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일상과 문화유전자

신광철 외 12명 지음 | 스토리하우스 펴냄

한국인의 일상과 문화유전자

이 책을 읽은 사람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19,000원 10% 17,10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두꺼운 책

출간일

2014.6.15

페이지

480쪽

상세 정보

한국인의 문화유전자를 우리가 살고 있는 일상에서 찾아보고자 기획된 이 책은, 각 시대별(1970~2000년대)과 세대별(20~60대)로 겪은 일상을 개괄하고 그 속에서 한국인의 문화유전자를 추출해 내었다. 한국인의 문화유전자 연구는 바로 인간의 결을 연구하는 것이다. 음식, 문학, 철학, 역사, 정치, 경제 등에 한국인은 어떤 결을 만들어왔는가 하는 것을 이 책을 통해 알 수 있다.

한국인의 문화유전자 연구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후원하고 한국국학진흥원이 주관하며 2012년도부터 시작되어 연차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2013년도에는 20대부터 60대까지 10년 단위로 각 세대의 일상생활문화와 그 문화를 향유하는 한국인의 대표정서, 그리고 197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10년 단위로 각 시대의 일상생활문화와 그 문화를 향유하는 한국인의 대표정서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에 근거해 12명의 분야별 전문가들이 세대별 특징과 각 세대의 청년기인 20대 시절의 특징을 연구한 성과를 이 책에 담았다.

상세 정보 더보기

추천 게시물

해씨님의 프로필 이미지

해씨

@haessi

  • 해씨님의 폭풍의 언덕 게시물 이미지

폭풍의 언덕

에밀리 브론테 지음
앤의서재 펴냄

읽었어요
2시간 전
0
유리님의 프로필 이미지

유리

@hy10ve

  • 유리님의 인간 실격 게시물 이미지

인간 실격

다자이 오사무 지음
민음사 펴냄

읽었어요
2시간 전
0
최유란님의 프로필 이미지

최유란

@sloweyesrani

  • 최유란님의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게시물 이미지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룰루 밀러 (지은이), 정지인 (옮긴이) 지음
곰출판 펴냄

읽었어요
3시간 전
0

이런 모임은 어때요?

집으로 대여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한국인의 문화유전자를 우리가 살고 있는 일상에서 찾아보고자 기획된 이 책은, 각 시대별(1970~2000년대)과 세대별(20~60대)로 겪은 일상을 개괄하고 그 속에서 한국인의 문화유전자를 추출해 내었다. 한국인의 문화유전자 연구는 바로 인간의 결을 연구하는 것이다. 음식, 문학, 철학, 역사, 정치, 경제 등에 한국인은 어떤 결을 만들어왔는가 하는 것을 이 책을 통해 알 수 있다.

한국인의 문화유전자 연구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후원하고 한국국학진흥원이 주관하며 2012년도부터 시작되어 연차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2013년도에는 20대부터 60대까지 10년 단위로 각 세대의 일상생활문화와 그 문화를 향유하는 한국인의 대표정서, 그리고 197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10년 단위로 각 시대의 일상생활문화와 그 문화를 향유하는 한국인의 대표정서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에 근거해 12명의 분야별 전문가들이 세대별 특징과 각 세대의 청년기인 20대 시절의 특징을 연구한 성과를 이 책에 담았다.

출판사 책 소개

한국인의 문화유전자를 우리가 살고 있는 일상에서 찾아보고자 기획된 이 책은, 각 시대별(1970~2000년대)과 세대별(20~60대)로 겪은 일상을 개괄하고 그 속에서 한국인의 문화유전자를 추출해 내었다.
과연 한국인의 문화유전자는 무엇인가? 또한 한국인만의 문화유전자는 과연 존재하는가? 최근 한류의 바람을 타고 세계인들이 한국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는데, 과연 한국인은 어떠한 민족성을 지녔기에 이러한 폭발적인 에너지를 뿜어내는가? 위와 같은 궁금증과 더불어 한국인의 문화유전자를 보다 심도 있게 발굴하기 위해 한국국학진흥원에서는 일상과 세대 간 문화유전자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한국인의 일상과 문화유전자는 일정한 관련이 있다는 전제 아래 한국국학진흥원 문화유전자발굴사업팀이 1970년대부터 10년을 단위로 삼아 시행한 시대별·세대별 설문조사에서는 대표적인 일상문화로 ‘음주가무, 영화관람, 학업과 자기개발, 여행, 운동·헬스, 콘서트 및 뮤지컬공연관람, 스마트기기·IT·미디어 사용, 통기타·장발·데모로 발현되는 저항문화, 다양한 형태의 모임, 생업·일’ 등이 거론되었다. 또한 그러한 일상문화 활동의 바탕에 ‘조화·어울림, 공동체문화, 신명·흥, 정과 사랑, 여유, 끈기, 열정·도전·진취성, 소통·열림·공유, 자연스러움, 담금질·수련·단련’ 등의 기질적 태도나 정서가 깔려 있다는 대답이 나왔다.
한국인의 문화유전자 연구는 바로 인간의 결을 연구하는 것이다. 음식, 문학, 철학, 역사, 정치, 경제 등에 한국인은 어떤 결을 만들어왔는가 하는 것을 이 책을 통해 알 수 있다. 한국인의 문화유전자 연구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후원하고 한국국학진흥원이 주관하며 2012년도부터 시작되어 연차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2013년도에는 20대부터 60대까지 10년 단위로 각 세대의 일상생활문화와 그 문화를 향유하는 한국인의 대표정서, 그리고 197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10년 단위로 각 시대의 일상생활문화와 그 문화를 향유하는 한국인의 대표정서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에 근거해 12명의 분야별 전문가들이 세대별 특징과 각 세대의 청년기인 20대 시절의 특징을 연구한 성과를 이 책에 담았다.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더 많은 글을 보고 싶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