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

나쓰메 소세키 지음 | 성림원북스 펴냄

마음

이 책을 읽은 사람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13,700원 10% 12,33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25.6.2

페이지

328쪽

상세 정보

‘일본의 대문호’ ‘일본 근대 문학의 거장’ ‘일본 문학의 아버지’ ‘일본의 셰익스피어’…… 우리나라에서도 널리 사랑받고 있는 나쓰메 소세키를 수식하는 말들이다. 그가 세상을 떠나기 2년 전 발표된 《마음》은 1914년 4월부터 8월까지 <아사히신문>에 연재되었던 작품이다.

100년 넘는 역사를 자랑하는 일본의 대표적 출판사 이와나미서점의 창업주가 연재 중인 《마음》을 보고 직접 나쓰메 소세키를 찾아가 출판을 부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 소세키는 자신의 책 출판 비용을 스스로 부담하고, 표지 그림과 책의 디자인에도 함께했다고 한다. 《마음》은 출간과 동시에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현재까지 1,000만 부 넘게 판매된 스테디셀러이다. 무엇이 이 작품을 이토록 오래 사랑받게 하는 걸까?

《마음》은 인간의 죄책감과 침묵, 고독과 도덕적 딜레마를 깊이 있게 그려낸 작품이다. 화려한 미사여구나 거대한 사건이 자극적으로 이어지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그럼에도 마음의 흐름을 따라 읽노라면, 손에서 놓지 못하고 숨을 죽인 채 쉼 없이 이야기의 끝을 향해 가게 된다. 나쓰메 소세키의 문장은 수면 위로는 단정하고 고요하지만, 그 아래는 쉼 없이 파동치는 감정들이 숨어 있기 때문이다.

문장과 문장 사이에 숨겨진 그 감정의 흐름을 좇아가며, 섬세하게 한 문장 한 문장을 옮기려 애썼다는 번역가 장하나는 말한다. “《마음》은 단지 한 시대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그것은 ‘지금 이 순간, 우리의 마음’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타인을 향한 무심함, 자기 자신에 대한 불신, 그리고 그 속에서 마지막까지 남겨지는 연민과 책임. 이 모든 것이 담긴 이 고요한 소설이, 독자 여러분의 마음에도 잔잔한 파문처럼 남기를 바랍니다.”

상세 정보 더보기

이 책을 언급한 게시물1

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 이 후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한때 일본어를 공부하며 읽게 된 작품이 나쓰메 소세키의 <도련님>이었다. 소설 속 등장하는 별명이라든가, 그 내용이 무척 재미있고 신기했던 기억이 난다. 이후 나쓰메 소세키라는 작가는 인간들의 내면을 참으로 잘 묘사하는 작가로 남아 있다. 워낙 유명한 작가이고, 워낙 유명한 작품들이 많아서 의외로 집에도 나쓰메 소세키의 작품이 꽤 있다.



<마음>도 제목을 알고 있던 책이다. 다른 제목과는 달리 너무나 평범해서 오히려 기억에 남았던 책이다. 한편으론 대놓고 "마음"이라고 제목을 지었으니 그의 어떤 작품들보다 더 인간의 마음에 대해 다루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책은 세 부분으로 나뉜다. 상은 선생님과 나 사이에 있던 일, 중은 부모님과 나 사이의 일을 이야기하고 그 와중에 받은 선생님의 편지, 즉 하에서 선생님의 유서를 다룬다. 학생이었던 어린 시절 '나'는 여름방학 놀러갔던 곳에서 선생님을 만나게 되고 인간적 끌림으로 인해 도쿄에 돌아와서도 만남을 이어간다. 하지만 선생님은 좀처럼 곁을 내주지 않는 사람이었고 그럼에도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선생님 댁을 방문하고 관계를 이어간다.



'나'에게 있어 도쿄와 고향은 이상과 현실로 분리되어 있다. 고향은 생활비와 교육비를 내 주시는 부모님께 효도하고 장래를 걱정해야 하는 곳인 반면, 도쿄는 자신이 좋아하는 책을 마음껏 읽고 선생님 댁을 방문하여 즐거운 시간을 보내거나 선생님과의 대화를 통해 인간과 삶에 대해 고찰하는 이상적인 장소다. 동시에 속을 알 수 없는 선생님에 대한 탐구심이나 인간 본연의 마음을 알고 싶어 더 가까이 다가가는 곳이기도 하다. 하지만 선생님에게 더 다가가기 위해선 선생님이 감추는 그 무언가를 알아야 하고 '나'는 결국 선생님의 유서를 통해 그 내용을 알게 된다.



