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은 사람
2명
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얇은 책
출간일
2024.6.14
페이지
184쪽
상세 정보
시인 임지은의 세 번째 시집. 이번 시집에서 세계를 받아들이는 임지은의 방식은 그의 자서에서부터 드러난다. 그는 “교양 있는 사람이 되고 싶었지만” “세 번째 시집이 있는 사람이 되었다”고 적는다. 그러니까 임지은은 상상에서 시작해 현실로 내려앉는 사람. 내려앉은 현실에서 문득 보이는 당연한 것들의 특별함을 콕 찌를 줄 아는 사람이다.
‘교양 있는 사람 되기’는 눈에 보이지 않아 측정이 불가하며 달성이 모호한 목표처럼 보이는 반면, ‘세 번째 시집 있는 사람 되기’는 언뜻 달성할 수 있고 결과를 한눈에 알 수 있는 목표처럼 보인다. 그러나 잘 들여다보면 ‘세 번째 시집 있는 사람 되기’라는 목표 역시 종이에 납작하게 적힌 말 뒤에 얼마나 많은 시간이, 얼마나 많은 시가, 얼마나 많은 지난함과 고단함이 담겨 있는지 측정하기 어렵다. 임지은의 시들은 이렇듯 한번에 편안하게 읽힌 뒤, 그대로 지나쳐 가려는 사람의 발목을 잡아챈다.
지나쳐 가려던 자리로 다시 돌아와 한번 더, 곰곰 문장을 읽다 보면 임지은이 말을 비트는 듯 보이면서도 새삼 당연한 것을 이야기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그것은 어쩌면 특별한 일이 일어나도 특별하지 않게 받아들이는 현실이 있다는 것을 거꾸로 받아적는다는 뜻이 아닐까? 임지은의 시를 읽고 나면 당연한 것이 작동하는 세상의 당연함이 슬쩍 낯설게 느껴지기 시작한다. 당연한 것을 다시 생각해 보게 하는 힘. 그것이 임지은이 불러일으키는, 종이에 가만히 누워 있는 시의 힘이다.
상세정보
시인 임지은의 세 번째 시집. 이번 시집에서 세계를 받아들이는 임지은의 방식은 그의 자서에서부터 드러난다. 그는 “교양 있는 사람이 되고 싶었지만” “세 번째 시집이 있는 사람이 되었다”고 적는다. 그러니까 임지은은 상상에서 시작해 현실로 내려앉는 사람. 내려앉은 현실에서 문득 보이는 당연한 것들의 특별함을 콕 찌를 줄 아는 사람이다.
‘교양 있는 사람 되기’는 눈에 보이지 않아 측정이 불가하며 달성이 모호한 목표처럼 보이는 반면, ‘세 번째 시집 있는 사람 되기’는 언뜻 달성할 수 있고 결과를 한눈에 알 수 있는 목표처럼 보인다. 그러나 잘 들여다보면 ‘세 번째 시집 있는 사람 되기’라는 목표 역시 종이에 납작하게 적힌 말 뒤에 얼마나 많은 시간이, 얼마나 많은 시가, 얼마나 많은 지난함과 고단함이 담겨 있는지 측정하기 어렵다. 임지은의 시들은 이렇듯 한번에 편안하게 읽힌 뒤, 그대로 지나쳐 가려는 사람의 발목을 잡아챈다.
지나쳐 가려던 자리로 다시 돌아와 한번 더, 곰곰 문장을 읽다 보면 임지은이 말을 비트는 듯 보이면서도 새삼 당연한 것을 이야기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그것은 어쩌면 특별한 일이 일어나도 특별하지 않게 받아들이는 현실이 있다는 것을 거꾸로 받아적는다는 뜻이 아닐까? 임지은의 시를 읽고 나면 당연한 것이 작동하는 세상의 당연함이 슬쩍 낯설게 느껴지기 시작한다. 당연한 것을 다시 생각해 보게 하는 힘. 그것이 임지은이 불러일으키는, 종이에 가만히 누워 있는 시의 힘이다.
출판사 책 소개
태연한 표정으로
태연하지 않은 세계를 말하는 담대한 시인
누워 있는 시가 일으키는 당연한 것들의 특별한 힘
시인 임지은의 세 번째 시집 『이 시는 누워 있고 일어날 생각을 안 한다』가 민음의 시 322번으로 출간되었다. 이번 시집에서 세계를 받아들이는 임지은의 방식은 그의 자서에서부터 드러난다. 그는 “교양 있는 사람이 되고 싶었지만” “세 번째 시집이 있는 사람이 되었다”고 적는다. 그러니까 임지은은 상상에서 시작해 현실로 내려앉는 사람. 내려앉은 현실에서 문득 보이는 당연한 것들의 특별함을 콕 찌를 줄 아는 사람이다. ‘교양 있는 사람 되기’는 눈에 보이지 않아 측정이 불가하며 달성이 모호한 목표처럼 보이는 반면, ‘세 번째 시집 있는 사람 되기’는 언뜻 달성할 수 있고 결과를 한눈에 알 수 있는 목표처럼 보인다. 그러나 잘 들여다보면 ‘세 번째 시집 있는 사람 되기’라는 목표 역시 종이에 납작하게 적힌 말 뒤에 얼마나 많은 시간이, 얼마나 많은 시가, 얼마나 많은 지난함과 고단함이 담겨 있는지 측정하기 어렵다. 임지은의 시들은 이렇듯 한번에 편안하게 읽힌 뒤, 그대로 지나쳐 가려는 사람의 발목을 잡아챈다. 지나쳐 가려던 자리로 다시 돌아와 한번 더, 곰곰 문장을 읽다 보면 임지은이 말을 비트는 듯 보이면서도 새삼 당연한 것을 이야기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그것은 어쩌면 특별한 일이 일어나도 특별하지 않게 받아들이는 현실이 있다는 것을 거꾸로 받아적는다는 뜻이 아닐까? 임지은의 시를 읽고 나면 당연한 것이 작동하는 세상의 당연함이 슬쩍 낯설게 느껴지기 시작한다. 당연한 것을 다시 생각해 보게 하는 힘. 그것이 임지은이 불러일으키는, 종이에 가만히 누워 있는 시의 힘이다.
