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은 사람
1명
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25.2.25
페이지
304쪽
상세 정보
오스트리아에서 태어나고 자란 수지는 어느 날, 자신이 한국 독립운동가의 손녀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아버지에게도, 할머니에게도 들을 수 없었던 할아버지의 이야기를 찾아 수지는 그의 흔적을 쫓는다. 수지의 할아버지는 일제강점기 프랑스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외교특파원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 서영해였다. 그는 총과 칼 대신 펜으로 싸운 독립운동가이자 뛰어난 언론인, 소설가였다.
서영해는 프랑스 파리에서 엘리자베스 브라우어를 만나 짧은 결혼생활을 했다. 엘리자베스와 그 사이에는 스테판이라는 아들이 태어났지만 서영해와 그의 한국 가족들은 아들의 존재를 알지 못했다. 스테판 역시 평생토록 자신의 친아버지가 누구인지 제대로 알 수 없었다. 그러나 손녀 수지 왕은, 비엔나에서 우연히 만난 한국인 여성들을 통해 자신의 할아버지가 누구이며, 그가 한국 민족을 위해 어떤 일을 했는지 알게 된다. 그날 이후, 그녀는 모르고 지냈던 자신의 역사를 찾기 위해 조부모가 남긴 흔적을 따라 세계 곳곳을 방문한다.
이 책을 언급한 게시물1
프네우마
@pneuma
수지가 만난 세계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상세정보
오스트리아에서 태어나고 자란 수지는 어느 날, 자신이 한국 독립운동가의 손녀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아버지에게도, 할머니에게도 들을 수 없었던 할아버지의 이야기를 찾아 수지는 그의 흔적을 쫓는다. 수지의 할아버지는 일제강점기 프랑스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외교특파원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 서영해였다. 그는 총과 칼 대신 펜으로 싸운 독립운동가이자 뛰어난 언론인, 소설가였다.
서영해는 프랑스 파리에서 엘리자베스 브라우어를 만나 짧은 결혼생활을 했다. 엘리자베스와 그 사이에는 스테판이라는 아들이 태어났지만 서영해와 그의 한국 가족들은 아들의 존재를 알지 못했다. 스테판 역시 평생토록 자신의 친아버지가 누구인지 제대로 알 수 없었다. 그러나 손녀 수지 왕은, 비엔나에서 우연히 만난 한국인 여성들을 통해 자신의 할아버지가 누구이며, 그가 한국 민족을 위해 어떤 일을 했는지 알게 된다. 그날 이후, 그녀는 모르고 지냈던 자신의 역사를 찾기 위해 조부모가 남긴 흔적을 따라 세계 곳곳을 방문한다.
출판사 책 소개
이제껏 몰랐던 한국인 할아버지 서영해를 찾아가는 수지 왕의 여정.
복잡한 가족 관계를 복원하고 새로운 세계를 만나다
▶ 오스트리아에서 나고 자란 수지와 한국인 독립운동가 할아버지
오스트리아에서 태어나고 자란 수지는 어느 날, 자신이 한국 독립운동가의 손녀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아버지에게도, 할머니에게도 들을 수 없었던 할아버지의 이야기를 찾아 수지는 그의 흔적을 쫓는다. 수지의 할아버지는 일제강점기 프랑스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외교특파원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 서영해였다. 그는 총과 칼 대신 펜으로 싸운 독립운동가이자 뛰어난 언론인, 소설가였다.
서영해는 프랑스 파리에서 엘리자베스 브라우어를 만나 짧은 결혼생활을 했다. 엘리자베스와 그 사이에는 스테판이라는 아들이 태어났지만 서영해와 그의 한국 가족들은 아들의 존재를 알지 못했다. 스테판 역시 평생토록 자신의 친아버지가 누구인지 제대로 알 수 없었다. 그러나 손녀 수지 왕은, 비엔나에서 우연히 만난 한국인 여성들을 통해 자신의 할아버지가 누구이며, 그가 한국 민족을 위해 어떤 일을 했는지 알게 된다. 그날 이후, 그녀는 모르고 지냈던 자신의 역사를 찾기 위해 조부모가 남긴 흔적을 따라 세계 곳곳을 방문한다.
