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Orientation_ 왜 린 스타트업인가
Start_ 누가 린 스타트업을 활용해야 하는가
창업자 : 해야 할 우선순위를 알려준다 | 사업 멘토 : 멘토링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 인큐베이터/엑셀러레이터 : 스타트업 비즈니스 모델 검증하기 | 사회적 기업가 : 고객가치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 신사업 기획자 : 기존과 다른 사업일수록 고객을 알아야 한다
Action 1. 스타트업과 비즈니스 모델
스타트업이란? | 비즈니스 모델이란? | 반복가능하고 확장시킬 수 있는
Action 2. 실패를 최소화하라
스타트업의 위험은 아무도 원하지 않는 것을 만드는 것 | 스타트업이 잘못 생각하고 있는 것 | 실패 최소화 전략, 린 스타트업
Q&A. 린 스타트업 전략을 실행하면 사업에 실패하지 않습니까
Action 3. 핵심개념을 이해하라
스티브 블랭크의 고객개발방법론 | 에릭 리스의 린 스타트업 | 린 스타트업의 핵심개념 | 가설 검증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 린 스타트업의 운영구조
Action 4. 린 보드를 작성하라
3분 내 사업 소개하기 | 린 보드 작성하기 | 린 보드 작성사례 | 스토리텔링으로 설명하라 | 전문가에게 조언을 구하라
Action 5. 고객을 정의하라
대상 고객 정의 | 대상 고객을 구분하는 이유 | 모든 기업이 시장세분화를 해야 하는가 | 최우선 거점고객을 선정하라 | 만 명의 그저 그런 고객보다 100명의 ‘와우’ 고객이 낫다 | 단 한 사람을 생각하라
Q&A. 스타트업은 마케팅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Action 6. 가설을 설정하라
고객 문제를 정의하라 | 문제 대안을 정의하라 | 고유가치를 제안하라 | 제품 카테고리를 만들어라 | 솔루션 제시 | 기술 사업화 제품일수록 고객 문제에 집중하라 | 린 보드, 적는다고 다가 아니다
Q&A. 사업내용이 게임산업과 같이 고객 문제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는 어떻게 고객 문제를 정의하나요
Action 7. 문제를 검증하라
고객 인터뷰를 하는 이유 | 고객 인터뷰의 핵심 | 고객 인터뷰를 위한 시나리오 | 고객 인터뷰의 종료 | 고객 문제 검증 인터뷰 결과보고서 작성
Action 8. 솔루션을 검증하라
솔루션 검증의 목적 | 솔루션 검증 인터뷰를 위한 시나리오 | 솔루션 검증 인터뷰 정리
Q&A. 낮은 수준의 MVP란 무엇인가요
Q&A. 고객 인터뷰에서 중요한 점은 무엇인가요
Action 9. 제품·서비스를 검증하라
MVP 개념 | 웹서비스 제품·서비스 검증 준비 | 웹서비스 제품·서비스 검증 | 웹서비스 외주 개발시 염두할 점 | 물리적 제품 MVP 개발 | 물리적 제품의 제품·서비스 검증 | 최초의 고객에게는 컨시어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Action 10. 수익모델을 만들어라
수익모델의 중요성 | 수익모델 활용 방법 | 다양한 수익모델 검토 | 소비자 가치 기반가격 설정의 기술 | 볼레디의 가격 설정 검토 | 가격에 기반을 둔 사업구조 검토
Action 11. 고객 채널을 찾아라
스타트업의 채널 정책 | 인바운드 채널 | 아웃바운드 채널 | 출시 전 관심 고객 모으기 : 랜딩 페이지
Action 12. 3년간 손익계획을 세워라
시장 규모를 파악하라 | 손익분기점을 예측하고 목표하라 | 3년간 추정손익계산서를 작성하라 | 투자는 언제 받아야 할까
Q&A. 새로운 서비스라서 시장 규모를 파악하기가 어렵습니다. 사업계획 발표를 할 때마다 시장 규모를 물어보는 질문이 많은데 어떻게 대처해야 합니까
Action 13. 핵심지표를 관리하라
핵심지표의 필요성 | 핵심지표의 중요성 | 대표적인 핵심지표 퍼널, 해적지표, 코호트, A/B 테스트 | 그로스 해킹으로 간다 | 물리적 제품의 핵심지표 관리
Q&A. 데이터 관리를 위한 별도의 툴(tool)이나 프로그램이 있나요
Q&A. 린 스타트업에서 피봇(Pivot)이란 말을 많이 사용한다는데, 왜 설명이 없나요
Action 14. 사업계획을 피칭하라
피칭의 중요성 | NABC 방법 | 한 문장으로 표현하기 | 린 보드로 피칭하기 | 린 기반 사업계획 발표 시나리오
에필로그
읽을거리
부록
체계적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