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은 사람
3명
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12.12.28
페이지
347쪽
이럴 때 추천!
에너지가 방전됐을 때 읽으면 좋아요.
상세 정보
인생의 목표를 찾아가는 이들에게
삶의 지혜와 양식을 주는 경서
만약 눈이 있어도 거울이라는 것이 없다면 얼굴에 숯검정이 묻어 있다하더라도 바로 다듬을 수가 없는 것처럼, 세상에 옛 성현의 도가 없게 되면 언행의 과실이 있어도 이것을 알 수 있는 정확한 방법이 없다. 학문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지금 당장은 입맛에 맞고 눈으로 아름다움을 추구하지만 진정 우리 삶에 필요한 자양분은 마음의 양식인 옛 성현의 경서이다. 삶의 정체성을 확보하고 내가 누구인지에 대한 주인의식을 한비자의 사상을 통해서 찾을 수 있다.
상세정보
만약 눈이 있어도 거울이라는 것이 없다면 얼굴에 숯검정이 묻어 있다하더라도 바로 다듬을 수가 없는 것처럼, 세상에 옛 성현의 도가 없게 되면 언행의 과실이 있어도 이것을 알 수 있는 정확한 방법이 없다. 학문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지금 당장은 입맛에 맞고 눈으로 아름다움을 추구하지만 진정 우리 삶에 필요한 자양분은 마음의 양식인 옛 성현의 경서이다. 삶의 정체성을 확보하고 내가 누구인지에 대한 주인의식을 한비자의 사상을 통해서 찾을 수 있다.
출판사 책 소개
옛날 사람들은 자기의 눈으로 남의 얼굴은 볼 수는 있었지만 자신의 얼굴은 볼 수 없었기 때문에 거울이라는 것을 만들어 그것으로 자기 얼굴을 보았다. 또 지혜가 있어 그것으로 남을 평가할 수 있었지만 자신의 지혜는 잘 알 수가 없었기 때문에 도라는 것으로 자기를 바르게 파악했다.
그러므로 거울에 얼굴을 비쳐보고 얼굴에 흉터가 있다는 것을 알았다 하더라도 거울에 죄가 있는 것이 아니며, 옛 성현의 도에 비쳐보고 자기의 과실을 알았다 하더라도 도를 원망할 수 없는 것이다.
만약 눈이 있어도 거울이라는 것이 없다면 얼굴에 숯검정이 묻어 있다하더라도 바로 다듬을 수가 없는 것처럼, 세상에 옛 성현의 도가 없게 되면 언행의 과실이 있어도 이것을 알 수 있는 정확한 방법이 없다.
학문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지금 당장은 입맛에 맞고 눈으로 아름다움을 추구하지만 진정 우리 삶에 필요한 자양분은 마음의 양식인 옛 성현의 경서이다.
삶의 정체성을 확보하고 내가 누구인지에 대한 주인의식을 한비자의 사상을 통해서 찾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