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은 사람
5명
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두꺼운 책
출간일
2010.6.21
페이지
535쪽
상세 정보
한국을 대표하는 신화학자, 이화여대 중문과 정재서 교수의 <이야기 동양 신화> 개정판. <이야기 동양 신화>는 지금껏 잊혀진 중국 신화를 동양 문화의 원형으로 끌어올린 최초의 저서이자 서구 중심의 신화주의의 틀을 과감히 깨고 중국 신화를 동양인의 신화로 자리매김한 역작이다.
'산해경', '목천자전', '초사', '회남자' 등 중국 신화 고전을 철저히 고증하고 중국, 일본, 대만을 수차례 답사하여 오래된 신화 내용을 잘 구현한 자료를 총망라 수집한 600여 컷의 귀중하고 다채로운 동양 신화의 이미지가 화려하게 펼쳐진다. 이번 개정판에서는 본래 두 권으로 분리된 책을 한 권으로 통합하여 독자들이 한눈에 읽기 편하고, 기존에 차례의 순서가 뒤바뀌었던 것을 바로잡아 내용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전개되도록 하였다.
상세정보
한국을 대표하는 신화학자, 이화여대 중문과 정재서 교수의 <이야기 동양 신화> 개정판. <이야기 동양 신화>는 지금껏 잊혀진 중국 신화를 동양 문화의 원형으로 끌어올린 최초의 저서이자 서구 중심의 신화주의의 틀을 과감히 깨고 중국 신화를 동양인의 신화로 자리매김한 역작이다.
'산해경', '목천자전', '초사', '회남자' 등 중국 신화 고전을 철저히 고증하고 중국, 일본, 대만을 수차례 답사하여 오래된 신화 내용을 잘 구현한 자료를 총망라 수집한 600여 컷의 귀중하고 다채로운 동양 신화의 이미지가 화려하게 펼쳐진다. 이번 개정판에서는 본래 두 권으로 분리된 책을 한 권으로 통합하여 독자들이 한눈에 읽기 편하고, 기존에 차례의 순서가 뒤바뀌었던 것을 바로잡아 내용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전개되도록 하였다.
출판사 책 소개
풍부하고 기발한 원형적 기억의 보물창고, 신과 인간, 자연이 하나였던
고대 동양의 신비하고 환상적인 신화 여행이 시작된다!
한국을 대표하는 신화학자, 이화여대 중문과 정재서 교수의 《이야기 동양 신화》 개정판이 출간되었다. 《이야기 동양 신화》는 지금껏 잊혀진 중국 신화를 동양 문화의 원형으로 끌어올린 최초의 저서이자 서구 중심의 신화주의의 틀을 과감히 깨고 중국 신화를 동양인의 신화로 자리매김한 역작이다. 《산해경》, 《목천자전》, 《초사》, 《회남자》 등 중국 신화 고전을 철저히 고증하고 중국, 일본, 대만을 수차례 답사하여 오래된 신화 내용을 잘 구현한 자료를 총망라 수집한 600여 컷의 귀중하고 다채로운 동양 신화의 이미지가 화려하게 펼쳐진다. 이번 개정판에서는 본래 두 권으로 분리된 책을 한 권으로 통합하여 독자들이 한눈에 읽기 편하고, 기존에 차례의 순서가 뒤바뀌었던 것을 바로잡아 내용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전개되도록 하여 편집과 구성에 더욱 완벽을 기하였다.
웅숭깊은 해석, 장대하고 웅장한 상상력의 바다와 끊임없이 펼쳐진 이야기의 세계!
동양 신화에 대한 폭발적인 관심을 불러일으킨 《이야기 동양 신화》 개정판!
