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빛님의 프로필 이미지

새벽빛

@saebyeokbit

+ 팔로우
태백산맥 10: 제4부 전쟁과 분단 (제4부 전쟁과 분단)의 표지 이미지

태백산맥 10

조정래 지음
해냄출판사 펴냄

읽었어요
길고 긴 태백산맥 능선을 이제 다 넘었다.
여태 미뤄두었던 여정을 정지아의 <아버지의 해방일지>를 읽었기에 늦게나마 시작할 수 있었다.

10권에서는 거제 포로수용소 사건이 자세히 나온다. 거제도에 갔을 때 아이들과 둘러보았던 곳인데 그곳에서 본 기록은 실제와 많이 다른 것 같았다.
공비토벌작전에 이은 잔비토벌작전으로 빨치산은 궁지에 몰리고 많은 인물들이 비극의 끝을 맺는다. 굶주림과 동상까지 더해 상황이 좋지 않은 것을 알면서도 두려움 없이 토벌대에 맞서는 모습이 인상깊었다. 막다른길에 이르렀는데도 항복하지 않고 목숨을 바쳐 뒷날 역사 속에서 이루는 역사투쟁으로 전환할 것을 다짐하는 빨치산들.

휴전 협정을 맺은 지 70년이 되었는데 이들의 염원과 달리 변질된 지금의 북한 정권을 보면서 살아남은 빨치산은 어떤 생각을 할까. 그들의 목숨이 너무 허투루 버려진 것 같아 가슴이 아프다.
<아버지의 해방일지>에서 빨치산이었으며 인류애가 넘쳐났던 고상욱을 떠올려 본다.

그리고 최은영의 <밝은 밤>에서 엿본 빨치산도 떠올려 본다. 그곳의 빨치산은 <태백산맥>의 빨치산만큼 정의롭지 않았다. 힘 없는 여자를 성적으로 착취했다는 할머니의 이야기가 더 사실에 가까웠을지도 모르겠다.

최근으로 시선을 돌려 보면 지금까지 저항정신이 투철한 우리 나라 사람들이 정치적으로 너무 무기력해진 것 같다. 경쟁은 더 치열해지고 소통은 더 어려워지면서 사람들은 각자도생의 길을 선택했다.

작품 중에 손승호의 독백이 가슴에 남았다.
"자각하지 못한 자에게 역사는 존재하지 않으며, 자각을 기피하는 자에게 역사는 과거일 뿐이며, 자각한 자에게 비로소 역사는 생명체인 것이다."

우리가 역사를 알아야 하는 이유다. <태백산맥>을 읽고 나서 내적으로 큰 힘이 생긴 것 같다.
2023년 8월 20일
0

새벽빛님의 다른 게시물

새벽빛님의 프로필 이미지

새벽빛

@saebyeokbit

하주시청에서 일하는 두 공무원이 레즈비언들의 혼인신고서류를 받아 준다. 처음에는 고모의 50년지기 옆사람을 가족으로 만들어주기 위해 시작한 일이었지만, 종래에는 101쌍의 동성 혼인 커플을 만들어내고야 만다.

동성 커플의 혼인을 허락하면 정말 혼란이 야기될까?
커플들이 줄이어 낸 혼인신고서들이 통과되고 오류가 잡히기 전까지만 법적으로 유효한 관계이지만 오래된 그들의 꿈이 실현되는 장면들이 무척이나 통쾌하다.

오늘의 세리머니

조우리 지음
위즈덤하우스 펴냄

읽었어요
5시간 전
0
새벽빛님의 프로필 이미지

새벽빛

@saebyeokbit

《완득이》, 《우아한 거짓말》을 펴낸 김려령 작가의 단편집.
모두 7편의 단편이 수록되어 있는데 다양한 형태의 '가족' 들이 등장한다.
맨 앞에 실린 <기술자들>은 배관공으로 시작해 실리콘, 타일 줄눈 등의 일을 하는 솜씨 좋고 호흡 잘 맞는 두 기술자들의 이야기이다.
모든 작품에서 요즘 세태를 예리하게 꼬집고 있다.

<상자>와 <뼛조각>, <청소>는 철들지 않은 어린 어른들의 다양한 모습들이 나오는 소설.
<황금 꽃다발>은 공부 잘한 큰놈보다 옆에서 걱실하게 잡일하는 작은놈을 편애하는 엄마의 마음이 재밌는 혼잣말들로 그려져 있다. <완득이>처럼 키득거리며 읽었다.
<세입자>는 미스터리 형식의 색다른 단편이어서 흥미로웠다면, <오해의 숲>은 여고생들의 관계를 소재로 한다는 면에서 <우아한 거짓말> 느낌이 조금 나긴 하지만 전혀 새로운 이야기다.

📚 자식은 키우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자랐다. 핑계라고 해도 어쩔 수 없다. 그녀는 자신이 키운다는 오만을 일찌감치 버렸다. 명상처럼 되뇌고 되뇌었다. 조언이라는 말로 토달지 말고, 예의라는 가르침으로 지적하지 말며, 경청하고 바라만 볼것. 그럼에도 발생하는 문제의 책임은 기꺼이 짊어질 것. 그것이 그들이 요구하는 엄마의 모습이었다. (226쪽, <청소> 중에서)

기술자들

김려령 지음
창비 펴냄

읽었어요
3일 전
0
새벽빛님의 프로필 이미지

새벽빛

@saebyeokbit

  • 새벽빛님의 조선으로 온 카스테라 게시물 이미지
부모님의 홍경래의 난에 연루되어 어머니는 사라졌고 아버지는 병상에 누웠다. 살기 위해 이모인 조 상궁의 도움을 받아 궁녀가 되려 했지만 자기 자신을 믿으며 적극적으로 살겠다고 마음먹는다.

📚 자신의 삶을 구속하는 안팎의 조건으로부터 벗어나는 일은 쉽지 않지요. 그래서 대다수는 운명으로 받아들이고 남들이 갔던 길을 따라갑니다. 지금 시작하는 일이 사소할지라도 먼 미래에 우리는 남들과 조금이라도 다른 길을 걷고 있을 겁니다. (작가의 말 중에서)

✒️ 인물들이 서로서로 도움을 주고받는 장면이 특히 좋았다. 다미는 원래 불행한 세상과 부모를 원망해서 벗어나고 싶어했지만, 그랬던 자신에 대해 죄책감을 갖게 되고 후에는 용서하고 포용하는 자세로 삶을 대한다. 새로운 삶을 살게 된 다미는 또 다른 이들과 도움을 주고받으며 공생한다.
반면, 계산적이고 이기적인 인물들은 결국 관계에 해악을 끼치고 사건을 파국에 이르게 한다.

조선으로 온 카스테라

한정영 지음
다른 펴냄

1주 전
0

새벽빛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