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근본파와 현실파 넘어서기
신승철 외 2명 지음
알렙 펴냄
읽고있어요
지난주 일요일, 서울은 최고 기온이 22도까지 올라갔다. 만나는 사람마다 '피크닉' 노래를 불렀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바로 다음 날인 월요일, 12도까지 떨어졌다. 비는 추적추적 내리기 시작했으며, 다시 뽀글이 플리스를 꺼내 들었다.
그리고 어제, 금요일. 이른 아침부터 하늘이 노란색이었다. 마치 디스토피아 영화처럼. 황사 마스크가 아니라 방독면이 필요한 건 아닐까, 집 밖으로 나가도 되는 건가. 고민에 고민을 거듭했다.
'이상기후'
솔직히 이상해진 지 오래돼서 더 이상 이상하지 않다.
'기후 위기'
끊임없이 말하고, 소소하게 실천하지만 대한민국의 시계는 거꾸로 가는지, 많은 환경 정책, 강화되어도 모자란 규제들이 오히려 완화되고 있다. 일회용품은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종이 분리수거 시 테이프와 스티커를 제거하지 않아도 된다는 말도 안 되는 이야기가 세상에 나왔다.
22대 총선을 위한 눈 가리고 아웅, 그저 민심을 위한 눈먼 자들의 뒷걸음질인 것 같아 한숨이 나왔다.
그리고 마침 이 '녹색 운동'의 근본이 될 것 같은 책을 만났다. 신승철, 정유진, 최소연님의 『근본파와 현실파 넘어서기』다.
📖
환경을 생각하는 '녹색 운동'에도 두 가지 방향성이 있다.
근본파는 문제의 원인을 찾아 '근본적인 해결'을 하자 말하고, 현실파는 '현실의 문제'에 집중해 해결하는 단기적 대응을 말한다.
사회 생태주의, 심층 생태주의, 생태 민주주의, 에코 파시즘... 그 안에서도 다양한 이론이 있고, 끊임없이 부딪힌다.
'환경'과 관련된 건 그 어떤 분야보다도 이해관계가 복잡하다. 잘 지킨다고 해서 당장 득이 되는 부분이 전혀 없기 때문이다. 더 '나빠지지 않기 위해서' 하는 것들이 많기에
앞으로 나아가려고만 하는 사람들은 쉬이 환경에 관심 두지 않는다.
그럼에도 수많은 사람이 지금도 환경 문제를 해결하고자 끊임없이 자신의 주장을 펼치고 있다.
조금은 이론적이고, 어떻게 보면 정치적인 이야기여서 어려웠지만, 복잡다단한 녹색 운동의 근본을 들여다볼 수 있던 책 『근본파와 현실파 넘어서기』였다.
🌱
누군가는 말한다. (직접 들은 말이다)
"너 하나 그런다고 아무도 알아주지 않아."
"그래봤자 아무것도 안 변해."
"피곤하게 살지 말고 너도 그냥 남들처럼 대충 해"
플로깅을 하던 다른 분은 나에게 이런 고민을 털어놓은 적이 있다. 업무상 지인이 "그러고 다니면 없어 보인다고 남들이 흉본다"라며 조언 아닌 조언을 했는데, 어떻게 생각하냐고.
책을 덮는다. 그리고 이제는 묻고 싶다.
"그렇게 아무것도 안 하면 세상이 어떻게 될 것 같나요?"
4
찬일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
슈슈
“그냥.. 해보니까 난 이게 맞더라고~“
2024년 4월 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