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은 사람
1명
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24.9.30
페이지
312쪽
상세 정보
A부터 Z까지 공연기획자의 모든 것을 자세히 정리했다. 공연기획자라는 직업이 궁금한 초심자, 공연기획자를 선망하는 지망생, 공연기획자의 일에 이제 막 들어선 입문자, 공연기획자의 일을 조금 더 잘하고 싶은 사람까지. 이 책은 공연기획과 관련된 모든 이들에게 도움을 주는 책이다. 공연기획자로 24년 동안 일해 온 저자가 그 연차 동안 실전에서 겪으며 깨닫고 모아온 수많은 경험과 노하우를 담았다.
뿐만 아니라 공연기획의 역사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 공연기획에 있어서 필요한 요소들까지도 놓치지 않고 짚어 일러주고 있다. 공연을 즐기는 사람부터 공연기획에 예산을 배치해야 하는 직종까지, 공연과 관련된 모든 이들이 읽어봐야 할 참고서와 같은 “공연기획의 모든 것”이다. 이 책이 분명 공연기획자로 가야 할 길을 알려줄 것이다.
상세정보
A부터 Z까지 공연기획자의 모든 것을 자세히 정리했다. 공연기획자라는 직업이 궁금한 초심자, 공연기획자를 선망하는 지망생, 공연기획자의 일에 이제 막 들어선 입문자, 공연기획자의 일을 조금 더 잘하고 싶은 사람까지. 이 책은 공연기획과 관련된 모든 이들에게 도움을 주는 책이다. 공연기획자로 24년 동안 일해 온 저자가 그 연차 동안 실전에서 겪으며 깨닫고 모아온 수많은 경험과 노하우를 담았다.
뿐만 아니라 공연기획의 역사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 공연기획에 있어서 필요한 요소들까지도 놓치지 않고 짚어 일러주고 있다. 공연을 즐기는 사람부터 공연기획에 예산을 배치해야 하는 직종까지, 공연과 관련된 모든 이들이 읽어봐야 할 참고서와 같은 “공연기획의 모든 것”이다. 이 책이 분명 공연기획자로 가야 할 길을 알려줄 것이다.
출판사 책 소개
어느 날 갑자기 올라가는 공연은 없다
공연의 모든 것을 담당하는 공연기획자의 극장 실무 입문서!
24년 차 실무자가 전하는 노하우를 엿보다
뮤지컬, 연극, 음악회, 구연동화, 탈춤과 사물놀이 등 우리는 살아오며 한 번쯤은 공연을 접하게 된다. 무대가 있다면 언제든지 공연을 올릴 준비가 되어 있는 직업, 바로 공연기획자다. 무대 위에서 공연이 펼쳐지기까지, 수많은 공연 관계자의 노력이 필요하다. 러닝 타임 두 시간 남짓한 그 공연을 위해서 그들은 오랜 시간을 투자한다. 그리고 무대 위의 모든 것을 담당하는 자가 공연기획자다. 공연기획자는 무대에 공연을 올리기 위해 필사적으로 애를 쓰는 직업이다.
이 책은 공연기획자가 공연을 올리기 위해 ‘어떻게 애를 쓰는지’를 고스란히 보여주는 책이다. 직무를 위해 현장에서 알아야 할 것들을 A부터 Z까지 자세히 정리해 놓았다. 저자는 공연기획의 이론과 같은 학술적인 부분이 아닌, 실제 현장에서 부딪쳐 나가는 실무적인 부분을 알리고자 했다.
공연기획자는 어떤 일을 할까요?
공연예술과 공연기획자에 관한 요점 정리 노트
‘공연기획’이 무엇인지에 관한 설명으로 1장이 시작된다. 저자는 공연기획에 대해 알기 위해서는 이론을 익히는 과정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현장 경험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현장 경험을 통한 이해가 가장 정확하다는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공연기획 일의 범위가 얼마나 넓은지, 공연기획자가 어디까지 일을 담당하는 것인지 등 본격적인 실무에 관한 내용 정리와 공연기획의 기초가 되는 가치에 대해서도 짚는다.
2장에서는 공연기획자의 역할에 관해 강조한다. 공공극장의 어려운 현실을 먼저 이야기하며, 이런 경우에서도 공연기획자가 포기하지 않고 공연을 올릴 수 있는 법에 관해 설명한다. 공연기획자에게 필요한 아이디어 발상법, 입문자로서 갖추어야 할 10가지 등등 공연기획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는 아주 기초적인 이야기부터 시작한다.
3장에서는 본격적으로 실무 이야기를 시작한다. 공연계획서를 작성하는 5가지 단계부터 제안서와 기획서를 어떻게 보고해야 하는지 설명한다. 계획서, 제안서, 기획서 등의 여타 문서를 작성하기 위해서 관객을 파악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관객에 관한 이야기도 놓치지 않는다.
4장에서는 서대문문화회관의 몇 가지 사례를 통해 어떠한 공연을 기획하는 것이 도움이 되는지 설명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극장의 유형과 역할에 관해서도 나누어 설명하고 있고, 극장의 공간 구성부터 시작하여 트렌트 파악까지 극장과 관련된 내용을 정리했다.
5장은 중요한 홍보와 마케팅에 관해 이야기한다. 마케팅 방법부터 티켓 판매에 관한 설명, 그리고 극장별 위기관리에 관한 이야기까지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6장에서는 극장 운영과 무대를 위한 재원 조성에 관해, 7장에서는 공연 계약에 관한 설명과 실무를, 8장에서는 공공극장에 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공공극장의 공연기획자로는 어떠한 일을 해야 하는지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한 생생한 이야기가 담겨 있다. 9장은 공연기획자로서 지녀야 할 자질과 마인드를 한 번 더 짚으며 마무리한다.
공연기획자를 꿈꾸는 사람,
공연기획자에 입문한 사람,
공연기획자로 제대로 해내고 싶은 사람까지
『공연기획자가 되는 법』에는 실무와 관련된 내용만이 담겨 있는 것이 아니다. 실무뿐만 아니라 공연을 올리는 공연기획자로서의 마음가짐에 관해 강조한다. 저자는 공연을 올리는 일을 그저 돈벌이로 생각하는 기획자가 아닌, 공연의 가치에 대해 알고 있는, 진지하게 생각하고 임하는 기획자의 공연이 더욱 많아지기를 바라고 있다. 공연기획자가 하는 일의 의미를 제대로 알고, 진심으로 이 일을 대하는 태도. 그것이 저자가 생각하는 공연기획자로서의 출발점이다. 좋은 공연을 올리겠다는 마음으로 오늘도 움직이고 있는, 훗날의 공연기획자에게 이 책을 전한다.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