별을 선언한다. 그날 이후 그녀는 저녁 귀가가 늦어졌고 치마보다 바지를 즐겨 입게 되었고, 아버지의 권위에 도전하는 ‘나쁜 딸’이 되었고, 시위대에 섞여 한강을 건넜다.
소설은 애린의 70년대, 고등학교 시절로 거슬러올라간다. 공부 잘하고 집안의 기대를 한 몸에 받으며 자란 애린은 수업 거부 운동을 펼칠 정도로 반골 기질이 다분하지만, 대학에 가면 연애소설의 주인공처럼 운명적인 사랑을 하리라 꿈에 부풀어 있는 평범한 여고생이기도 하다.
80년 봄 대통령 사후 비상계엄령이 선포된 시국. S대 인문대에 입학한 애린은 잔디밭에 화인으로 새겨진 ‘자유 민주주의 만세’를 보고 의아해한다. 청바지와 통기타뿐일 것 같았던 현실의 대학 풍경이 그녀의 눈엔 너무나 살벌해 보인다. 애린은 예쁜 옷과 맛난 음식에 탐닉하고, ‘백마 탄 기사’를 기다리며 낭만적인 대학 생활을 꿈꾼다. 여학생들 중에 가장 키가 크고 눈에 띄는 미모를 가진 그녀는 곧 남학생들에게 여러 번 프러포즈를 받는다. 그러나 연애만 하기에, 사랑만 하기에 학교는 집회로, 시위로 연일 시끄럽다. 그러한 현장을 보고도 못 본 척 지내던 이듬해 어느 날, 그녀는 운동권 선배 언니들과 어울리게 되면서 자신의 주변에서 벌어지는 일들에 조금씩 관심을 갖게 된다. 이론적 지식이 없어 백치미, 라는 말을 들으면서도 뒤로 숨지 않았고, 독재 권력에의 저항 의지는 있지만 용기는 없었던 그녀는 경계인(회색인)으로서 대학 생활을 영위해간다.
그러던 중 그녀는 운동권 선배이자 정치학과 대학원생 동혁에게서 백마 탄 기사의 모습을 발견하고, 그의 매력에 빠져 학생 신분으로 결혼을 한다. 그러나 집안의 거센 반대를 무릅쓰고 하게 된 그와의 동거생활은 순탄치 못했다. 독재 정권에 맞서 싸웠던 동혁이 애린에게 가하는 신체적, 정신적 폭력이 독재자의 그것과 다르지 않아서였다. 결국 그녀는 수개월 만에 이혼하고, 한 선배의 권유로 마르크스의 《자본》을 번역하는 역사적인 프로젝트에 합류하게 되는데……
사랑과 혁명의 불꽃이 지나간 자리에서 돌아보는 자의 애수가 소설 전체를 관통하며 도도하게 흘러나온다.
쇠와 살이 부딪치던 청동시대를 통과하며 그 어디에 있었든……
데뷔 이후 20여 년 동안 작가 최영미가 유일하게 청탁을 거절해온 주제가 한 가지 있다. 바로 ‘80년대’다. 386세대 시인으로 알려진 작가에게 ‘80년대’는 몇 매 또는 몇십 매의 분량으로 할 수 있는 주제가 아니었다. 《청동정원》이 시가 아닌 소설로 쓰여진 것은 바로 그러한 이유에서다. 시로 못다 한 이야기를 소설로 풀어내고 싶었다는 게 작가의 집필 의도다.
작가는 소설에서 “스무 살의 자유는 축복이 아니라 재앙이었다”고 말하며 시대의 비극성과 함께 청춘의 아픔과 사랑, 절망을 섬세하고 생생한 언어로 그려낸다. 뜨겁게 치열하게 분노하지 못했던, 그럼에도 변혁을 꿈꾸며 이십대를 보낸 수많은 경계인들에게 작가는 이제 그만 부채감을 내려놓으라고 말하는 듯하다. 쇠와 살이 부딪치던 청동시대를 통과하며 그 어디에 있었든, 각자의 방으로 돌아오면 쓸쓸하고 불안한 개인일 수밖에 없었던 청춘들에게……
역사는 집단의 기억을, 문학은 개인의 기억을 다룬다. 역사보다는 문학이 더 깊게 시대를 드러낸다. 애린의 기억에 의해 《청동정원》에 새겨진 세계는 그로부터 삼십여 년이 지난 오늘날의 젊은 독자들에게도 너무나 익숙하다. 시대는 변했어도 세상은 달라지지 않았다. 싱그러운 청춘을 옭아매는 도구는 모습만 바꿨을 뿐 그 안에서 살아가는 이들의 삶은 여전히 황폐하고 고통스럽다. 그런 맥락에서 보면 《청동정원》은 어쩌면 지난 시대의 이야기가 아니라 바로 지금, 여기의 세태를 풍자한 소설일지도 모른다.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