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아는 것’에서부터 역산해 논리적인 글을 쓰는 방법
먼저 ‘안다’는 것의 본질을 이해하라
‘단기 기억 저장고’와 ‘장기 기억 저장고’
왜 이해할 수 없는 글을 쓰는가?
입력정보의 동화·조정
사람은 이래서 ‘알기가 어렵다’고 느낀다
멘탈모델과 마음의 세계
‘알기가 어렵다’고 느끼는 또 하나의 이유
1장 논리적인 문장이란?
SECTION 1 알고 싶은 수준에 맞추어 정보를 제공하라
SECTION 2 전달효율이 우선이다
SECTION 3 핵심이 인상에 남는 것도 중요하다
SECTION 4 비즈니스문은 즐기기 위한 글과는 다르다
SECTION 5 글쓰기는 배우지 않으면 숙달되지 않는다
SECTION 6 글의 질은 구성에 의해 결정된다
SECTION 7 전개될 내용을 짐작할 수 있으면 이해가 쉽다
SECTION 8 ‘강조위치’를 활용해야 논리가 산다
2장 전체 구성을 만든다
SECTION 9 첫머리에 목적과 요약을 써라
SECTION 10 논리적인 글은 총론·각론·결론으로 구성하라
SECTION 11 유익한 정보를 선택하라
SECTION 12 중요도에 따라 정보의 순위를 매겨라
SECTION 13 정보를 명확하게 연결하라
3장 계층구조로 전개한다
SECTION 14 총론과 각론의 전개를 일치시켜라
SECTION 15 3을 기준으로 구성하라
SECTION 16 계층 내에서는 동종의 정보로 구성하라
SECTION 17 각 계층의 서두에는 총론을 써라
SECTION 18 정보를 대응시켜라
4장 단락으로 전개한다
SECTION 19 하나의 단락에는 하나의 토픽만 할당하라
SECTION 20 단락의 형식을 지켜라
SECTION 21 단락의 서두에 주제문을 써라
SECTION 22 단락은 복수의 문장으로 구성하라
SECTION 23 단락의 끝에서도 강조하라
5장 문장으로 정리한다
SECTION 24 오래된 정보를 문두에 놓아라
SECTION 25 같은 것을 같은 형태로 나열하라
SECTION 26 한 문장에서는 한 가지 토픽만 말하라
SECTION 27 정보에 주종관계를 설정하라
SECTION 28 문장과 문장의 관계를 명확히 하라
SECTION 29 키워드를 주어로 하라
6장 문장을 퇴고한다
SECTION 30 단언하기를 주저하지 마라
SECTION 31 간결하게 표현하라
SECTION 32 긍정으로 표현하라
Column 9 정보의 흐름을 만들기는 영어가 더 쉽다
SECTION 33 구체적인 단어를 사용하라
SECTION 34 용어는 통일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