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은 사람
3명
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23.7.28
페이지
236쪽
상세 정보
제10회 교보문고 스토리공모전 우수상 수상작인 이아람의 장편소설 『테라리움』이 ‘북다’에서 출간되었다. 인류가 멸망한 미래, 사라진 어머니를 찾아 나선 소년의 여정을 다룬 작품은 포스트 아포칼립스 장르 특유의 환상적이고 강렬한 모험 서사를 기반으로 세계의 멸망을 둘러싼 비밀을 파헤친다.
『테라리움』은 대범한 SF적 상상력으로 주술적 세계관을 구축한 세련된 우화이자 촘촘히 배치된 매력적인 단서들로 가득한 미스터리 소설이다. 오직 어머니를 찾는 것만이 목적이던 소년은 초월적인 존재들과의 만남을 통해 새로운 진실들을 알게 되며, 그 영향으로 여행의 목적을 점차 변화시키게 된다. ‘지구’라는 거대한 폐쇄 ‘테라리움’ 안에서, 삶과 죽음, 불멸과 필멸 사이 선택에 놓인 소년은 자신이 바라는 온전한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을까.
이 책을 언급한 게시물1
김예음
@dpdma0910
테라리움
1명이 좋아해요
상세정보
제10회 교보문고 스토리공모전 우수상 수상작인 이아람의 장편소설 『테라리움』이 ‘북다’에서 출간되었다. 인류가 멸망한 미래, 사라진 어머니를 찾아 나선 소년의 여정을 다룬 작품은 포스트 아포칼립스 장르 특유의 환상적이고 강렬한 모험 서사를 기반으로 세계의 멸망을 둘러싼 비밀을 파헤친다.
『테라리움』은 대범한 SF적 상상력으로 주술적 세계관을 구축한 세련된 우화이자 촘촘히 배치된 매력적인 단서들로 가득한 미스터리 소설이다. 오직 어머니를 찾는 것만이 목적이던 소년은 초월적인 존재들과의 만남을 통해 새로운 진실들을 알게 되며, 그 영향으로 여행의 목적을 점차 변화시키게 된다. ‘지구’라는 거대한 폐쇄 ‘테라리움’ 안에서, 삶과 죽음, 불멸과 필멸 사이 선택에 놓인 소년은 자신이 바라는 온전한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을까.
출판사 책 소개
삶과 죽음의 시간이 뒤엉킨 폐쇄된 세계
홀로 남겨진 소년이 내딛는 용기의 여정
제10회 교보문고 스토리공모전 우수상 수상작
제10회 교보문고 스토리공모전 우수상 수상작인 이아람의 장편소설 『테라리움』이 ‘북다’에서 출간되었다. 인류가 멸망한 미래, 사라진 어머니를 찾아 나선 소년의 여정을 다룬 작품은 포스트 아포칼립스 장르 특유의 환상적이고 강렬한 모험 서사를 기반으로 세계의 멸망을 둘러싼 비밀을 파헤친다.
『테라리움』은 대범한 SF적 상상력으로 주술적 세계관을 구축한 세련된 우화이자 촘촘히 배치된 매력적인 단서들로 가득한 미스터리 소설이다. 오직 어머니를 찾는 것만이 목적이던 소년은 초월적인 존재들과의 만남을 통해 새로운 진실들을 알게 되며, 그 영향으로 여행의 목적을 점차 변화시키게 된다. ‘지구’라는 거대한 폐쇄 ‘테라리움’ 안에서, 삶과 죽음, 불멸과 필멸 사이 선택에 놓인 소년은 자신이 바라는 온전한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을까.
종말 이후의 세계, 살아남은 소년
죽음의 화신과 특별한 여행을 시작한다
치명적인 감염성 바이러스로 인해 몰락하던 인류는 ‘최후의 날’을 기점으로 완전히 멸망한다. ‘최후의 날’ 이후 줄곧 벙커에서 살아온 소년은 좁은 벙커에서 어머니와 단둘만의 생활에 답답함을 느끼며 벙커 밖의 세계를 궁금해한다. 어머니는 그런 소년에게 자신이 과거에 만들었다는 ‘테라리움’을 건넨다.
