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iyeon Park님의 프로필 이미지

Jiyeon Park

@jiyeonpark

+ 팔로우
글자 풍경의 표지 이미지

글자 풍경

유지원 지음
을유문화사 펴냄

읽었어요
제목부터 글자 풍경이라니. 글자는 텍스트로서 내포하는 의미가 중요하다고 생각했는데 글자 자체의 모습에 초점을 맞춰서 글자를 풍경으로 바라본 제목이 흥미로웠다.

그래서인지 문자와 서체(타이포그래피)마다의 특징과 그 서체가 지니고 있는 역사 문화적인 내용들이 다뤄져서 글자를 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다. 처음엔 사진 속 서체가 모두 같아보였는데 주의를 기울이고보니 모두 다른 서체인걸 이제 알겠다.

*1장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문장은 인용된 문장이긴 하지만
물고기들은 고체상태의 물이다.
새들은 고체상태의 바람이다.
책들은 고체상태의 침묵이다.

폰트를 사용할때 저작권 의식 없이 공유하고 썼던 때가 많은데 한글폰트 디자이너들은 적게는 수천 자 많게는 낱글자를 하나하나를 디자인한다고 하니 폰트를 사용할 때도 저작권 의식을 가지고 사용 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새삼 책 속에 있는 그림들을 보면서 한글 폰트의 아름다움을 느꼈다.

*2장에서 기억남는 구절
본문용 기능적인 폰트를 점심에 쓴 숟가락에 비유했다. 숟가락의 생김새가 기억난다면 뭔가 불편했다는 뜻이니 기억나지않아야 기능을 잘 하는 것이다. 폰트 디자인에서는 바로 이 점이 어렵다. 실험적이고 독특한 폰트도 제 역할이 있긴 하지만 기능적이고 범용성 높은 폰트야말로 개발이 까다롭다.

글자에는 가시성, 판독성, 가독성이라는 기능이 있다. 가시성은 시선을 단숨에 사로잡는 힘이다. 판독성은 글자들이 서로 잘 판별되는가를 가른다. 긴 글을 읽을 때 인체에 피로감을 덜 주는 글자체에 대해 가독성이 높다고 한다.

'흥'과 '홍'은 일반적인 폰트에서 구분하기 애매한 글자인데 이런 글자를 판결문에 잘못 표기되면 그 판결문은 무효가된다고 한다. 그래서 판독성이 좋은 판결서체를 따로 만들어 사용한다고하니 신기했다.

생각보다 우리 생활 속에 글자의 가시성, 판독성, 가독성을 고려한 글자체들이 많이 있었는데 모르고 무심코 지나치던 간판들도 이 책을 보고나니 유심히 보게된다.

처음 책 읽을 때 표지 그림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궁금했는데 4장에서 궁금증이 풀렸다. 옛 악보의 피날레 장식이라고 한다.

글, 그림, 그리움. 이 세 단어의 어원이 모두 같다고 한다. '긁다'에서 왔다는 견해가 일반적이라고 한다. 글과 그림은 그 자리에 부재하는 화자, 소리, 대상이 흔적으로 남은 것으로 부재하는 것들은 그리움을 일으킨다.

월인천강. 하나의 달이 천 개의 강에 찍힌다는 표현. 이 네 글자를 인쇄술과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은유라고 책을 마무리해서 여운이 남는다.
0

Jiyeon Park님의 다른 게시물

Jiyeon Park님의 프로필 이미지

Jiyeon Park

@jiyeonpark

우리는 가지지 못한 것을 함부로 선망하고 가진 것을 폄하하는 데 일생의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 천국은 언제나 밖에 있고, 집은 지옥이다.

사람은 어떻게 빚어지는 걸까. 인상 깊은 사람과의 충돌 속에서, 콤플렉스와 트라우마의 교집합 속에서 삶이 매일같이 둔탁하게 움직인다.

페르소나의 정글에 갇혔다. 인생은 하난데 내가 연기하는 인물은 자꾸 바뀌어서 매일 새롭게 적응해야 했다.

수없이 쌓인 슬픔의 부스러기 위에서 다시는 똑같은 잘못을 저지르지 않으려고 애를 쓰는 것만이 미래의 문을 연다.

여름은 고작 계절

김서해 지음
위즈덤하우스 펴냄

읽었어요
2시간 전
0
Jiyeon Park님의 프로필 이미지

Jiyeon Park

@jiyeonpark

사람이 저마다 설명될 수 있는 부분으로만 돼 있다면 세상이 얼마나 각박할까 싶기도 했다.

정말 좋은 친구는 화제가 끊긴 동안이 관계의 단절이 아니라 가장 내밀한 소통의 시간이 되는 친구였다.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

박완서 지음
웅진지식하우스 펴냄

읽었어요
1일 전
0
Jiyeon Park님의 프로필 이미지

Jiyeon Park

@jiyeonpark

책을 읽는 재미는 어쩌면 책 속에 있지 않고 책 밖에 있었다. 책을 읽다가 문득 창밖의 하늘이나 녹음을 보면 줄창 봐 온 범상한 그것들하곤 전혀 다르게 보였다. 나는 사물의 그러한 낯섦에 황홀한 희열을 느꼈다.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박완서 지음
웅진지식하우스 펴냄

읽었어요
2일 전
0

Jiyeon Park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