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은 사람
1명
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두꺼운 책
출간일
2014.6.15
페이지
480쪽
상세 정보
한국인의 문화유전자를 우리가 살고 있는 일상에서 찾아보고자 기획된 이 책은, 각 시대별(1970~2000년대)과 세대별(20~60대)로 겪은 일상을 개괄하고 그 속에서 한국인의 문화유전자를 추출해 내었다. 한국인의 문화유전자 연구는 바로 인간의 결을 연구하는 것이다. 음식, 문학, 철학, 역사, 정치, 경제 등에 한국인은 어떤 결을 만들어왔는가 하는 것을 이 책을 통해 알 수 있다.
한국인의 문화유전자 연구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후원하고 한국국학진흥원이 주관하며 2012년도부터 시작되어 연차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2013년도에는 20대부터 60대까지 10년 단위로 각 세대의 일상생활문화와 그 문화를 향유하는 한국인의 대표정서, 그리고 197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10년 단위로 각 시대의 일상생활문화와 그 문화를 향유하는 한국인의 대표정서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에 근거해 12명의 분야별 전문가들이 세대별 특징과 각 세대의 청년기인 20대 시절의 특징을 연구한 성과를 이 책에 담았다.
추천 게시물
해씨
@haessi
폭풍의 언덕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유리
@hy10ve
인간 실격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최유란
@sloweyesrani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이런 모임은 어때요?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1)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30 /180명
정모/행사 [100일] 플라이북 리딩 챌린지 📚
5월 19일 (월) 오전 12:00 · 무료 · 96 /제한 없음
책 추천 방
무료 · 727 /제한 없음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6)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29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교직원용)
7월 1일 (화) 오전 12:00 · 무료 · 16 /7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5)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28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4)
5월 20일 (화) 오전 12:00 · 무료 · 29 /180명
사이다
무료 · 4 /4명
.
무료 · 1 /1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3)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34 /180명
상세정보
한국인의 문화유전자를 우리가 살고 있는 일상에서 찾아보고자 기획된 이 책은, 각 시대별(1970~2000년대)과 세대별(20~60대)로 겪은 일상을 개괄하고 그 속에서 한국인의 문화유전자를 추출해 내었다. 한국인의 문화유전자 연구는 바로 인간의 결을 연구하는 것이다. 음식, 문학, 철학, 역사, 정치, 경제 등에 한국인은 어떤 결을 만들어왔는가 하는 것을 이 책을 통해 알 수 있다.
한국인의 문화유전자 연구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후원하고 한국국학진흥원이 주관하며 2012년도부터 시작되어 연차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2013년도에는 20대부터 60대까지 10년 단위로 각 세대의 일상생활문화와 그 문화를 향유하는 한국인의 대표정서, 그리고 197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10년 단위로 각 시대의 일상생활문화와 그 문화를 향유하는 한국인의 대표정서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에 근거해 12명의 분야별 전문가들이 세대별 특징과 각 세대의 청년기인 20대 시절의 특징을 연구한 성과를 이 책에 담았다.
출판사 책 소개
한국인의 문화유전자를 우리가 살고 있는 일상에서 찾아보고자 기획된 이 책은, 각 시대별(1970~2000년대)과 세대별(20~60대)로 겪은 일상을 개괄하고 그 속에서 한국인의 문화유전자를 추출해 내었다.
과연 한국인의 문화유전자는 무엇인가? 또한 한국인만의 문화유전자는 과연 존재하는가? 최근 한류의 바람을 타고 세계인들이 한국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는데, 과연 한국인은 어떠한 민족성을 지녔기에 이러한 폭발적인 에너지를 뿜어내는가? 위와 같은 궁금증과 더불어 한국인의 문화유전자를 보다 심도 있게 발굴하기 위해 한국국학진흥원에서는 일상과 세대 간 문화유전자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한국인의 일상과 문화유전자는 일정한 관련이 있다는 전제 아래 한국국학진흥원 문화유전자발굴사업팀이 1970년대부터 10년을 단위로 삼아 시행한 시대별·세대별 설문조사에서는 대표적인 일상문화로 ‘음주가무, 영화관람, 학업과 자기개발, 여행, 운동·헬스, 콘서트 및 뮤지컬공연관람, 스마트기기·IT·미디어 사용, 통기타·장발·데모로 발현되는 저항문화, 다양한 형태의 모임, 생업·일’ 등이 거론되었다. 또한 그러한 일상문화 활동의 바탕에 ‘조화·어울림, 공동체문화, 신명·흥, 정과 사랑, 여유, 끈기, 열정·도전·진취성, 소통·열림·공유, 자연스러움, 담금질·수련·단련’ 등의 기질적 태도나 정서가 깔려 있다는 대답이 나왔다.
한국인의 문화유전자 연구는 바로 인간의 결을 연구하는 것이다. 음식, 문학, 철학, 역사, 정치, 경제 등에 한국인은 어떤 결을 만들어왔는가 하는 것을 이 책을 통해 알 수 있다. 한국인의 문화유전자 연구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후원하고 한국국학진흥원이 주관하며 2012년도부터 시작되어 연차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2013년도에는 20대부터 60대까지 10년 단위로 각 세대의 일상생활문화와 그 문화를 향유하는 한국인의 대표정서, 그리고 197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10년 단위로 각 시대의 일상생활문화와 그 문화를 향유하는 한국인의 대표정서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에 근거해 12명의 분야별 전문가들이 세대별 특징과 각 세대의 청년기인 20대 시절의 특징을 연구한 성과를 이 책에 담았다.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