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학 연구방법의 차원에서 서구 미학이론의 역사를 조망한 미학 입문서다. 미학은 예술철학->예술학->비평철학으로 발전되어 왔음을 확인하고, 근대적 형태의 미학은 근대적 사고의 소산이라고 정리한다. <BR>
<BR>
그밖에도 '근대적 사고 이전에는 미학이론이 없었을까?' '또 근대적 사고 이후 미학이론은 어떤 형태로 발전되었을까?' 같은 질문을 던지고 이에 대한 답을 구하고 있다.
더보기
목차
1. 서구미학의 기본개념들
2. 미 : 그 말과 개념과 이론
3. 취미론으로부터 미적 태도론으로
4. 고대 예술의 두 개념
5. 예술의 근대적 체계와 개념
6. 상상력과 예술
7. 근대미학의 기원
8. 근대미학이 최종적인 귀결
9. 현재미학
10. 메를로 퐁티에 있어서의 예술과 철학
11. 비평철학에서 예술철학으로
12. 예술의 본질
13. 예술의 두 흐름과 "유희"의 개념
14. 미래의 예술과 새로운 인간상
더보기
저자 정보
오병남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및 동 대학교 대학원 미학과 졸업
미국 Univ. of Illinois at Chicago 대학원 박사과정
한국철학회 예술철학분과회 회장
한국미학회 회장
국제미학회 한국대표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
_주요저술
『인상주의 연구』(1999)
『미학강의』(2003)
『미학으로 읽는 미술』(2007)
『예술과 철학』(2011)
“예술의 개념과 정의의 문제”(1976)
“예술과 인간”(1981)
“예술가의 자유의 개념과 휴머니즘”(1988)
“비평철학으로부터 예술철학으로”(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