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홍 글자

너새니얼 호손 지음 | 휴머니스트 펴냄

주홍 글자

이 책을 읽은 사람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15,000원 10% 13,50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24.12.2

페이지

352쪽

상세 정보

너새니얼 호손의 탄생 220주년을 맞아 지금의 언어 감각에 걸맞은 세심한 문장으로 번역해 출간하는 《주홍 글자》. ‘낡아빠진 통념의 낙인’이라는 앙상한 이미지로 작품을 ‘낙인찍은’ 독자에게는 완전히 다른 이야기로 가닿을 작품이다. 화려한 무늬로 덧댄 인간의 비겁한 마음보다 ‘희망’이라는 간절한 글자로 새긴 정직한 마음이 희미하더라도 더 오래 빛날 수 있음을 통렬하게 드러낸 소설. 퓰리처상 수상 작가인 윌라 캐더가 꼽은 ‘미국 문학의 3대 걸작’ 중 한 작품이기도 하다.

미국 낭만주의 문학의 선구자이자 미국 문학 전통의 기틀을 닦은 작가 너새니얼 호손은 본래 ‘해손’이라는 성을 조상에게서 물려받았다. 청교도적 전통이 짙은 세일럼에서 나고 자란 호손의 조상 중에는 치안판사를 지내며 퀘이커교도 여성에게 공개 태형의 형벌을 내리거나 이른바 ‘세일럼 마녀재판’에서 판사로 활약한 이도 있었는데, 이러한 가계의 역사를 부끄러워한 호손이 성을 바꿔버린 것이다. 허상일 뿐인 도덕적 완벽주의에 대한 반감을 키워간 호손은 자신의 대표작이자 문학사의 영원한 고전으로 자리 잡은 《주홍 글자》를 통해 이에 대해 냉철하게 비판했다.

학교교육에서 자주 다뤄지며 우리에게도 친숙한 《주홍 글자》는, 그러나 여전히 한 방향의 서사로만 소비되거나 이미 읽은 것 같은 착각을 자주 불러일으켰다. 《프랑켄슈타인》 속 괴물의 이름을 ‘프랑켄슈타인’으로 오해하는 이가 많은 것처럼 은밀하고 초라하게 몸 어딘가에 새겼을 거라고 생각하기 쉬운 글자 ‘A’가 실은 옷 위에 금실로 화려하게 수 놓인 것이라는 ‘정확한’ 사실을 아는 이도 많지 않다. 지금 시대의 감수성에 맞는 정확하고 부드러운 번역으로 《주홍 글자》를 다시금 제대로 읽어야 할 이유다.

상세 정보 더보기

이 책을 언급한 게시물1

Shade님의 프로필 이미지

Shade

@shade

  • Shade님의 주홍 글자 게시물 이미지

주홍 글자

너새니얼 호손 지음
휴머니스트 펴냄

읽었어요
6일 전
0
집으로 대여
구매하기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너새니얼 호손의 탄생 220주년을 맞아 지금의 언어 감각에 걸맞은 세심한 문장으로 번역해 출간하는 《주홍 글자》. ‘낡아빠진 통념의 낙인’이라는 앙상한 이미지로 작품을 ‘낙인찍은’ 독자에게는 완전히 다른 이야기로 가닿을 작품이다. 화려한 무늬로 덧댄 인간의 비겁한 마음보다 ‘희망’이라는 간절한 글자로 새긴 정직한 마음이 희미하더라도 더 오래 빛날 수 있음을 통렬하게 드러낸 소설. 퓰리처상 수상 작가인 윌라 캐더가 꼽은 ‘미국 문학의 3대 걸작’ 중 한 작품이기도 하다.

미국 낭만주의 문학의 선구자이자 미국 문학 전통의 기틀을 닦은 작가 너새니얼 호손은 본래 ‘해손’이라는 성을 조상에게서 물려받았다. 청교도적 전통이 짙은 세일럼에서 나고 자란 호손의 조상 중에는 치안판사를 지내며 퀘이커교도 여성에게 공개 태형의 형벌을 내리거나 이른바 ‘세일럼 마녀재판’에서 판사로 활약한 이도 있었는데, 이러한 가계의 역사를 부끄러워한 호손이 성을 바꿔버린 것이다. 허상일 뿐인 도덕적 완벽주의에 대한 반감을 키워간 호손은 자신의 대표작이자 문학사의 영원한 고전으로 자리 잡은 《주홍 글자》를 통해 이에 대해 냉철하게 비판했다.

