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은 사람
1명
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04.12.30
페이지
287쪽
상세 정보
IMF 경제 위기 이후 구조적으로 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는 한국사회의 위기를 계급분석적 관점에서 진단하고 대응책을 모색한 책.
1부에는 한국사회의 계급 변화를 역사적으로 분석한 글들을 수록했다. 기존의 사회학 연구 성과를 검토하고, 기존의 연구가 어떻게 현실과 괴리되었는지를 살펴본다.
2부에는 소득과 재산 불평등이 어떻게 계급과 연관되는지를 경험적으로 분석한 글들을 수록했다. 사회통계적 연구를 바탕으로 불평등의 실체를 총체적으로 드러내 보여준다.
3부에는 1997년 말 시작된 경제위기가 한국 사회의 계급구조를 어떻게 바꾸어 놓았는지 중점적으로 분석한 글들을 실었다. 특히 중산층 위기 담론의 과정성을 지적하며, 노동계급의 위기를 논하지 않고 중산층 위기만을 논하는 것이 낳는 허구적인 인식을 지적하는 부분이 눈에 띈다.
상세정보
IMF 경제 위기 이후 구조적으로 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는 한국사회의 위기를 계급분석적 관점에서 진단하고 대응책을 모색한 책.
1부에는 한국사회의 계급 변화를 역사적으로 분석한 글들을 수록했다. 기존의 사회학 연구 성과를 검토하고, 기존의 연구가 어떻게 현실과 괴리되었는지를 살펴본다.
2부에는 소득과 재산 불평등이 어떻게 계급과 연관되는지를 경험적으로 분석한 글들을 수록했다. 사회통계적 연구를 바탕으로 불평등의 실체를 총체적으로 드러내 보여준다.
3부에는 1997년 말 시작된 경제위기가 한국 사회의 계급구조를 어떻게 바꾸어 놓았는지 중점적으로 분석한 글들을 실었다. 특히 중산층 위기 담론의 과정성을 지적하며, 노동계급의 위기를 논하지 않고 중산층 위기만을 논하는 것이 낳는 허구적인 인식을 지적하는 부분이 눈에 띈다.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