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과 리터러시 파워

송경진 지음 | 정은문고 펴냄

도서관과 리터러시 파워

이 책을 읽은 사람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17,000원 10% 15,30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23.10.9

페이지

222쪽

이럴 때 추천!

기분 전환이 필요할 때 , 일상의 재미를 원할 때 , 힐링이 필요할 때 읽으면 좋아요.

상세 정보

word 읽기가 아닌 world 읽기. 사흘이 3일이냐 4일이냐는 논란이 벌어졌다. 이것은 문해력의 문제인가. 꼴페미, 한남충 등 혐오어가 남발한다. 이것 또한 문해력의 문제인가. 이런 현상은 단순히 낱말 뜻을 모르거나 맥락을 이해하지 못해서 나타나는 문제가 아니다. 그렇다면 무엇이 사람과 사람 사이의 소통을 방해하는 것일까? 우리가 놓치고 있는 힘은 그저 단어(word)를 읽는 능력이 아닌 세상(world)을 비판적으로 읽는 능력이다.

상세 정보 더보기

이 책을 언급한 게시물1

책스타님의 프로필 이미지

책스타

@chaekstar

  • 책스타님의 도서관과 리터러시 파워 게시물 이미지
이 작품은 최근 큰 화제가 되고 있는 청소년과 젊은 성인들의 문해력을 깊이 있게 다룬다.

리터러시란 단순히 ‘문해력’이라는 단어에 머무르지 않는다. 언어와 시각, 청각, 몸짓, 그리고 매체와 상황 속 맥락까지 아우르며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뜻한다. 그렇기에 단순히 글을 읽고 이해하는 것만으로는 온전한 소통에 한계가 있다.

저자는 이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는 해법으로 공공도서관을 제시한다. 공공도서관은 남녀노소 누구나 장벽 없이 다양한 도서를 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책을 매개로 사람과 사람이 만나는 열린 공간이 되기 때문이다.

나 역시 저자의 의견에 크게 공감한다. 특히 디지털 매체가 빠르게 발전하면서 오히려 소통이 단절되기 쉬운 지금, 리터러시의 중요성을 더욱 절실히 느끼게 된다.

도서관과 리터러시 파워

송경진 지음
정은문고 펴냄

읽었어요
2일 전
0
집으로 대여
구매하기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word 읽기가 아닌 world 읽기. 사흘이 3일이냐 4일이냐는 논란이 벌어졌다. 이것은 문해력의 문제인가. 꼴페미, 한남충 등 혐오어가 남발한다. 이것 또한 문해력의 문제인가. 이런 현상은 단순히 낱말 뜻을 모르거나 맥락을 이해하지 못해서 나타나는 문제가 아니다. 그렇다면 무엇이 사람과 사람 사이의 소통을 방해하는 것일까? 우리가 놓치고 있는 힘은 그저 단어(word)를 읽는 능력이 아닌 세상(world)을 비판적으로 읽는 능력이다.

출판사 책 소개

사람과 사람 사이에는 말과 글이 있다
사람과 사람 사이에는 말이 있다. 그 말에는 위로, 용기, 존중뿐만 아니라 혐오, 차별, 폭력도 있다. 당신은 지금 어떤 ‘말’을 하고 있을까. 타인과 대화할 때 상황과 맥락에 맞는 말과 글을 사용하고 있는가. 어떤 맥락에서도 진실이 왜곡되지 않는 표현은 가능한 것일까. 그렇지 못하다면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국어 실력이 모든 학문에 기초가 되듯 대화하는 실력은 모든 관계의 기초가 된다.

리터러시 파워는 문해력과 다르다
최근 한글날을 맞아 여러 미디어에서 기획한 기사 중에 문해력 강습이 성업 중이라는 내용이 있었다. 이에 따르면 한글 뜻을 몰라 수학 문제를 풀지 못할 정도로 문해력이 저하된 세태에 편승해 문해력을 길러주는 사교육 시장이 팽창하고 있다. 어린이에 대한 리터러시 교육의 주요한 목적은 말과 글을 가르침으로써 향후 교육에 도움을 주고, 일상생활에 필요한 의사소통 방법을 익히고, 다양한 책을 읽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입시에 초점이 맞춰진 독서와 논술 교육으로는 이러한 목적을 이뤄내기 어렵다. 읽어내고 이해하는 것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인간관계의 문제가 있다.

깊이 읽고 맥락을 이해하며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힘
우리가 키워온 문명이 앞으로 얼마나 오랫동안 건강하게 성장할 것이냐는 우리 각자가 얼마나 충실하게 공공도서관을 지원하느냐에 좌우될 것이라고 했던 칼 세이건의 말을 떠올리면서 저자는 읽고, 쓰고, 생각하고, 말하는 모든 행위가 어떻게 사람과 사회를 성숙시키고, 도서관은 그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직접 써보자는 마음을 품었다. 깊이 읽고 맥락을 이해하면서 비판적인 사고를 통해 나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듣는 과정, 이것이 도서관이 할 수 있는 실천 프로그램이다.

가장 훌륭한 리터러시 실천의 장, 도서관
사람과 사람이 직접 만나고, 만남을 통해 연결된 관계를 만들어내며, 그 안에서 배운 리터러시 역량으로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기쁨까지 나아가도록 하는 기획이다. 그것은 보다 더 근본적으로 공동체의 안전과 유지에 기여하는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사명을 고려했을 때 꼭 필요한 부분이다. 어떤 기관이라도 다양한 리터러시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는 있다. 다만 다른 기관에 비해 공공도서관이 갖는 이점은 리터러시 습득에 필요한 서비스와 자원, 소통하는 상대가 모두 연결되는 공공 플랫폼이라는 것이다. 차별하지 않고 평등하게 함께 움직일 수 있는 곳, 바로 도서관이다.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더 많은 글을 보고 싶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