학교교육에서 자주 다뤄지며 우리에게도 친숙한 《주홍 글자》는, 그러나 여전히 한 방향의 서사로만 소비되거나 이미 읽은 것 같은 착각을 자주 불러일으켰다. 《프랑켄슈타인》 속 괴물의 이름을 ‘프랑켄슈타인’으로 오해하는 이가 많은 것처럼 은밀하고 초라하게 몸 어딘가에 새겼을 거라고 생각하기 쉬운 글자 ‘A’가 실은 옷 위에 금실로 화려하게 수 놓인 것이라는 ‘정확한’ 사실을 아는 이도 많지 않다. 지금 시대의 감수성에 맞는 정확하고 부드러운 번역으로 《주홍 글자》를 다시금 제대로 읽어야 할 이유다.

출판사 책 소개

너절하고 비겁한 인간의 마음 위에
희망이란 글자를 새기는 간절함에 대하여


너새니얼 호손의 탄생 220주년을 맞아 지금의 언어 감각에 걸맞은 세심한 문장으로 번역해 출간하는 《주홍 글자》. ‘낡아빠진 통념의 낙인’이라는 앙상한 이미지로 작품을 ‘낙인찍은’ 독자에게는 완전히 다른 이야기로 가닿을 작품이다. 화려한 무늬로 덧댄 인간의 비겁한 마음보다 ‘희망’이라는 간절한 글자로 새긴 정직한 마음이 희미하더라도 더 오래 빛날 수 있음을 통렬하게 드러낸 소설. 퓰리처상 수상 작가인 윌라 캐더가 꼽은 ‘미국 문학의 3대 걸작’ 중 한 작품이기도 하다.

문학사의 영원한 고전이자
무한히 증식하는 살아 있는 이야기


미국 낭만주의 문학의 선구자이자 미국 문학 전통의 기틀을 닦은 작가 너새니얼 호손은 본래 ‘해손’이라는 성을 조상에게서 물려받았다. 청교도적 전통이 짙은 세일럼에서 나고 자란 호손의 조상 중에는 치안판사를 지내며 퀘이커교도 여성에게 공개 태형의 형벌을 내리거나 이른바 ‘세일럼 마녀재판’에서 판사로 활약한 이도 있었는데, 이러한 가계의 역사를 부끄러워한 호손이 성을 바꿔버린 것이다. 허상일 뿐인 도덕적 완벽주의에 대한 반감을 키워간 호손은 자신의 대표작이자 문학사의 영원한 고전으로 자리 잡은 《주홍 글자》를 통해 이에 대해 냉철하게 비판했다.
학교교육에서 자주 다뤄지며 우리에게도 친숙한 《주홍 글자》는, 그러나 여전히 한 방향의 서사로만 소비되거나 이미 읽은 것 같은 착각을 자주 불러일으켰다. 《프랑켄슈타인》 속 괴물의 이름을 ‘프랑켄슈타인’으로 오해하는 이가 많은 것처럼 은밀하고 초라하게 몸 어딘가에 새겼을 거라고 생각하기 쉬운 글자 ‘A’가 실은 옷 위에 금실로 화려하게 수 놓인 것이라는 ‘정확한’ 사실을 아는 이도 많지 않다. 지금 시대의 감수성에 맞는 정확하고 부드러운 번역으로 《주홍 글자》를 다시금 제대로 읽어야 할 이유다.

그곳에 모여 매서운 눈으로 헤스턴 프린 자신을, 가슴에는 금실로 아름답게 수 놓인 주홍 글자 A를 달고 아기를 품에 안은 채 처형대 위에 선 자신을 노려보는 사람들이라니!(76쪽)

서럽게 우는 갓난아이를 끌어안은 채 처형대 위에 선 ‘헤스터 프린’. 그의 가슴에서 금실로 수놓은 주홍 글자 A가 아름답게 반짝인다. 소설에는 A가 무엇을 뜻하는지 한 번도 언급되지 않지만 매섭게 그를 노려보는 군중도, 소설의 바깥에서 미간을 찡그리며 이 장면을 바라보는 독자도 글자의 의미가 무엇인지 분명하게 알고 있다. 가슴팍에 ‘간통한 여자’를 뜻하는 선명한 낙인을 새기고도 가슴속으로는 천박한 행실로 악마의 자식까지 낳았다는 사회적 낙인마저 감당해야 하는 헤스터. 그러나 그는 아이의 아버지를 밝히라는 추궁에 끝내 응답하지 않는다. 군중 속에서 불안하게 서성이며 상황을 지켜보는 저명한 목사 ‘딤스데일’의 눈빛에도. 한편 수년 만에 돌아온 헤스터의 남편 ‘로저 칠링워스’는 우연히 딤스데일 목사의 비밀을 알아차리고, 그에게 은밀한 복수를 시작하는데⋯⋯.

