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계몽의 변증법
테오도르 W. 아도르노 외 1명 지음
문학과지성사 펴냄
인간은 정말 이성적인 존재일까?
2차 대전 때 나치의 박해를 피해 미국으로 망명한 유대인 지식인들은 위와 같은 질문에 대해 깊은 회의감을 느꼈다.
왜냐하면 히틀러라는 단 한 사람에 의해 독일 전체가 유대인 학살이라는 광기에 빠졌기 때문이다.
저자는 목적을 위해 그 방식이 어떻든 가장 효율적인 수단과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 인간의 이성이라면 그것은 그저 도구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예컨데, 전쟁에서 이기기 위해 무지막지한 살상무기를 만들어내고,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공업용 폐수를 강물에 방류하거나, 식료품에 저질 식재료를 사용하는 행태들이 이런 것들이라 하겠다.
이 책의 제목이자 저자가 다른 시각으로 해석한 계몽에 대해 내가 이해한 바는 이렇다.
인류는 계속해서 진보해왔는데, 아주 먼 옛날에는 자연을 너무나도 두려워한 나머지 지어낸 이야기에 불과한 신화를 통해 두려움을 극복하려했다.
저자는 이러한 신화 또한 더욱 더 무지몽매한 앞 선 시대의 계몽이라고 보았다.
그러다가 18세기에 이르러 계몽주의 사상이 유럽을 휩쓸었고, 세상 만물이 과학적으로 증명되어야 한다는 신념 아래 과학 기술은 그 어느 때보다 빠르게 발전했다.
그 결과 노동은 분업화 되었고, 사회는 복잡하게 분열되었으며,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새로운 체계가 등장했다.(경제, 정치, 행정)
이러한 체계와 대중문화는 인간 개개인을 전체라는 틀에 가두었고, 이로 인해 인간의 이성은 한계에 부딪히게 되었다.
역설적이지만 인류의 진보에 커다란 역할을 한 계몽이 오히려 인간의 사고를 경직시키고, 개개인을 전체로 옭아 맸다는 것에 대해 저자는 날카롭게 비판한다.
계몽이 도로 신화가 되었다.
즉, 인간으로서 사유 가능한 한계가 계몽에 의해 그어졌다는 말이다.
많은 철학자들이 주술과 미신, 인간의 비합리적인 관념을 넘어서도록 한 계몽을 찬양했지만, 이 책의 저자는 이를 전혀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았다.
나는 이점이 이 책이 갖는 위대함이라고 생각한다.
1
god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