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시

김경주 외 1명 지음 | 안그라픽스 펴냄

16시 (일렉트릭 흑염소)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10,000원 10% 9,00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얇은 책

출간일

2015.8.10

페이지

16쪽

상세 정보

작가와 타이포그래퍼가 한 짝꿍을 이뤄 만드는 작품집 '16시' 시리즈. <일렉트릭 흑염소> 이 작업은 시인 김경주와 그래픽 디자이너 김바바가 진행하는 시와 타이포그래피의 연결 고리인 '활자극장' 운동의 하나이다. '활자극장'은 텍스트의 유기체적 운동에 관여하다.

<16시>에서는 열여섯 시간 동안 김경주가 컴퓨터 모니터를 켜놓고 작업한 내용을 '16시'라는 테마로 스위칭(switching)했다. 그 가운데에는 창작, 메모, 번역, 잡무 등 다양한 글쓰기의 광량이 흩어져 있다. 이 텍스트의 이물질은 김바바의 타이포그래피 작업에서 새로운 배치와 배합을 이루며 새로운 유기물이 되어간다. 이 작업은 키보드를 뛰어다니는 펭귄들의 라임으로 보아도 좋다.

상세 정보 더보기

추천 게시물

Limhyo님의 프로필 이미지

Limhyo

@limhyo

‘우리는 종종 예술이 아무것도 바꿀 수 없다는 말을 듣곤 한다. 하지만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예술은 우리의 도덕 풍경을 조성하고 타인의 삶 내부를 우리 앞에 펼친다. 예술은 가능성을 향한 훈련의 장이다. 그것은 변화의 가능성을 꾸밈없이 드러내고 우리에게 다른 삶의 방식을 제안한다.’(p.21)

’예술이 무얼 할 수 있어? 이런다고 바뀌겠어?‘
이런 생각과 말을 많이 해왔던 거 같은데
작가들, 미술가들의 말, 그리고 이 책을 읽고 난 지금부턴
이제 저 말은 하지 않으려 한다. 저런 생각도 덜어내고.
차고 넘치는 문제들을 방관하는 이 시대에
예술이 답을 줄 순 없겠지만 이런 문제도 있다고
애써 드러내어 보여주는 자체만으로 가치는 충분하니까.

이상한 날씨

올리비아 랭 지음
어크로스 펴냄

읽었어요
7분 전
0
밀밀님의 프로필 이미지

밀밀

@happymil

  • 밀밀님의 꿰맨 눈의 마을 게시물 이미지

꿰맨 눈의 마을

조예은 지음
자음과모음 펴냄

읽었어요
26분 전
0
Yuii님의 프로필 이미지

Yuii

@yuii8jex

  • Yuii님의 첫 여름, 완주 게시물 이미지

첫 여름, 완주

김금희 지음
무제 펴냄

읽었어요
28분 전
0

이런 모임은 어때요?

집으로 대여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작가와 타이포그래퍼가 한 짝꿍을 이뤄 만드는 작품집 '16시' 시리즈. <일렉트릭 흑염소> 이 작업은 시인 김경주와 그래픽 디자이너 김바바가 진행하는 시와 타이포그래피의 연결 고리인 '활자극장' 운동의 하나이다. '활자극장'은 텍스트의 유기체적 운동에 관여하다.

<16시>에서는 열여섯 시간 동안 김경주가 컴퓨터 모니터를 켜놓고 작업한 내용을 '16시'라는 테마로 스위칭(switching)했다. 그 가운데에는 창작, 메모, 번역, 잡무 등 다양한 글쓰기의 광량이 흩어져 있다. 이 텍스트의 이물질은 김바바의 타이포그래피 작업에서 새로운 배치와 배합을 이루며 새로운 유기물이 되어간다. 이 작업은 키보드를 뛰어다니는 펭귄들의 라임으로 보아도 좋다.

출판사 책 소개

일렉트릭 흑염소
이 작업은 시인 김경주와 그래픽 디자이너 김바바가 진행하는 시와 타이포그래피의 연결 고리인 ‘활자극장’ 운동의 하나이다. ‘활자극장’은 텍스트의 유기체적 운동에 관여하다. 『16시』에서는 열여섯 시간 동안 김경주가 컴퓨터 모니터를 켜놓고 작업한 내용을 ‘16시’라는 테마로 스위칭(switching)했다. 그 가운데에는 창작, 메모, 번역, 잡무 등 다양한 글쓰기의 광량이 흩어져 있다. 이 텍스트의 이물질은 김바바의 타이포그래피 작업에서 새로운 배치와 배합을 이루며 새로운 유기물이 되어간다. 이 작업은 키보드를 뛰어다니는 펭귄들의 라임으로 보아도 좋다.

기획자의 말
『16시』는 작가와 타이포그래퍼가 한 짝꿍을 이뤄 만드는 작품집이다. 『16시』는 제한된 16쪽의 평면을 짝꿍에게 제공하고, 짝꿍은 이 공간을 채운다. 채움의 형식은 협업이 될 수도, 대결이 될 수도 있다. 그것은 온전히 짝꿍의 몫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이 작업이 짝꿍의 긴밀한 관계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과거에 시와 타이포그래피가 한 몸이었던 적이 있었다. 『16시』는 과거를 굳이 발판 삼지 않고, 시간이 흐르며 나뉜 둘을 다시 합쳐보는 작은 놀이이자 실험이다. 『16시』의 놀이와 실험은 어떤 시곗바늘도 16을 가리키지 않는 세계에서 펼쳐진다.

『16시』는 작가와 타이포그래퍼가 지속적으로 가지고 놀 수 있는 작은 플랫폼이 되고자 한다. 그 플랫폼의 공통 조건은 다음과 같다. 이 조건에 동의하는 작가와 타이포그래퍼에게 『16시』는 문을 열어두고 있을 것이다. 많은 작가와 타이포그래퍼가 ‘『16시』의 친구’가 되기를 희망한다.

● 작업물의 쪽수는 16쪽이다.
● 작업물의 판형은 170×240㎜이다.
● 작업물의 종이는 짝꿍이 선택할 수 있다.
● 작업물의 색도는 1-5도로 한다.
● 작업물은 실을 이용해 제본하며 실의 색은 짝꿍이 선택할 수 있다.
● 작업물과 짝꿍의 정보로 이루어진 재킷이 16쪽 작업물을 감싼다. 재킷은 작업물의 판형보다 약간 높이가 낮아 재킷과 작업물 사이에 틈을 만들며, 독자는 그 틈으로 재킷을 펼친 뒤에 일어날 소란이나 침묵, 또는 그 무엇을 엿본다.

『16시』 공식 웹사이트: http://16-si.tumblr.com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더 많은 글을 보고 싶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