따라서 상과 중보다는 하에서 드러나는 "선생님의 유서"가 이 책의 백미다. 선생님이 왜 그렇게 살 수밖에 없었는지에 대해 선생님은 처절하게, 혹은 담담하게 자신의 "마음"을 서술한다. 거기엔 일말의 주저함이나 망설임이 없다. 그런가 하면 그 젊은 시절의 선생님이 겪었을 "마음" 자체를 독자들은 고스란히 이해하고 공감하게 된다.



완전한 악인이나 완전한 선인은 없다. 선생님의 '나'에 대한 충고와 고백이 너무나 가슴 아픈 이유이다. 과연 우리는 선생님을 욕할 수 있을 것인가.

마음

나쓰메 소세키 지음
성림원북스 펴냄

6일 전
0
집으로 대여
구매하기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일본의 대문호’ ‘일본 근대 문학의 거장’ ‘일본 문학의 아버지’ ‘일본의 셰익스피어’…… 우리나라에서도 널리 사랑받고 있는 나쓰메 소세키를 수식하는 말들이다. 그가 세상을 떠나기 2년 전 발표된 《마음》은 1914년 4월부터 8월까지 <아사히신문>에 연재되었던 작품이다.

100년 넘는 역사를 자랑하는 일본의 대표적 출판사 이와나미서점의 창업주가 연재 중인 《마음》을 보고 직접 나쓰메 소세키를 찾아가 출판을 부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 소세키는 자신의 책 출판 비용을 스스로 부담하고, 표지 그림과 책의 디자인에도 함께했다고 한다. 《마음》은 출간과 동시에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현재까지 1,000만 부 넘게 판매된 스테디셀러이다. 무엇이 이 작품을 이토록 오래 사랑받게 하는 걸까?

《마음》은 인간의 죄책감과 침묵, 고독과 도덕적 딜레마를 깊이 있게 그려낸 작품이다. 화려한 미사여구나 거대한 사건이 자극적으로 이어지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그럼에도 마음의 흐름을 따라 읽노라면, 손에서 놓지 못하고 숨을 죽인 채 쉼 없이 이야기의 끝을 향해 가게 된다. 나쓰메 소세키의 문장은 수면 위로는 단정하고 고요하지만, 그 아래는 쉼 없이 파동치는 감정들이 숨어 있기 때문이다.

문장과 문장 사이에 숨겨진 그 감정의 흐름을 좇아가며, 섬세하게 한 문장 한 문장을 옮기려 애썼다는 번역가 장하나는 말한다. “《마음》은 단지 한 시대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그것은 ‘지금 이 순간, 우리의 마음’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타인을 향한 무심함, 자기 자신에 대한 불신, 그리고 그 속에서 마지막까지 남겨지는 연민과 책임. 이 모든 것이 담긴 이 고요한 소설이, 독자 여러분의 마음에도 잔잔한 파문처럼 남기를 바랍니다.”

출판사 책 소개

“지금보다 한층 더 외로운 미래의 나를 견디느니
쓸쓸한 지금의 나를 견디고 싶은 거지요.”
인간의 마음을 깊이 있게 탐구한 나쓰메 소세키의 역작


‘일본의 대문호’ ‘일본 근대 문학의 거장’ ‘일본 문학의 아버지’ ‘일본의 셰익스피어’…… 우리나라에서도 널리 사랑받고 있는 나쓰메 소세키를 수식하는 말들이다. 그가 세상을 떠나기 2년 전 발표된 《마음》은 1914년 4월부터 8월까지 <아사히신문>에 연재되었던 작품이다. 100년 넘는 역사를 자랑하는 일본의 대표적 출판사 이와나미서점의 창업주가 연재 중인 《마음》을 보고 직접 나쓰메 소세키를 찾아가 출판을 부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 소세키는 자신의 책 출판 비용을 스스로 부담하고, 표지 그림과 책의 디자인에도 함께했다고 한다. 《마음》은 출간과 동시에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현재까지 1,000만 부 넘게 판매된 스테디셀러이다. 무엇이 이 작품을 이토록 오래 사랑받게 하는 걸까?

