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이북 앱으로 보기
+ 팔로우
한창 국제기구에서 일하고 싶다는 꿈을 꾸던 때가 있었는데 그 시절에 빈곤이나 기아에 대한 책을 찾아 읽었다. 하지만 현실에 밀려, 더 재미난 책에 밀려 잘 찾아읽지 않는 분야가 되었고 내가 일하며 만나는 사람들만으로도 충분히 마음 아픈 현실을 마주할 수 있었다.
근데 가만히 생각해보면 그 시절에 무슨 생각으로 지구반대편 사람들을 위해서 일하고 싶다는 생각을 했는지 모르겠다. 아마도 단순히 국제기구에서 일하는 모습이 멋있어 보이면서도 어려운 사람들을 돕는다는 단순한 생각에 꿈 꾸지 않았나 싶다. 지금 생각하니 참 부끄러운 이유다.
이 책을 읽는동안 전쟁과 재난, 폭력을 피해 목숨 걸고 에게해를 건너는 이들이 내가 될 수도 있었다는 생각을 했다. 어느 누구도 태어날 나라를 선택해서 태어날 수 없고 그저 운명에 따라서 태어날 뿐이다. 시리아나 아프가니스탄에서 태어나고 싶은 사람은 없었을 거고 나도 대한민국을 선택해서 태어난 게 아니다. 우연히 얻어진 일에 대해서 그것을 내 능력으로 얻은 것 마냥 착각하고 살아가는 일이 헤아릴 수 없이 많다. 게다가 그 우연히 얻은 것들을 내거라고 움켜쥐고 있기까지 하다.
“그건 오해일세, 친구. 그 선언문의 이면엔 엄청나면서 영원한 힘이 있다네. 바로 부끄러움의 힘일세.” 벤자민 프랭클린이 회의주의에 빠진 청년에게 한 이야기라고 한다. 각자의 자리에서 부끄럽지 않게 일하는 사회와 나라가 되길 소망해본다. 나부터 부끄럽지 않게 살도록 애쓰고 마음이 쓰이고 미안한 곳에는 도움이 될 방법을 찾아 행동해야겠다. 장 지글러님이 오래오래 사셔서 책을 많이 써주셨으면 좋겠다.
👍
동기부여가 필요할 때
추천!
9
:)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