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우아한 우주
엘라 프랜시스 샌더스 (지은이), 심채경 (옮긴이) 지음
프시케의숲 펴냄
읽었어요
새벽. 당신을 사색에 잠기게 하거나 한없이 작아지는 듯한 기분을 느끼게 하는 부연 분홍빛이 이곳에 다시 나타나도 우리는 놀라지 않는다. 주변의 풍경과 사람들 위로 내려앉는 첫 새벽의 햇빛은 미약해서 여전히 지구에서 사라져가고 있는 열과 대결할 힘이 없다. 그래서 기온은 계속 떨어진다. 당신이 있는 곳의 위치, 구름의 양, 습도, 기타 등등의 많은 요소에 따라 언제까지 기온이 계속 떨어질지가 달라진다. 열대 우림에서는 몇 분에 불과하지만 극지방에서는 이런 냉각이 며칠이나 지속되기도 한다.
그래도 조금 더 기다리면 태양은 천천히 우리를 비추기 시작하고 어느 순간에는 눈부시게 빛난다. 열역학적 평형에 도달하면 땅이 곧 데워지고 당신 주변의 식물들도 손가락을 쭉 편다.
그러면 당신의 손도 더 이상 차갑지 않을 테지.
겉으로 보기에는 지구처럼 작은 천체가 태양처럼 가만히 있는 무거운 천체 주위를 도는 것 같지만, 실은 모든 천체가 서로의 질량 중심 주위를 각자 돈다. 질량 중심의 위치는 가장 큰 천체의 중심에서 아주 가까워서 정적으로 보일 뿐, 행성들의 궤도에 따라 조금씩 움직인다. 태양계 안에 있는 아주 작은 티끌 하나까지도 모두 이 질량 중심에 기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종종 태양이 태양계 전체의 중심에 있다고 말한다. 그도 그럴 것이, 태양계 전체 무게의 99.87퍼센트를 차지고 있는 태양이 이 중력 게임의 승자이기 때문이다.
태양계 천체들이 어떻게 그리고 왜 움직이는지 잘 (혹은 대충이라도) 알기 전까지는 그들의 움직임을 그저 당연한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한번 알고 나면 떨쳐버리기 어려울 것이다. 우리의 겸손한 이웃들은 모두 각자 그 긴 낮과 감춰진 밤 동안 느릿느릿하고 희미한 왈츠를 추고 있다. 멈추어서 숨을 고르거나 박수를 청하지도 않고, 그저 계속해서 움직이고 있는 것이다.
은하는 은하군이나 은하단의 단위로 서로 뭉치는 경향이 있다. 그보다 더 크고 빽빽한 집단은 ‘초은하단’이라고 부른다. 알고 보니 우리는 어떤 초은하단 안에 살고 있었다. 천문학자들을 그 영역의 지도를 만들고 하와이어로 ‘헤아릴 수 없는 천국’이라는 뜻의 라니아케아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 말이 당신의 마음에 빛이 들게 하지 않는다면 무엇이 그럴 수 있을까.
1967년, 다행스럽게도 (혹은 당신이 어떻게 보고자 하느냐에 따라 다행스럽지 않게도) 원자시계가 인류 역사상 가장 정확한 기준시계가 되었다. 그 이후 국제도량형국은 1초를 세슘-133원자의 두 에너지 준위 사이의 천이에 해당하는 복사선이 갖는 주기가 9,192,631,770회 반복되는 데 걸리는 시간으로 정의했다. 그런 시계는 수십억 년 동안 1초의 오차도 생기지 않는다. 그럼에도 여전히 원자시계를 천문학적 시간과 맞추기 위해서는 협정세계시에 윤초를 사용해야 하며, 10년에 8분 정도는 1분이 60초가 아니라 61초다.
여기서는 말도 안 되는 것이 저기서는 말이 되기도 한다.
별들과 다를 바 없이 언제나 달은 거기에 있다. 낮 동안에는 하늘이 너무 밝아서 별이 보이지 않지만, 달은 가끔 낮에도 밤보다 더 밝게 보인다. 이 우주라는 세상을 함께 알아나가고 함께 춤을 출, 조금씩 우리의 낮을 길게 늘여주고 우리를 느긋하게 해주는 누군가가 있다는 건 얼마나 기쁜 일인가.
믿기 어려울지 모르겠지만, 굉장히 많은 사람들에게 산은 추하고 불길한 예감을 주는 것으로 여겨졌다. 18세기 말 낭만주의 작가들이 득세하기 전까지는 사람들이 산의 존재에 경탄하거나 산 정상에 대한 생각에 완전히 도취되거나 하지 않았다. 오늘날 우리는 지구상에서 우리라는 혼란스러운 존재로 인한 결과가 얼마나 멀리까지 미치며 얼마나 두려운 것인지 놀라워한다. 지구 온난화와 평균 온도 상승으로 인해 산의 빙하가 녹고 지구의 자전에도 영향을 준다. 예전에는 얼음층에 속해 있었던 물의 무게가 고위도에서 저위도로 재분배되면서 지구 자전축에 대한 지구의 움직임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현실은 누구도 무시할 수 없다. 붙잡았다가 내려놓았다가도 다시 붙들어야 하는 일이다. 눈을 감고 손을 주머니에 넣어도 비틀거리지 않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과거의 어떤 사건을 기억해낼 때마다 뇌의 네트워크는 기억을 변화시켜서 그 사건에 대한 다음번 회상에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정확히 기억나지도 않고, 심지어는 전혀 기억나지 않기도 한다. 알고 보면 기억이란 전혀 안정적이지도 변함없지도 않다. 게다가 뇌는 현재의 정보를 이용하고 주변 환경, 시간, 분위기와 같은 요소를 조합해 그 기억을 계속해서 고쳐 쓰고 있다. 그런 아주 작은 교정이 조금씩이라도 계속되면 우리는 모든 것을 점점 잘못 기억하게 된다. 이런 연구를 처음 진행했던 이들 중 한 사람은 기억의 불완전한 경향성을 아주 간단히 한 마디로 정리했다. “어떤 사건에 대한 당신의 기억은 갈수록 부정확해지고, 다시 꺼내볼 때마다 완전히 날조에 이르는 지경이 되기도 한다.” 슬프게도 혹은 다행스럽게도, 우리의 회상은 때때로 우리가 이야기하는 것보다 더 허구가 되고, 처음에 기억을 전해준 그 책보다 더 소설이 되어 버린다.
그러나 이렇게 불완전한 기억도, 그 미묘하게 반복된 일련의 어긋남도 다 이유가 있다. 기억은 끊임없이 과거에 머무르는 대신 최신 버전을 유지함으로써 당신이 지금 이 상황에서 훌륭하고 유용한 결정을 내리도록 도우려 한다. 뇌는 지금 자신이 누구이며 현재 무엇을 생각하고 느끼는지를 기준으로 계속해서 기억을 걸러내기 때문이다. 우리가 꼭 붙들고 있는 기억, 가장 자주 떠올리는 기억은 자주 회상했다는 바로 그 이유 때문에 처참하게도 가장 부정확한 기억이 되어 간다. 그러니 무언가 기억하고 싶으면 잊어야 한다. 다른 것을 꾹 눌러놓을수록 특정한 기억을 유지할 수 있다. 그렇게 해도 그 모든 세부적인 내용 대신 왜곡된 디테일의 조합만 감지할 수 있을 뿐이다.
우리의 기억은 분명하고 생생하며, 매우 잦게는 통째로 잘못되었다.
1
Lucy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