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감사의 말
들어가는 글 | 고양이와 인간의 유쾌한 동반을 위하여
제1장 새로운 삶의 문턱에 선 고양이
고양이 가축화의 기원: 쥐사냥꾼 | 고양잇과 동물의 다양한 분포 | 야생고양이와 집고양이의 혈통과 번식 | 야생에서 집으로, 집고양이화되는 고양이들
제2장 야생을 벗어나는 고양이
키프로스 무덤에서 발견된 고양이 유골 | 이집트인들이 고양이를 키웠다는 증거 | 고양이를 대하는 이집트인들의 태도 | 고양이 미라의 탄생: 제물로 바쳐진 고양이 | 넓은 지역으로 나아가는 고양이
제3장 한 걸음 뒤로, 두 걸음 앞으로
유럽인들이 바라보는 고양이 | 고양이 박해시대: 악마, 사탄, 마녀, 흑사병 | 인간 삶의 주변에서 중심으로 | 돌연변이 고양이의 등장과 확산 | 고양이의 외모가 생활방식에 미치는 영향 | 집고양이의 영양과 사냥의 관계
제4장 반려고양이와 사람
반려동물의 사회화는 ‘핸들링’에서 시작된다 | 어미 고양이의 역할과 중요성 | 초기 사회화가 고양이에 미치는 영향 | 고양이의 ‘사회적 교양’ | 고양이는 사람과 함께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제5장 고양이 눈에 비친 세상
고양이의 눈이 보는 것과 보지 못하는 것 | 뛰어난 청력의 소유자 고양이는 어째서 음치인가 | 낙하산 공중 발레의 달인 | 냄새로 먹잇감을 찾아내는 우월한 신경 | 짝짓기의 핵심, 서비골 기관과 플레멘 반응
제6장 생각과 감정
고양이는 세상을 어떻게 인식하는가 | 감출 수 없는 야생 본능, 장난감을 사냥하는 고양이 | 고전적 조건화를 통한 학습과 훈련 | 작동적 조건화: 조성과 연쇄, 클리커 훈련 | 고양이의 지적 능력과 감정 표현 | 고양이가 느끼는 감정
제7장 고양이와 사회적 동물
고양잇과 동물의 사회성: 호랑이, 치타, 사자 | 혈연관계에 있는 고양이들의 이타성 | 수고양이는 왜 남의 새끼를 죽이는가 | 개인행동에서 무리 생활로, 신호를 보내 소통하다 | 무리를 떠난 수고양이가 살아가는 법
제8장 고양이와 주인
사람들은 왜 고양이를 좋아할까 | 인간에 대한 고양이의 애정 | 가르랑거리는 소리의 의미 | 핥고, 쓰다듬고, 비비고… 고양이와 인간의 교감 | ‘야옹야옹’ 감정 섞인 울음소리 | 고양이의 ‘피투성이 선물’ | 행복한 반려고양이를 위하여
제9장 각각의 고양이
유전자와 성격의 상관관계 | 고양이는 각자 자신만의 개성이 있다 | 새끼 때의 사회화 경험은 고양이의 성격을 결정한다
제10장 고양이와 야생동물
야생동물 애호가들의 목소리 | 생태 파괴자인가, 야생동물 보호자인가 | 고양이의 사냥은 정말 야생동물의 존속을 방해하는가 | 반려고양이의 사냥은 범죄행위일까
제11장 미래의 고양이
고양이가 직면한 21세기적 위기 | 미래의 고양이를 위해서는 ‘훈련’과 ‘개입’이 필요하다 | 교배를 통한 이상적인 집고양이 품종 | 고양이 중성화의 문제점과 그 미래 | 미래의 고양이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