▶ 서영해와 수지의 가족사를 통해 되살아나는 세계사
세계를 누빈 독립운동가 서영해와 예술가 엘리자베스의 발자취는 부산, 비엔나, 파리, 서울, 상하이, 류블라냐, 평양 등에 널리 퍼져 있었다. 이들의 삶을 따라갔을 뿐인데 수지는 20세기의 격동하는 세계사를 조우한다.
서영해가 평생을 바친 독립운동은 치열했던 한국사를 반영하며, 엘리자베스의 삶은 두 차례의 세계대전 속에서 흔들리는 개인의 역사를 보여준다. 한 가족의 삶을 좇는 여정은 결국 역사가 개인에게 미친 영향을 되새기게 만들고, 잊어서는 안 될 세계사의 한 페이지를 돌아보게 한다.
그리고 한때 끊어졌던 가족의 역사는 수지가 그녀의 육촌 자매 서혜숙을 만나면서 다시 이어진다. 두 사람은 서영해의 고향 부산을 방문하고, 부산박물관에서 열린 서영해 기념 전시를 통해 그의 업적을 되돌아본다. 이러한 경험 속에서 수지는 할아버지를 더욱 자랑스럽게 여기게 되고, 자신과의 연결고리를 발견하며 그의 정신을 깊이 새긴다. 오스트리아, 대한민국, 프랑스, 중국에 걸친 수지의 가족사에는 세계사의 질곡이 녹아 있었다.
▶ 유럽 베스트셀러 작가의 시선으로 바라본 서영해의 생애
『수지가 만난 세계』는 단순한 가족사 이야기가 아니다. 20세기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역사적 탐구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이 책이 탄생하기까지 베스트셀러 작가이자 번역가, 그리고 여성운동가인 에리카 피셔의 역할이 컸다. 에리카 피셔의 사촌이 수지의 아버지 스테판과 결혼하며, 수지와 에리카의 인연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에리카 피셔가 『수지가 만난 세계』를 집필하게 된 것은 이러한 인연 때문만이 아니라, 서영해의 역사가 그녀 자신의 역사적 관심과도 맞닿아 있기 때문이었다.
한국과의 연관이 전무했던 에리카는 수지와 함께 대한민국의 근현대사를 깊이 들여다보며, 그 과정에서 자신의 가족사 또한 되새겼다. 그녀의 부모는 1933~1934년 오스트리아 비엔나 주법원 형사부에서 불법 정치 활동 혐의로 재판을 받았으며, 이는 20세기 유럽을 뒤흔든 전체주의의 그늘을 보여준다. 이러한 경험이 있었기에, 그녀는 단순한 객관적 기록자가 아니라 깊은 공감과 통찰을 담아 『수지가 만난 세계』를 집필할 수 있었다. 또한 에리카는 “이 책은 조선을 식민지화했던 일본 제국뿐만 아니라,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의 파시스트들에 맞서 싸운 자유 투사에 관한 이야기다”라고 말하며, 서영해의 투쟁이 단순히 한국의 독립운동이 아니라 세계사의 일부임을 강조했다. 따라서 『수지가 만난 세계』는 한국뿐만 아니라 유럽에서도 의미 있는 역사적 기록으로 남을 것이다.
▶ 독립운동가 할아버지를 이어, 조선의 역사를 유럽에 알리다
할아버지와 그의 조국에 관해 거의 알지 못했던 지구 반대편의 손녀 수지의 삶은 이제 완전히 달라졌다. 2016년, 수지와 그녀의 자매 스테파니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대한민국 독립운동 심포지엄에 참가했고, 2019년에는 독립운동 100주년 기념행사 참석을 위해 서울을 방문했다. 그리고 2023년 수지는 에리카 피셔와 함께 서영해와 그의 독립운동을 기록한 책을 오스트리아에서 출간하였다.
이제 수지는 할아버지가 평생을 바친 독립운동과 20세기 한국의 역사를 오스트리아에 전하고 있다. 이는 조선의 유구한 역사를 알리고 독립운동의 정당성을 세계에 알리기 위해 여러 권의 책을 출간한 서영해를 떠올리게 한다. 손녀 수지는 할아버지의 유지를 이어받아 21세기에도 그의 독립운동을 세상에 알리고 있다. 그러한 노력의 결실이 『수지가 만난 세계』이다.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