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님의 프로필 이미지

:)

@eudaimoniaaa

+ 팔로우
인간 섬: 장 지글러가 말하는 유럽의 난민 이야기 (장 지글러가 말하는 유럽의 난민 이야기)의 표지 이미지

인간 섬

장 지글러 지음
갈라파고스 펴냄

한창 국제기구에서 일하고 싶다는 꿈을 꾸던 때가 있었는데 그 시절에 빈곤이나 기아에 대한 책을 찾아 읽었다. 하지만 현실에 밀려, 더 재미난 책에 밀려 잘 찾아읽지 않는 분야가 되었고 내가 일하며 만나는 사람들만으로도 충분히 마음 아픈 현실을 마주할 수 있었다.

근데 가만히 생각해보면 그 시절에 무슨 생각으로 지구반대편 사람들을 위해서 일하고 싶다는 생각을 했는지 모르겠다. 아마도 단순히 국제기구에서 일하는 모습이 멋있어 보이면서도 어려운 사람들을 돕는다는 단순한 생각에 꿈 꾸지 않았나 싶다. 지금 생각하니 참 부끄러운 이유다.

이 책을 읽는동안 전쟁과 재난, 폭력을 피해 목숨 걸고 에게해를 건너는 이들이 내가 될 수도 있었다는 생각을 했다. 어느 누구도 태어날 나라를 선택해서 태어날 수 없고 그저 운명에 따라서 태어날 뿐이다. 시리아나 아프가니스탄에서 태어나고 싶은 사람은 없었을 거고 나도 대한민국을 선택해서 태어난 게 아니다. 우연히 얻어진 일에 대해서 그것을 내 능력으로 얻은 것 마냥 착각하고 살아가는 일이 헤아릴 수 없이 많다. 게다가 그 우연히 얻은 것들을 내거라고 움켜쥐고 있기까지 하다.

“그건 오해일세, 친구. 그 선언문의 이면엔 엄청나면서 영원한 힘이 있다네. 바로 부끄러움의 힘일세.” 벤자민 프랭클린이 회의주의에 빠진 청년에게 한 이야기라고 한다. 각자의 자리에서 부끄럽지 않게 일하는 사회와 나라가 되길 소망해본다. 나부터 부끄럽지 않게 살도록 애쓰고 마음이 쓰이고 미안한 곳에는 도움이 될 방법을 찾아 행동해야겠다. 장 지글러님이 오래오래 사셔서 책을 많이 써주셨으면 좋겠다.
👍 동기부여가 필요할 때 추천!
2021년 1월 11일
0

:)님의 다른 게시물

:)님의 프로필 이미지

:)

@eudaimoniaaa

‘결코 눈부시지 않지만 너무 어둡지 않고, 지루하게 반복되지만 한순간 벅차게 아름다운..’

녹턴

가즈오 이시구로 (지은이), 김남주 (옮긴이) 지음
민음사 펴냄

2개월 전
0
:)님의 프로필 이미지

:)

@eudaimoniaaa

신의 사랑을 이해하고 발견하길 애쓰며 살았던, 하지만 한평생 인정 받지 못한 한 사제의 이야기. 유일신이 아닌 사랑이 필요한 곳에는 어떤 모습으로든 존재하고, 온세상 만물에 내재되어 있는 범신론적 신에 대하여. 서로 비난하고 증오하는 것의 대명사로 특정 종교가 떠오르는 요즘, 신을 마케팅 도구쯤으로 여기는 요즘 읽어보면 좋을 책이다. 그 흔한 단어인 사랑과 헌신이라는 것을 평생 찾아 헤매고, 삶으로 실천한 주인공 오쓰는 답답하다 못해 안쓰럽고, 바보같다가 끝에는 이게 신의 사랑의 모습인가. 싶은 생각이 들게 만든다. 한때 특정종교에 무비판, 맹목적으로 몰입했다가 현재는 철저한 무신론자가 된 나에게 큰 감동을 주었다.

깊은 강

엔도 슈사쿠 지음
민음사 펴냄

2개월 전
0
:)님의 프로필 이미지

:)

@eudaimoniaaa

각 분야마다 평론가가 있지만 사실 그들의 역할에 대해서 자세히 알지 못했다. 더군다나 대중음악 평론이라니. 그냥 듣고 기분 좋으면 좋은 대중음악 아니었던가? 싶은 생각도 있었다. 이 책에서 평론은 예술작품만큼 독립적이어야 한다고 말한다. 찬사나 비난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근거와 맥락을 보여주고 새로운 시선을 갖게 하는 것이 평론의 역할이라고 말한다. 안그래도 지치고 힘든 일상에서 스트레스 풀기 위해서 보고 듣는 것들에 대해서 그렇게까지 깊이 생각해야 하나. 싶은 생각이 들기 때문에 평론가의 도움을 받으면 좋겠다. 모든 것에 평론을 찾아 읽기는 어렵더라도 특히 좋았던 것들에 대한 평론은 찾아보고 싶게 되었다. 어찌보면 같은 작품을 다르게 보는 시각일 수도 있겠다.
내가 무엇을 좋아하고 어떤 세계에 반응하는지 알게 되는 것. 관심과 취향을 파악하게 되고, 언제 울고 언제 정신을 놓고 날뛰는지 가늠할 수 있게 되는 것. 책과 음악과 영화를 통해 욕망과 상처를 들여다 보게 되었다는 작가의 말이 특히 공감되었다. 나를 알아가는 과정이 다채로워지길. 나아가 서로의 삶이 어떻게 다르고, 내가 무엇을 알지 못했는지 알게되길 기대해본다. 자기만의 취향에 우월감을 느끼고 다른것들에 대해서는 몰이해 한것이 절대 교양있는 태도가 아니다. 나는 전혀 관심없는데 그것이 지금 왜 그렇게 인기가 많은지, 많은 사람들이 찾는지를 이해해보려는 건 그것에 담긴 당대 공감대와 정서를 읽어낼 수 있다는 균형 감각일 것이다.

눈치 없는 평론가

서정민갑 지음
오월의봄 펴냄

2개월 전
0

:)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