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내며
프롤로그 글쓰기와 꿈: 글쓰기의 꿈은 어떻게 이루어지나?
꿈은, 이루어진다 │타르코프스키 감독의 「잠입자」 │성철, 몽중일여 │어떤 선승 이야기 │정직과 자유의 시인, 김수영 │도덕적 정직과 실질적 정직│실질적 정직과 산문적 글쓰기 │전태일, 타락한 정신 │전념 │꿈은, 이미 이루어졌다
1 글쓰기란 무엇인가: 글쓰기란 자신의 느낌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것이다
글쓰기란, ‘자신의 느낌’을 표현하는 것이다│글쓰기란, ‘솔직하게 표현’하는 것이다
2 글쓰기의 입구, 씨앗 문장과 씨앗 도서: 독서를 어떻게 할 것인가
고양이 우화 │글쓰기를 선택하는 세 가지 층위의 동기들 │나의 경우 │씨앗 문장 │사무사思無邪 │즐거운 필독, 1000권│줄탁동기 │읽다 지루하면 접어라 │씨앗 도서 지도 만들기 │뷔페식 독서 │열 권 이상 펼쳐 놓기 │집중력 높이기 │밑줄의 빈도와 공명의 강도 │묵상, 재독, 따라 쓰기, 변주, 암송 │운명적인 단 한 권의 책 │과정을 즐겨라
3 새로운 창작 강의를 꿈꾸며
습작생이 경험하는 일반적 과정 │지금·여기에서 창작하기 │질문을 자기 자신에게 던지기
4 언치와 언어적 감수성
대부분이 언치다 │소설가 지망생들조차 언치가 부지기수다 │언어적 감수성, 글쓰기의 필수요건 │언어 맛보기 │언어로 존재하기
5 일상언어와 출판언어
말재주와 글솜씨는 서로 비슷하면서 다르다 │일상언어와 출판언어 역시 같으면서 다르다 │차이는 사소하지만 울림은 크다
6 일상언어 탈주하기
일상언어를 경계하라 │관용구를 피하라
7 주인공 및 화자 되기
표현한 내용과 해석한 내용은 다를 수 있다 │표현한 내용과 표현된 내용은 같아야 한다 │주인공-되기 │‘주인공-되기’, ‘화자-되기’, ‘주인공 및 화자 되기’ │개성적 자아와 성찰적 자아 │‘주인공 및 화자 되기’의 또 다른 일례들 │문체 │개인적 감수성
8 다수언어와 창작언어
감수성이 무디어지면 다수언어가 된다 │상투적 문장과 평이한 기록문 │기성작가들의 창작언어 │창작언어, 소수자 되기
9 구현적 글쓰기: 실질적 사실을 보여 주기
전달 방식으로서의 구성 │스토리와 플롯│구현으로서의 글쓰기 │일관된 주제의식 │은유와 환유 │모티프 │강렬한 문제의식으로 글쓰기
10 단계별 글쓰기: 장르탐색
탐색과 모험으로서의 글쓰기 │장르 이전의 글쓰기 │낙서와 메모, 글쓰기의 시작 │하이쿠와 아포리즘, 그리고 시 │실질적 정직과 산문정신│사생글 │산문화 │산문 │에세이 │습작생 산문의 문제점 │낯설게 하기와 정직하게 하기 │서술 방식, 비유와 대구 │단락 만들기 │생활글 │서사적 글쓰기 │단락장 만들기 │소설 │글쓰기 기본훈련
에필로그 본질적 감수성
좌충우돌의 글쓰기 │호흡지간의 글쓰기 │개인적이면서 사무사한 글쓰기 │전도몽상의 연쇄작용 │본질적 감수성 │지금·여기에서의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