정재서 교수는 중국 신화를 오리엔탈리즘과 중화주의라는 두 가지 편견에서 벗어나 제3의 시각에서 볼 것을 제안, 오랫동안 중국 신화의 상호 텍스트성을 연구, 중국 신화를 해체해 동양 신화적 시각에서 다시 읽기를 시도해 왔다. 《이야기 동양 신화》는 30여 년에 가까운 저자의 이러한 노력의 결정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스 로마 신화와 《반지의 제왕》, 《해리 포터》 시리즈 등 서양 신화를 토대로 한 마법담과 이야기가 유행하고, 이에 따라 우리들의 상상력도 편식의 수준을 넘어 획일화되어 간다는 우려 속에서 구상된 이 책은 애초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동양적 상상력이란 무엇인가, 동양인의 마음과 행동의 근원은 무엇인가라는 물음을 따라 고대 동양의 정신세계를 여행해 보는 든든한 고전으로 자리매김한 것이다. 우리는 과연 어디서 왔다가 어디로 가는가? 동양인 또는 한국인으로서 우리의 정체는 무엇인가? 우리의 상상력은 과연 자유로운가?와 같이 동양인의 존재와 사유의 뿌리를 탐구하고자 하는 독자들을 위해 중국 신화의 웅장하고 장대한 세계, 기발하고 풍부한 상상력의 세계를 536쪽에 걸쳐 쉽고 재미있게 펼쳐 놓았다. 서양 신화만이 유행하던 시대에 동양 신화의 아름다움과 흥미로움을 만끽하게 하고 잃어버린 우리의 상상력을 재발견했다는 평가가 아깝지 않을 만큼 소중하고 값진 저작이라 할 수 있다.
1만 8천 년의 긴 잠에서 깨어난 거인 반고, 흙을 빚어 인간과 만물을 만든 창조의 여신 여와, 지상 낙원 곤륜산에 살며 천상천하를 호령한 황제, 불사약을 지닌 아름다운 여신 서왕모, 열 개의 태양을 쏘아 떨어뜨린 천하 명궁 예, 서쪽의 낙원을 찾아 떠난 주목왕 이야기 등 총 11부에 걸쳐 펼쳐지는 신들의 이야기들, 우리가 지금껏 알지 못했던 고대 중국 신화 속에서 한국 문화의 뿌리를 발견하는 일은 그 자체로 놀랍고도 감격스러운 일이다. 읽고 있는 동안 고조선, 동방예의지국, 고구려 고분벽화, 백두산 등의 신화적 유래를 비롯해, 우리 문화 속에 담긴 상징의 수수께끼들이 저절로 풀린다.
중국 신화 속에서 한국 문화의 근원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 것은 동양 신화에 대한 저자의 각별한 애정 때문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두 가지 시도를 하는데, 첫째는 중국 신화의 의미를 설명하고, 그리스 로마 신화 등 서양 신화와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드러내 보인 것이다. 이것은 그리스 로마 신화에 부여된 표준으로서의 지위를 해체하고 중국 신화의 정체성을 분명히 하기 위해서이다. 둘째는 중국 신화를 한국 신화와 비교하고 후대의 중국 문화 및 한국 문화와의 상관관계를 밀도 있게 다룬 것이다. 중국 신화를 중국의 전유물로 보지 않고 동양 신화의 입장에서 조망하고자 했던 저자의 노력 덕분에 중국 신화의 풍부하고 독특한 상상력, 동양 문화의 원천으로서의 가치, 한국 문화와의 깊은 상관성, 그리스 로마 신화와 공통점을 지니면서도 구분되는 신화의 세계 등을 발견하는 감동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
좀 더 쉽고 흥미로운 대중적인 신화 책에 대한 필요성과 그리스 로마 신화 등 서양 신화의 범람에 대한 우리 상상력의 위기 의식, 우리 입장에서 쓰인 읽을 만한 동양 신화 책이 전무한 현실, 원가의 《중국 신화 전설 1, 2》, 이토 세이지의 《중국의 신화와 전설》 등 잘 알려진 저서들이 중화주의적 신화관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있다는 한계에 대한 인식에서 탄생한 이 책의 가치는 6년의 시간이 흐른 지금도 여전히 빛을 발한다.
특히 우리의 관점에서 중국 신화를 다시 쓰는 일은 중국 고대 문화를 다시 쓰는 일이며, 한국 문화를 새롭게 인식하는 일이다. 《이야기 동양 신화》는 주변 문화 및 다원주의적 입장에서 중국 신화와 한국 문화의 상관성을 시종일관 지켜냄으로써, 우리 문화 속에서 동양 신화의 가치를 새롭게 깨닫게 할 뿐만 아니라, 동양 신화라는 우리 문화의 자산과 뿌리를 확인하는 소중하고 값진 시간을 선사한다.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