《마음》은 인간의 죄책감과 침묵, 고독과 도덕적 딜레마를 깊이 있게 그려낸 작품이다. 화려한 미사여구나 거대한 사건이 자극적으로 이어지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그럼에도 마음의 흐름을 따라 읽노라면, 손에서 놓지 못하고 숨을 죽인 채 쉼 없이 이야기의 끝을 향해 가게 된다. 나쓰메 소세키의 문장은 수면 위로는 단정하고 고요하지만, 그 아래는 쉼 없이 파동치는 감정들이 숨어 있기 때문이다. 문장과 문장 사이에 숨겨진 그 감정의 흐름을 좇아가며, 섬세하게 한 문장 한 문장을 옮기려 애썼다는 번역가 장하나는 말한다. “《마음》은 단지 한 시대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그것은 ‘지금 이 순간, 우리의 마음’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타인을 향한 무심함, 자기 자신에 대한 불신, 그리고 그 속에서 마지막까지 남겨지는 연민과 책임. 이 모든 것이 담긴 이 고요한 소설이, 독자 여러분의 마음에도 잔잔한 파문처럼 남기를 바랍니다.”

이토록 인간의 내면을 깊이 있게 담아낸 소설이 있을까?
“난 죽기 전에 단 한 사람이라도 좋으니,
누군가를 믿어보고 죽고 싶습니다.
당신이 그 단 한 사람이 될 수 있을까? 되어줄 건가요?”
어쩌면 잔잔한 소용돌이 같은, 애틋한 퀴어소설

《마음》은 총 세 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 선생님과 나>에서 화자인 ‘나’는 바닷가에서 ‘선생님’이라 부르는 남자를 만난다. ‘나’의 입을 빌리자면 선생님은 “인간을 사랑할 수 있는 사람, 또 사랑하지 않을 수 없는 사람, 그러면서도 자신의 품속에 들어오는 것을 두 팔 벌려 껴안을 수 없는 사람”이다. <중. 부모님과 나>에서 ‘나’는 아버지의 병환으로 고향에 내려가고, 그곳에서 ‘선생님’께 편지를 쓴다. 일자리를 ‘선생님’께 부탁해보라는 엄마의 권유에 따른 것이었다. ‘선생님’으로부터 도착한 늦은 답장에는 “이 편지가 당신 손에 들어갈 때쯤이면 나는 이미 이 세상에 없을 것입니다. 아마 죽었을 테지요.” 하는 구절이 담겨 있었고, ‘나’는 ‘선생님’이 있는 도쿄로 향하는 전차에 올라 편지를 차근차근 읽어나간다. 소설의 절반 분량을 넘게 차지하는 <하. 선생님과 유서>는 ‘선생님’이 ‘나’에게 남긴 유서의 전문이다. 거기에는 어떤 일이 있었기에 ‘선생님’이 세상과 단절되어, 모든 인간을 믿지 않는다고 말하게 되었는지 그의 과거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마음》을 퀴어문학의 관점으로 읽으면, 이 작품이야말로 ‘고요하고도 격렬한 퀴어소설’로 손색없게 느껴진다. 나와 선생님, 선생님과 그의 친구 K가 단순한 우정을 넘어서 더 깊이 있는 관계로 해석되며, 소설의 문장들이 담고 있는 의미가 새롭게 읽힐 것이다. 유서 속 ‘선생님’은 말한다. “나는 인간 세상의 어두운 그림자를 거침없이 당신의 머리 위에 드리우려 합니다. 그렇다고 두려워할 건 없습니다. 어둠을 똑바로 응시하고, 그 속에서 참고가 될 만한 것을 붙잡으세요.”
소설 속에서 ‘선생님’은 “사랑은 죄악”이라면서도 “진정한 사랑은 신앙심과 다르지 않다고 굳게 믿고 있습니다.”라고 말한다. 어쩌면 우리 마음은 오래전부터 사랑으로 움직이고 있는지도 모른다. 어쩜 이렇게 인간의 내면을 깊이 있게 담아냈는지! 다 읽고 나면 인간이란, 사랑이란, 삶이란, 죽음이란, 시대의 윤리란, 고독이란, 자아란, 믿음이란, 비밀이란, 진실이란…… 무엇이고 또 무엇일지 자꾸만 질문들이 피어난다. 좋은 이야기는 하나의 분명한 정답을 말하지 않고, 다양한 질문을 던지게 하는 것이 아닐까? 읽고 나면 스스로의 마음을 더 깊이 있게 들여다보게 만드는 명작, 나쓰메 소세키의 《마음》이다.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더 많은 글을 보고 싶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