■우리도 왕이 될 수 있어
시집의 제목 『이 시는 누워 있고 일어날 생각을 안 한다』는 수록 시 「눕기의 왕」의 한 구절(“이 시는 지금 누워 있고/ 도무지 일어날 생각을 안 한다”)로부터 왔다. 이 시는 ‘누워 있을 것’의 의지를 당당하고 뻔뻔하게, 나른하고 단호하게 진술하는 작품이다. 어떤 이유로 눕는다거나, 누워 있었기에 어떤 일이 생겼다거나 하는 인과가 뒤섞인 채 우리는 시의 화자와 시가 음…… 누워 있었군…… 하는 사실만을 마음에 아로새기게 된다. “아침이 돼서야 이를 닦는다/ 누워 있었기 때문에……” “다른 걸 하려면 할 수도 있는데/ 안 하는 거다// 왜? 누워 있으려고”라는 식. 결국엔 “졸음”까지 “데리고 와 같이 눕는다”(「눕기의 왕」). 이 단순하고도 어딘지 웃음이 나는 임지은식 문답을 상상해 본다. “어제 뭐 했어?” “누워 있었어.” “왜?” “누워 있으려고.” 일상의 어떤 구간이 그 자체로 목적이 되는 세계. 아마도 그 단순하디 단순한 대답을 하는 사람의 얼굴은 뿌듯함으로 빛나고 있을 것만 같다. 문학평론가 최선교는 해설에서 “이건 시집의 자세이기도 하지만, 시집을 읽는 사람이 따라 할 수 있는 자세이기도 하다.”라고 제안한다. 좋은 걸 좋다고, 지금 하는 걸 하고 싶어서 그냥 한다고 말하는 시인의 화법과 보법을 따라 읽고 살기. 그것이 어쩌면 ‘뭔가의 왕’이 취할 법한 자세 아닐까.
■너무 열심히 사는 세상에서 하는 딴생각
임지은은 묻는다. “다들 왜 이렇게 열심히 사는 거야?”(「기본값」) 우리 모두 대부분 현실에서 이런 질문을 들으면 이렇게 되받아 말할 것이다. “너도 열심히 살잖아.” 시 속 화자의 친구 역시 비슷하게 말한다. “너도 밥 먹고 시만 쓰잖아”(「기본값」). 시인은 ‘열심’이 기본값이 아닌 ‘보통’이 보통인 시대를, ‘대충’도 괜찮은 세상을 바라지만, 시인이 되돌려받은 친구의 말마따나 세상의 이모저모를 관찰하고, 머릿속에서 떠도는 생각 채집에 숨 가쁜 이가 바로 그 자신이다. 시집 『이 시는 누워 있고 일어날 생각을 안 한다』에는 온통 그가 가장 열심이고 열중했던, 치밀하고 찬란한 딴생각들이 우글거린다. 그가 가장 즐거워하는 딴생각은 역시 당연한 것들을 불러내 요리조리 다르게 보이도록 하는 일인 것 같다. 소인국에 놀러 온 걸리버처럼, 작은 언어들을 데리고 즐거워하는 (반쯤 누운) 시인의 모습을 상상해 본다. 그는 정말로 타국에서 놀러 온 이방인처럼 빛나는 눈으로 언어를 대한다. “한국어는 뜨거운 국물이 시원한 것만큼 이상합니다// 여기 자리 있어요, 가/ 자리가 없다는 뜻도 있다는 뜻도 되니까요// 그럼 여기 나 있어요, 는/ 내가 있기도 없기도 한 상태입니까?”(「혼코노」) 이방인으로부터 익숙한 세상의 질서가 지적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즐거운 딴생각으로 인해 숨겨진 진실이 끌려나오기도 한다. 임지은의 시집은 이런 밀고 당기기로 우리를 그의 딴생각 안에서 벗어날 수 없게 만든다. 그의 딴생각이 만든 낯선 시선으로 시집 바깥의 세계를 돌아볼 때, 우리는 아마 조금 다른 마음을 품은 사람이 되어 있을 것이다.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