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7대 이슈로 보는 돈의 역사 2
홍춘욱 (지은이) 지음
로크미디어 펴냄
.
#도서리뷰, #돈의역사2, #홍춘욱, #2020, #로크미디어
다작 홍춘욱 선생 작품 되시겠다.
영양가가 있네 없네 말 들이 많으니 각자 알아서 판단하시고....
이 책은 전작 돈의역사1 히트 이후 발행한 시리즈 2편
좀 더 많은 에피소드를 알고 싶다면 돈의역사1 도 읽을 것을 추천
난 2편 1편 순으로 읽음
2편 책 구성은 7가지 키워드 관점으로 접근
1. 화폐 :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모자라도 문제, 차고 넘쳐도 문제
2. 전염병 : 시사점 3가지
-. 1인당 소득의 상승 : 인구 감소, 경제규모 축소되지만 1/n 몫은 늘어난다
-. '내집단'과 '외집단' 사이의 경계 : 책임 회피 및 자기방어 본능
-. 보호무역주의 : 경제의 축소에 따른 '우리끼리 잘 살자'
-. p121 이렇게 정리해 두셨네요.
3. 기후변화 : 자연재해는 단순 자연빵?, 환경파괴에 따른 영향? 구분 가능 하신 분?
4. 경쟁 : 달러 패권에 대한 내용 중 흥미로운 부분
-. p172 : 2019년 기준 전 세계 외환거래 액 가운데 달러화 비중 88.3%
-. 세계 GDP 내 미국 비중 20% 감안시 달러의 영향력은 자국 경제 규모 대비 4배
-. p180 : 2004년 이후 주요국 통화별 외환거래 점유율 추이
-. 2019년 달러(88.3), 유로(32.3), 엔(16.8), 파운드(12.8) 순으로 2004년 이후 1~4위 순위변화 없음
-. 위안화 29위(2004) -> 8위(2019)까지 상승했지만 4위 영국 파운드 대비 1/3 수준 (2019년 4.3%)
어라... 중국 경제 규모는 커지는데 기축 통화로서 위치는?
5.신뢰
-. 1062년 박정희 정부 환 -> 원 화폐개혁 당시 높은 물가 상승
-. 2019년 3월 한국은행발 화폐개혁 보고서 : 환율 상승 및 금 값 상승으로 해프닝으로 종결
기억하자 : 화폐개혁 (리디미노네이션) 소리 들리면 실물자산 또는 달러 쟁여 두자
6.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한 챕터를 할 애해 잘 정리를 해주어 좋았다.
-.주담대 권리를 MBS채권으로 만들어 조각 내어 판매 시작
-. 높은 회전율을 통한 BIS비율 회피, 금리 상승에 따른 피해 최소화
-. 주담대 심사 간소화 : 대출 후 바로 MBS만들어 팔아 자금 회수가 빠르다 보니
-. NINJA (No Income No Job) 대출 성행
-. 2003년 이라크 전쟁 후 2004년 하반기부터 미국 경제 회복, 금리 인상 시작
-. 금리 상승으로 부동산 구입을 망설이기 시작하자 은행은 서브프라임 대출 실행
-. 높은 금리에도 불고 서브프라임 고객들 대상 '2-28 모기지' 상품 개발 (2년 무이자, 3년차 원리금 상환)
-. 은행원 : 2년뒤 대출 연체 되 기전 보너스 받고 퇴사할 생각, 서브프라임 고객 : 2년간 주택 가격이 오를 테니 원리금 상환 시점에 집 팔아 수익 실현할 생각
-. 2007년 시점 서브프라임 고객 2년 무이자 종료시점 집 매도, 높아진 금리 (5.25%)에 실수요자도 매도
-. 2007년 여름 유럽 BNP파리바 헤지펀드 환매중단
-. 2008년 3월 미국 4위 베어스턴스 경영난 -> 연준개입 JP모건이 베어스턴스 인수 결정
-. 2008년 9월 15일 서브프라임 상품을 가장 많이 들고 있던 리먼브라더스 파산 (베어스턴스 개입으로 연준은 청문회에서 비난을 받은 상태라 더 이상 개입하지 못 함)
-.리먼 파산 후 다른 금융기관들도 나를 구해 줄 이 아무도 없다는 생각에 자산 '염가 매각' 시작
-. 악순환 시작 : 부동산 가치 하락, 주식 가치 하락, 소비 심리 위축
-. 2008년 말 연준 금리 0% 인하, QE 진행 (중앙은행이 직접 채권 매입)
-. 담보대출 TALF (은행이 가진 대출채권을 담보로 중앙은행 -> 시중은행에게 높은 금리의 대출 실행)
-. 구제금융 TARP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금융기관에 돈을 투입)
-. 2009년 5월 미 재무부 스트레스 테스트 진행 : 합격 "이 은행은 안전합니다”, 불합격 TARP 진행
-. 2009년 4분기부터 경제회복 시작
-.주담대 금리 하락에 따른 부동산 시장 안정화, 회사채 금리 하락에 따른 기업 실적 개선, 기업 투자 확대
2008년 당시 30대 이후 세대들이라면 자녀 경제공부 차원에서 알아두면 좋을 사건이라 생각한다.
7. 갈등
-. 미, 중 무역분쟁 : 2등이 따라오니 1등이 열 받은 거
금융위기 챕터 하나로 책 값 했다!!!
끝-
👍
일상의 재미를 원할 때
추천!
0
지리산산기슭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