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의 배신

심영철 지음 | 테라코타 펴냄

은행의 배신 (은행이 절대 알려 주지 않는 불편한 진실)

이 책을 읽은 사람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19,000원 10% 17,10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25.6.20

페이지

224쪽

상세 정보

한때 은행은 가장 안전한 자산을 지켜 주는 곳이었다. 우리는 예적금만으로도 이자를 받아 노후를 대비할 수 있을 것이라 믿었다. 그러나 지금은 고물가·저금리·고금리 대출의 삼중고를 겪으며 은행에 돈을 맡기는 순간 가난해지는 시대를 살고 있다. 2024년부터 이어진 금리 하락에도 예대금리차가 더 벌어지는 기현상이 이어지다 보니 이재명 대통령도 예대금리 문제를 언급했을 정도다. 이 책은 이런 금융 현실을 날카롭게 꼬집는다.

2004년 《부자가 되려면 은행을 떠나라》를 통해 금융권에 경종을 울린 저자는, 20년 가까이 지난 지금도 변하지 않은 은행의 ‘불편한 진실’을 다시 파헤친다. 고금리 대출, 낮은 예금이자, 은행에 유리한 수수료 구조, 꺾기 영업, 비우량 고객 배제, 디지털 소외 등 금융 약자를 외면하는 시스템은 갈수록 교묘해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은행이 고객을 위한다는 허울 속에 감춰진 ‘수익 극대화 전략’을 예리하게 분석하며, 왜 은행이 더 이상 우리의 편이 아닌지를 조목조목 설명한다.

이 책은 단순한 은행 비판서가 아니다. ‘은행을 떠난 이후’에는 어떤 선택지가 있는지에 대해서도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금, 비트코인, 브라질 국채, ETF 등 한때는 낯설고 위험하게만 보였던 자산들이, 가장 합리적인 선택일 수 있다고 강조하며 직접 실행해 볼 수 있는 자산 운용의 기준점을 마련해 준다.

상세 정보 더보기

이 책을 언급한 게시물1

나준호님의 프로필 이미지

나준호

@jhna0219

  • 나준호님의 은행의 배신 게시물 이미지

은행의 배신

심영철 지음
테라코타 펴냄

읽었어요
1개월 전
0
집으로 대여
구매하기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한때 은행은 가장 안전한 자산을 지켜 주는 곳이었다. 우리는 예적금만으로도 이자를 받아 노후를 대비할 수 있을 것이라 믿었다. 그러나 지금은 고물가·저금리·고금리 대출의 삼중고를 겪으며 은행에 돈을 맡기는 순간 가난해지는 시대를 살고 있다. 2024년부터 이어진 금리 하락에도 예대금리차가 더 벌어지는 기현상이 이어지다 보니 이재명 대통령도 예대금리 문제를 언급했을 정도다. 이 책은 이런 금융 현실을 날카롭게 꼬집는다.

2004년 《부자가 되려면 은행을 떠나라》를 통해 금융권에 경종을 울린 저자는, 20년 가까이 지난 지금도 변하지 않은 은행의 ‘불편한 진실’을 다시 파헤친다. 고금리 대출, 낮은 예금이자, 은행에 유리한 수수료 구조, 꺾기 영업, 비우량 고객 배제, 디지털 소외 등 금융 약자를 외면하는 시스템은 갈수록 교묘해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은행이 고객을 위한다는 허울 속에 감춰진 ‘수익 극대화 전략’을 예리하게 분석하며, 왜 은행이 더 이상 우리의 편이 아닌지를 조목조목 설명한다.

이 책은 단순한 은행 비판서가 아니다. ‘은행을 떠난 이후’에는 어떤 선택지가 있는지에 대해서도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금, 비트코인, 브라질 국채, ETF 등 한때는 낯설고 위험하게만 보였던 자산들이, 가장 합리적인 선택일 수 있다고 강조하며 직접 실행해 볼 수 있는 자산 운용의 기준점을 마련해 준다.