“이 병은 폐쇄 생태계란다. 이 새우들은 여기서 나갈 수 없고, 빛 외의 것은 들어오지 않아. 그래도 이것들은 이 안에서 살아남는단다. 새우는 이끼를 갉아 먹고 물을 마시고, 이끼는 새우의 배설물을 먹고 햇빛을 받아 수분과 산소를 만들어내면서, 조화롭고 아름답게 내부의 균형을 지키며 살아가. 그게…….”
어머니는 잠시 말을 멈췄다. 하지만 긴 침묵은 아니었다.
“그게 우리가 본받았어야 할 점이지.” (16~17쪽)
하지만 어느 날 열병으로 사경을 헤매다 소년이 깨어났을 때, 어머니는 벙커에 없었다. 소년은 어머니를 찾기 위해 난생처음 벙커를 나서고, 그런 소년의 곁에 자신을 ‘죽음의 화신’이라 칭하는 ‘검은 개’가 다가와 말을 건다. ‘죽음의 화신’이 보인다는 사실에 혼란스러워하면서도 외로웠던 소년은 개와 동행하고, 둘은 어머니의 흔적을 쫓아 멸망한 세계를 가로지르는 여정을 시작한다. 벙커에 있던 것과 같은 종류의 미니밴, 어머니의 카드와 같은 로고가 박힌 홀로그램 카드 등 작은 단서들을 쫓으며 소년은 어머니가 과거에 일했던 연구소에 도착한다. 그곳에서 처음으로 다른 생존자를 만나지만, 그는 충격적인 말을 꺼낸다.
“오 이런, 얘야. 네 어머니가 세상을 멸망시킨 사람이야.” (108쪽)
필멸하는 모든 생명에 대한
지극한 격려의 이야기
소설은 주인공인 소년의 순수한 시선에서 황폐한 포스트 아포칼립스의 세계를 보여준다. ‘최후의 날’로 인한 죽음의 흔적이 만연한 도시를 걸으면서도, 태어나 처음 세계를 직시하는 소년은 그곳에서 동식물의 ‘삶’이 생동하고 있다는 것을 느낀다. 그러한 삶과 죽음의 이질적인 대비는 작품 전체를 관통하며 소년의 여정을 우화적 상징이 가득한 신비롭고 긴장감 넘치는 모험으로 엮어낸다.
인간이 사라진 세계에서 소년이 접하게 되는 비인간적 존재들은 ‘삶과 죽음’에 대해 각기 다른 가치관을 드러낸다. 생물의 궁극적인 형태로서 ‘불멸’을 추구하는 ‘인공지능 컴퓨터’와 자연의 섭리에 종속한 ‘죽음’을 지향점으로 두는 ‘죽음의 화신’, 두 존재는 자신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소년에게 각기 특별한 제안을 한다. 소년은 어머니가 벙커를 떠난 이유를 알기 위해 그들과 협상하며 어머니의 연구소로 향하고, 그곳에서 놀라운 비밀을 목격한다. 불멸과 필멸 사이 선택에 놓인 소년은, 자신이 바라는 온전한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을까.
“세상엔 지켜야 할 규칙과 순리가 있어. 모든 것은 때가 되면 죽고 또 태어나. 고요해 보이는 흙 속에도 수많은 유기체의 삶과 죽음이 있고, 그것을 양분으로 식물이 자라고는 하지. 그 순환보다 중요한 건 없어.”(178~179쪽)
멸종한 인간과 번성하는 식물, 불멸과 죽음을 추구하는 초월적 존재들이 혼재하는 세계를 배경으로『테라리움』은 하나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닫힌 세상에서 고착된 삶의 방식에 집착하는 것이 아니라 유연한 태도로 “새로운 세계에는 새로운 방식”(9쪽)이 있다는 것을 받아들일 때만이 내일로 나아갈 수 있다는 격려이다. “인간이 사라진 이후를 가리키며 우리의 시야가 인간 바깥으로 넓어지도록” 선보이는 소설은, 우리에게 작중에서 살아남은 ‘인간 바깥’의 생명과 삶의 방식에 대해 고찰하게 한다. 어떤 혹독한 환경에서도 고요하지만 집요하게 싹을 틔우고 살아남는 식물들처럼, 모든 생명은 삶이 계속되는 한 살아남기 위한 변화를 모색해야만 한다. 작품이 보여주는 그 격려의 메시지는, 사회·환경적인 위험이 범람하는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크나큰 위로로 다가올 것이다.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