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n-ji님의 프로필 이미지

eun-ji

@eunji0d6e

+ 팔로우
낙인찍힌 몸 (흑인부터 난민까지, 인종화된 몸의 역사)의 표지 이미지

낙인찍힌 몸

염운옥 지음
돌베개 펴냄

p. 312
본질주의의 위험을 경계하면서도 이주를 인간 본성에까지 확장해보려는 시도가 ‘호모 미드란스’다. 여기에는 인간은 누구나 행복을 추구하기 위해 자신이 태어난 땅을 떠나 이주할 권리가 있으며, 자신의 의사에 반해 태어난 곳이나 사는 곳으로부터 강제이주를 당하는 것은 인권침해라는 의미가 함축되어 있다. 그런 점에서 ‘불법체류자’라는 표현은 잘못됐다. 이주는 국민국가의 경계를 넘나드는 현상이기 때문에 특정 국가의 체류 허가를 받지 못한 상태, 즉 ‘불법체류’가 상시적으로 발생할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불법’(illegal)이라는 낙인을 인간에개 붙일 수는 없다. 유엔에서도 ‘불법’체류자를 ‘미등옥’(undocumented)체류자로 고쳐 쓰도록 권고하고 있다. 인간은 지구 어디에든 끊임없이 이주하고 정착하며 살아왔다. 민족국가의 경계가 이주에 장벽을 세워온 것은 근대 이후의 역사일 뿐이다. 한국인은 우연히 한반도에 만저 정칙해 삶을 일구어온 선주민일 뿐이고 나중에 들어온 사람들이 이주민이다. 이렇듯 인식의 전환은 언어의 교정에서부터 시작될 수 있을 것이다.

p. 323
난민을 국가안보 차원이 아닌 인간으로 바라보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2022년 8월 6일
0

eun-ji님의 다른 게시물

eun-ji님의 프로필 이미지

eun-ji

@eunji0d6e

세계 경제 지각 변동

박종훈 지음
글로퍼스 펴냄

1일 전
0
eun-ji님의 프로필 이미지

eun-ji

@eunji0d6e

가만히 있을 수가 없어 꾹꾹 눌러 담는 마음으로 압화를 만들기 시작한 사람과 상처를 감추기 위해 타투를 시작한 사람, 그러지 않고서는 견딜 수 없던 시간을 마음으로 나누는, 그저 두사람이 있을 뿐이다.

‘나’는 처음으로 상처 없이 깨끗한 살에 “어떤 문양으로 이어질지 아직 알 수 없“는 가능성과 같은, ”반듯하지도, 깔끔하지도 않은 실선“ 하나를 새기기 시작한다.

섣부른 이해의 시도가 오해로 변질될 수 있기에 섣불리 다가가지 않는다. 그러나 다름의 배척도 안될것이다.

빛을 걷으면 빛

성해나 (지은이) 지음
문학동네 펴냄

6일 전
0
eun-ji님의 프로필 이미지

eun-ji

@eunji0d6e

  • eun-ji님의 빛을 걷으면 빛 게시물 이미지

빛을 걷으면 빛

성해나 (지은이) 지음
문학동네 펴냄

읽었어요
6일 전
0

eun-ji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