합당하다고 생각되는 대중의 비난은 마음을 무겁게 짓누르는지라 잘못된 부분은 바로잡거나 삭제하고, 실제로 가혹했다고 여겨지는 부분은 힘닿는 데까지 고칠 요량으로 서문을 아주 주의 깊게 다시 읽어보았다. 그러나 이 스케치에서 눈에 띄는 특징이라고는 솔직하고 진솔한 유머와 그 안에서 묘사되는 인물들에 대해 정확한 인상을 전달하려는 노력뿐이다.(〈2판에 부쳐〉, 7쪽)

《주홍 글자》는 초판이 출간되자마자 작가의 천재성이나 놀라운 서사, 인간의 복잡한 마음을 거침없는 전개로 펼쳐 보이는 예술적인 능력 등을 곧바로 인정받았지만, 유독 ‘도덕성’의 측면에서는 외설스럽다거나 상스럽다는 평가를 받았다. 아울러 작품을 소개하는 ‘서문’ 역할을 했던 〈세관〉 역시 “점잖은 주변 사회를 유례없이 자극했다”라는 비판을 받았다. 하지만 호손은 2판에 부치는 글을 통해 “능력이 닿는 만큼 최대한 생생한 진실”을 담아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러한 비판이 “대단히 즐겁다”라면서 “한 글자도 바꾸지 않고” 2판을 출간하는 배짱을 보여준다.
은폐해오던 당대 도덕성의 모순과 금기시해오던 청교도의 위선에 대한 폭로를 본래부터 소설의 뼈대로 삼았던 호손에게 이러한 비판은 조금의 생채기도 내지 못했다. 특히 호손은 생생한 진실을 전달하기 위해 역사적 사실을 충실하게 반영했다. 마녀로 판결받아 처형된 앤 히빈스 같은 실존 인물을 등장시키거나 갖가지 자료를 동원해 17세기 중반의 보스턴 지리까지 사실적으로 재현했다. 역사적 사실이나 실화에서 모티프를 얻어 시작된 서사는 풍부한 상징과 세밀한 심리묘사, 긴장감을 놓지 못하도록 하는 고딕소설의 수법까지 더해지며 170여 년이 넘도록 끊임없이 스스로를 갱신해내는 ‘살아 있는 이야기’로 자리 잡게 했다.

절망에 빠진 ‘나’를 구원하는 건
스스로에 대한 믿음과 몇 가닥의 실과 바늘


허먼 멜빌은 호손의 천재적인 재능을 극찬하며 《모비 딕》을 그에게 헌정했고, 헨리 제임스 역시 “미국인의 상상력이 빚어낸 가장 완벽한 작품”이라며 《주홍 글자》를 격찬했다. 이후에도 국내외 수많은 매체가 뽑은 ‘반드시 읽어야 할 고전’ 목록에서 앞자리를 차지하며 그 생명력을 과시해왔다. 인간의 내면세계를 시적이면서도 정교하게 톺아본 뛰어난 심리소설이자 당대의 현실을 성실하게 재현한 역사소설, 무덤이나 악마 등이 등장하는 고딕소설의 면모까지 보이는 《주홍 글자》의 작품성은 더 이상 의심의 여지가 없지만, 헤스터가 그랬듯 절망에 빠진 ‘나’를 구원해내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시대에 따라 그 해석을 달리할 수 있다.
헤스터에게 ‘간통’이라는 죄가 있다면 그 죄를 똑같이 짊어졌어야 할 딤스데일은, 그러나 도리어 명망 있는 목사 행세를 하며 대중의 맹목적인 지지를 받는다. 자신이 믿고자 하는 모습으로 딤스데일 목사를 이상화하는 마을 사람들의 태도도 비난받아 마땅하지만, 끊임없이 스스로를 속여야 하는 상황 속에서도 대중에게 진실을 털어놓지 않는 딤스데일 목사의 비겁함은 그보다 더 추악하다. 딤스데일 목사는 “지옥 불구덩이”에라도 빠진 듯 고통스러워하지만 그가 믿는 신도, 무턱대고 그를 맹신하는 그의 신도들도 그를 절망에서 끌어내지 못한다. 반면 ‘간통(Adultery)’이라는 낙인을 가슴 안팎에 새기고도 몇 가닥의 실과 바늘로 사람들에게 정직하게 옷을 지어줌으로써 그것의 의미를 ‘능력 있다(Able)’, ‘천사(Angel)’로 천천히 바꿔나가는 헤스터의 능력은 그 어떤 종교나 지지보다도 위대하다. 스스로에 대한 믿음과 삶에 대한 당당하고 성실한 태도에는 숨겨야 할 것이 없기 때문이다. 어쩌면 오랜 시간을 건너 우리에게 당도한 이 소설이 건네고자 하는 삶의 진실도 바로 이것이 아닐까.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더 많은 글을 보고 싶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