출판사 책 소개

똑똑하게 돈 버는 사람들은 이미 은행을 떠났다!
한때 은행은 가장 안전한 자산을 지켜 주는 곳이었다. 우리는 예적금만으로도 이자를 받아 노후를 대비할 수 있을 것이라 믿었다. 그러나 지금은 고물가·저금리·고금리 대출의 삼중고를 겪으며 은행에 돈을 맡기는 순간 가난해지는 시대를 살고 있다. 2024년부터 이어진 금리 하락에도 예대금리차가 더 벌어지는 기현상이 이어지다 보니 이재명 대통령도 예대금리 문제를 언급했을 정도다. 이 책은 이런 금융 현실을 날카롭게 꼬집는다. 2004년 《부자가 되려면 은행을 떠나라》를 통해 금융권에 경종을 울린 저자는, 20년 가까이 지난 지금도 변하지 않은 은행의 ‘불편한 진실’을 다시 파헤친다. 고금리 대출, 낮은 예금이자, 은행에 유리한 수수료 구조, 꺾기 영업, 비우량 고객 배제, 디지털 소외 등 금융 약자를 외면하는 시스템은 갈수록 교묘해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은행이 고객을 위한다는 허울 속에 감춰진 ‘수익 극대화 전략’을 예리하게 분석하며, 왜 은행이 더 이상 우리의 편이 아닌지를 조목조목 설명한다. 이 책은 단순한 은행 비판서가 아니다. ‘은행을 떠난 이후’에는 어떤 선택지가 있는지에 대해서도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금, 비트코인, 브라질 국채, ETF 등 한때는 낯설고 위험하게만 보였던 자산들이, 가장 합리적인 선택일 수 있다고 강조하며 직접 실행해 볼 수 있는 자산 운용의 기준점을 마련해 준다.

은행은 우리를 부자로 만들어 주지 않는다
우리는 오랫동안 ‘가장 안전한 곳’ ‘돈을 맡기면 이자를 주는 곳’으로 은행을 믿어 왔다. ‘예적금’이라는 단어에 안도하며 은행은 내 편이라고 생각해 왔다. 그러나 지금 우리는 눈 뜨면 가난해지는, 인플레이션 시대를 살고 있다. 물가는 오르는데 내 통장 속 이자는 제자리다. 통장에 넣어 둔 돈이 가치를 잃어 가고 있다. 은행은 오히려 이런 상황을 기회 삼아 예금자에겐 인색하고, 대출자에겐 탐욕스러운 이자 정책, 우량 고객만 챙기는 디마케팅 전략, 공공성과 책임은 외면하고 성과급 잔치에 몰두하는 모습을 보이며 ‘공공의 적’이 되어 버렸다.
은행이 수익을 올릴수록, 우리의 돈은 더 말라 간다. 이 책은 이 지점에서 출발한다. 심영철 작가는 2004년 《부자가 되려면 은행을 떠나라》라는 책으로 은행의 횡포를 폭로한 이후, 여전히 변하지 않은 은행을 향해 경고한다. 은행이 감춰 온, 또는 절대로 말해 주지 않은 불편한 진실을 낱낱이 밝히며, 은행에 기대지 않고 돈의 가치를 지키는 법을 알려 준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지금처럼 고물가·저금리의 시대에 예적금만으로는 결코 살아남을 수 없다는 것을 깨닫고 은행과 거리두기를 위한 전략을 세우게 될 것이다.

금융판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실질적인 지침!
심영철 작가는 단순히 ‘은행을 비판’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은행 중심의 금융 시스템을 벗어나 자산을 지키고 불릴 수 있는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투자 전략’을 제시한다. 예적금 위주로 자산을 배분하면 인플레이션 시대에 자산 가치를 지키기 힘들다. 따라서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수익을 추구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이 책에선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자산을 주기적으로 점검하며 조정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안전한 금융소비자’가 아닌 ‘현명한 투자자’가 되기 위해 비트코인, 배당주 투자, 브라질 국채 등을 제안한다. 가상화폐는 여전히 변동성이 크지만, 디지털 금으로 불리는 비트코인은 자산 포트폴리오에 포함하여 장기 보유해야 한다. 불황에도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는 배당주 투자는 배당금을 장기간 재투자하면 복리 투자의 효과를 볼 수 있다. 브라질 국채는 고금리와 비과세 혜택을 동시에 누릴 수 있는 투자 상품이다. 심영철 작가는 모든 투자 상품엔 리스크가 존재하지만, 이를 감수하더라도 고수익을 추구할 가치가 있다고 말한다.
이 책은 불확실한 시대에 자산 방어 수단으로 강력한 금 투자, 부동산 리스크를 낮추면서도 고정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대안인 리츠도 은행을 똑똑하게 이기는 투자 방법이라고 소개한다. 또한 ETF는 저비용·다양성·유동성이라는 세 가지 장점으로 개인 투자자에게 유리하며, 자산 배분의 핵심 도구로 활용된다고 설명한다. 전환사채는 일정 조건이 충족되면 주식으로 전환되는 구조로, 주가 상승에 따른 차익과 일정 이자 수익을 동시에 노려볼 수 있다.
이제는 은행의 룰이 아닌, 우리의 룰로 돈을 굴릴 때다. 이 책에서 제시하는 현실적인 투자 전략을 통해 ‘은행 중심’의 금융 사고에서 벗어나 자신이 주도하는 자산 관리와 돈을 지키는 데 필요한 매뉴얼을 가지게 될 것이다.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더 많은 글을 보고 싶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