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연구와 문법 교육의 역사

허재영 지음 | 보고사 펴냄

우리말 연구와 문법 교육의 역사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16,000원 10% 15,20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08.8.29

페이지

335쪽

상세 정보

상세 정보 더보기

추천 게시물

뉸💕님의 프로필 이미지

뉸💕

@reading_nunn

  • 뉸💕님의 이상한 집 2 게시물 이미지

이상한 집 2

우케쓰 지음
리드비 펴냄

읽었어요
1분 전
0
Jiyeon Park님의 프로필 이미지

Jiyeon Park

@jiyeonpark

p.372-373 대다수 사람들에게 저녁은 하루 중 가장 즐거운 때라고 한 내 말동무의 말이 정말 옳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이제 뒤는 그만 돌아보고 좀 더 적극적인 시선으로 내 하루의 나머지 시간을 잘 활용해 보라고 한 그의 충고도 일리가 있는 것 같다. 하긴 그렇다. 언제까지나 뒤만 돌아보며 내 인생이 바랐던 대로 되지 않았다고 자책해 본들 무엇이 나오겠는가?

남아 있는 나날

가즈오 이시구로 (지은이), 송은경 (옮긴이) 지음
민음사 펴냄

읽었어요
26분 전
0
쿨쿨잠님의 프로필 이미지

쿨쿨잠

@sleeping_6

이렇게집중해서한이틀만에
다읽은책은 너무 오랜만이었음

긴키 지방의 어느 장소에 대하여

세스지 지음
반타 펴냄

1시간 전
0

이런 모임은 어때요?

집으로 대여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출판사 책 소개

엄밀한 의미에서 국어학사는 국어 연구사만을 포함해야 한다. 지금까지의 기술 태도를 확인해 보면, 첫째는 국어학사의 범위를 매우 넓게 잡아 '민중의 국어에 대한 의식의 변화'나 '표기법 발달','언어 정책'까지도 포함하여 기술하고자 하는 경우도 있다.
둘째는 국어학사의 기술 범주를 순전히 학술연구사로 국한시키는 태도로 이미 여러 학자들에 의하여 취해진 바 있다. 이러한 경향은 언어학사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언어학이 과학적인 학문으로 자리 잡기 시작한 시점은 18세기 중엽 이후로 볼 수 있다.
역사학에서는 이와 같은 기준 이외에도 사회 발전과 왕조사를 혼합하는 방법이나 지배 세력의 변화를 고려하는 방법 등이 널리 활용된다. 그러나 국어학사처럼 특정 영역의 발전 과정을 기술하기 위해서는 좀더 과학적인 기준이 고려되어야 한다.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더 많은 글을 보고 싶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