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스타님의 프로필 이미지

책스타

@chaekstar

+ 팔로우
가난해지지 않는 마음 (양다솔 에세이)의 표지 이미지

가난해지지 않는 마음

양다솔 (지은이) 지음
놀(다산북스) 펴냄

누군가의 일기를 훔쳐본 것만 같다.
나와 비슷한 이야기를 보게 되면 반가운 마음이나 동질감을 느꼈고,
나와는 완전히 다른 이야기를 접하면 그것도 나름대로 흥미로웠다.
살면서 마음이 가난해질 때면 이 책을 다시 한번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P. 31
불교의 법은 모든 것이 나로부터 나아가 나에게로 돌아온다고 믿는다. 그곳에서 싫은 상대를 만난다면 그는 원수가 아니라 나를 돌아볼 수 있게 해주는 불보살, 즉 은인으로 불렀다. 거기서부터 시작해 자신의 마음이 어떤 식으로 움직이는지, 어떤 습관에 지배받는지 살펴보아야 했다. 내가 행동을 바꿔야 한다면 누가 나를 싫어해서가 아닌 바로 나를 위해서여야 했다. '사람들은 왜 나를 싫어하지?'에서 '나는 왜 이 행동을 하고 싶지?'로 질문이 바뀌는 데는 꼬박 2년이 걸렸다.

P. 161
계획? 다솔아, 그런 거 세우면 안 돼. 아무것도 세우면 안 돼. 모든 걸 버려. 리듬에 너를 맡겨.

P. 219
나의 작은 밥상에 오르기 위해 지구 어딘가에서 태어나고 살다가 죽은 이구나. 그 순간 선명해졌다. 나는 외롭다고 말할 자격이 없다는 것을. 혼자라는 생각이 얼마나 무지했는가를. 사실 혼자라는 말은 결코 성립될 수가 없었다. 나를 위해 누군가 죽어야 한다면 결코 혼자라고 할 수 없었다.

P. 246
차별을 받아본 집단이 그보다 더 소수의 집단을 더 철저하게 차별할 수도 있다는 것을 그들을 보며 알았다.
2023년 8월 27일
0

책스타님의 다른 게시물

책스타님의 프로필 이미지

책스타

@chaekstar

일곱 편의 단편이 모인 이 소설집은 제목처럼 짜고, 달고, 때로는 시큼하다.

‘역시 조예은이지’라는 말이 절로 나올 만큼 흡입력 있는 문장이 인상적이었다.

다만 이미 읽은 작품이 두 편 있어 조금 아쉬웠다. 다음에는 완전히 새로운 이야기로 만나고 싶다.

📖
P. 222
모두를 이해하고 한 생에 여러 삶을 유영하는 존재라니. 그게 신이 아니면 무엇이지?

P. 324
그렇다 하더라도, 그 모든 걸 없는 셈 치고 무로 돌아가는 건 너무 슬프지 않아? 기억이란 쇠퇴하지. 그리고 소중한 것은 다시 생겨나.

치즈 이야기

조예은 지음
문학동네 펴냄

5일 전
0
책스타님의 프로필 이미지

책스타

@chaekstar

  • 책스타님의 야생 붓꽃 게시물 이미지
이 시집은 주어가 흐려진 문장 속에서 마음이 자유롭게 흘러가는 경험을 준다. 오묘하게 열린 문장들은 누가 말하는지, 무엇이 말하는지 알 수 없지만, 그 자체로 존재와 생명을 노래한다.

자연의 언어, 특히 붓꽃과 정원의 이미지가 시마다 배어 있어, 눈앞에 펼쳐지는 풍경을 따라 마음도 한 걸음씩 깊어진다.

주체를 알 수 없는 목소리 속에서 존재의 고요함과 아름다움을 느끼며, 시가 마음속에 오래도록 잔물결처럼 남는다.

📖
P. 17
살아 있는 것들이 모두 똑같은 정도로 빛을 필요로 하지는 않아요. 우리 중 일부는 우리 자신의 빛을 만들어요: 아무도 다닐 수 없는 좁은 길 같은 은빛 이파리, 어둠 속 커다란 단풍나무들 아래 얕은 은빛 호수.

P. 77
모든 생애에, 어떤 순간이 있다, 한두 번은. 모든 생애에, 어딘가에 방 하나가, 바닷가나 산 속에. 테이블 위에, 살구 한 접시가. 하얀 재떨이 속에 씨들.

P. 88
내 커다란 행복은 절망 속에서도 내게 외치는 네 목소리가 만드는 소리; 내 슬픔은 네가 내 거라 받아들이는 말로 네게 대답할 수 없다는 것.

야생 붓꽃

루이즈 글릭 지음
시공사 펴냄

읽었어요
1주 전
0
책스타님의 프로필 이미지

책스타

@chaekstar

  • 책스타님의 감정실격 게시물 이미지
손에 쥘 수도, 물리적으로 건드릴 수도 없는 감정을 마치 그럴 수 있는 것처럼 생각하던 지난 날들을 되돌아보았다.

그런 무형의 것을 조절하려다 제풀에 지쳐 피로를 느낀 날들이 얼마나 많았던가.이젠 ‘척’하지 않아도 된다는 한마디가 큰 위로로 다가온다.

함께 실려 있는 워크북으로 마음가짐을 더욱 단단히 다질 수 있어 유익한 시간이었다.

📖
P. 54
질투는 상대가 아니라 지금의 나를 정면으로 마주했을 때 드러나는 고통이다. 질투는 내가 나를 향해 던진 비난이고, 내가 나를 미워하면서 하는 투정이다.

P. 93
불안은 살고 싶은 사람이 느끼는 감정이다. 불안을 느끼는 나는 지금도 살아 있으려고 애쓰는 사람이다. 그러니 이렇게 말해도 된다. "나는 불안해. 하지만 그건 내가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뜻이야."

P. 149
진짜 자존감은 감정과 함께 흔들릴 수 있는 용기에서 온다. 질투하고, 분노하고, 외로워하면서도 여전히 내가 괜찮은 사람일 수 있다는 그 믿음에서 자라난다.

P. 173
감정은 절대 고정되어 있지 않다. 기쁨도, 슬픔도, 분노도, 두려움도 모두 흐른다. 파도처럼 밀려왔다가 빠져나가고, 바람처럼 불어왔다가 사라진다. 그런데 우리는 종종 감정을 '붙잡으려' 한다. 분노를 오래 곱씹거나, 슬픔을 깊이 움켜쥐거나, 기쁨을 절대 잃고 싶지 않아 한다. 그러다 보면 감정은 흐르지 못하고 고인다. 고인 감정은 점점 무거워지고, 결국 내 몸과 마음의 한 구석을 썩게 만든다.

감정실격

김나은 지음
페르아미카실렌티아루네 펴냄

읽었어요
1주 전
0

책스타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