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삶은 언제 예술이 되는가
김형수 지음
도서출판 아시아 펴냄
읽었어요
옆에서 강연하는 듯 하다
오랜만에 술술 읽히는 글이다
아내가 병마와 일대격전을 치르는 중에 원고를 정리했다는 그는 언제나 늠름하던 그 모습 그대로 어서 나의 가난 속으로 복귀하라며 글을 시작한다
작가수업에 걸맞는 책이다
세계에 대한 명명자로서의 작가-꽃샘추위
문학적 생애를 피곤하게 하는 미신들-물레방아지기
어떤 공부가 필요한가-전범, 나 더하기 문학 창작 작가
-죽은 고래는 아무리 커도 물살이 흐르는 대로 따라 흐르지만 살아있는 송사리는 아무리 작아도 물살을 거슬러오를 줄 안다
문학하는 사람의 고독에 대하여-외롭고 지치고 속상한 것을 끝없이 존재의 위엄으로 극복하면서 마치 배가 물살을 가르듯이 도도한 세상을 조금씩 흔들리면서 그냥 헤치고 가르는 방법 외에는 문학의 길이 없는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1장 인간학으로의 초대
거인이야기-한정된 세계에 갇혀살며 존재는 유한하지만 그 한계를 뛰어넘는 인간(인식의 도구 사용)
인식의 도구들-우리는 어떤 문제를 종교적으로 대하고 , 과학적으로 이해하며, 또 예술적으로 반응
존재의 어둠속에서-근대문학(이성주의) 악의 꽃’살아있는 실존의 현상’ 불갑산 연실봉(신성의 상징, 지존파), 인간학
꿈 상처 절망 용기....의 발명자들-성격창조
버스안내양이 문학에게 받은 선물-글쓰기의 놀라운 선물 :세계를 인식
2장 언어라는 생물에 대하여
예술과 다른 언어-과학의 언어: 개념적, 성격 배제, 해석, 통계와 보편을 다루되 데이터 제공해서 지식을 주고 설득을 목표로 함
-예술의 언어 :형상적, 성격을 품고 있는 언어, 창조에 사용, 감정을 담아서 개별적이고 특수한 존재들의 삶을 통해서 감흥을 불러일으키고 감동을 주는 것이 목표
4장 창작방법에 눈뜰 때
신대륙발견-근대적사조의 시초 고전주의 17~19초 확립, 귀족, 형상화, 규칙화, 몰개성, 규범화
낭만주의의 입구와 출구-신흥신파의 시대, 내면의 이상을 담으려고 함, 상상, 너무 주관적이라 비전문가 눈에 안보임, 시민의 역사가 부각되며 리얼리즘 출현
리얼리즘특징: 세부를 진실하게 그림, 세계의 진실을 왜곡되지 않게 반영(전형) 무겁고 엄숙 그 반발로 모더니즘 출현(근대어휘)
3
바오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