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호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성호

@goldstarsky

+ 팔로우
복지의 원리 (대한민국 복지를 한눈에 꿰뚫는 10가지 이야기)의 표지 이미지

복지의 원리

양재진 지음
한겨레출판 펴냄

2041년 국민연금기금 적립금은 1778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1999년 이후 2041년까지 한 해도 빠지지 않고 기금은 쌓여만 간다. 국민연금공단의 성공적 자금운용도 기금을 효과적으로 불려낸다. 그 정점이 지금으로부터 채 20년이 남지 않은 2041년인 것이다.

그로부터 15년이 흐른 2057년, 기금은 완전히 고갈된다. 그뿐인가, 그해에만 124조원의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평가된다. 2088년엔 수입 337조원, 지출 1120조원으로 적자만 783조원에 이르게 된다. 그때까지 연금을 유지할 수 있다면 말이지만.

한 가정이 생산하는 후 세대 인구가 1.0명에 이르렀다 해서 온 사회가 경고음을 울렸던 유럽과 달리 한국은 0.7명대로 떨어졌음에도 국가적 대책이 전무하다. 복지를 논하는 이들은 왜란이 지척에 다가왔음을 알리던 통신사의 심정으로 정부와 국회가 나서 대책을 수립할 것을 요구한다. 그러나 국민 중 복지문제에 깊이 관심을 가진 이는 많지 않으니, 이것이 인기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국회가 복지문제를 나서서 이야기하지 않는 이유이기도 하다.

책이 이야기하는 결론은 명확하다. 위기가 닥쳐오기 전에 국민들의 부담을 선진국가 수준으로 인상해 대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부자증세 등의 인기영합 정책만으론 닥쳐오는 위기를 막아낼 수 없음이 명백하다. 보편적 증세와 연금 보험료율 인상을 통해 생산가능인구 급감과 부양인구 급증에 대비한 합리적인 복지설계를 새로이 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복지가 가져오는 위기와 희망이 코앞까지 다가온 지금, 시민들은 복지를 더욱 깊이 이해해야만 한다. <복지의 원리>는 그 인도자로서 충실한 저작이다.
2024년 6월 14일
0

김성호님의 다른 게시물

김성호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성호

@goldstarsky

다큐멘터리 감독 이은혜와 마주 앉은 일이 있다. 그는 영화제가 끝나면 곧 출국할 예정이라 했는데, 한국에선 결혼을 할 수가 없는 때문이라 했다. 동성 간 결혼을 한국은 막고, 미국은 허용한단 이야기. 그러고보면 몇년 전 그런 뉴스를 접한 것도 같았다.

2015년 미국 연방 대법원 결정으로 50개 주 모두에서 합법화된 동성결혼 이야기를 나는 저기 케냐 북부 자연보호구역에서 기린 개체수가 급감한다는 사실처럼 여겼다. 그건 내 문제가 아니고 앞으로도 그럴테니까. 그러나 가까운 이들마저, 존중하고 존경하는 이들까지도 동성애에 혐오를 감추지 않으니 나는 이것이 더는 내 문제가 아니라고 장담할 수 없게 되고 말았다. 혐오가 인간을 잠식하는 비결이 무지와 무관심, 쫄보근성에 있단 걸 알기에 나는 이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 보기로 했다.

레즈비언도 산부인과도 관심 없는 내게 이 또한 사람과 병원의 이야기란 걸 알게 해줬다. 여기까지.

레즈비언의 산부인과

이은해 지음
이프북스 펴냄

1주 전
0
김성호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성호

@goldstarsky

짝사랑의 일기장을 구했대도 이따위로 써놨다면 고이 덮으리. 나의 사랑이 부족하다 힐난한다면 그 사랑마저 반납하리. 책장을 건너 사랑을 이루기엔 내 인내심이 턱없이 박약하니.

당대 사교계가 얼마나 의미 없는 것인가를 들춘다. 문제는 독자로 하여금 그 의미없음을 모자란 인물의 관점에 갇혀 동행토록 한다는 것. 전권에 걸쳐 독자는 이 덜떨어진 놈이 후회하는 일생을 그 시야에 갇힌 채 함께 걸어야 한다. 오로지 가석방 없는 12년 형을 받고 비좁은 감방 2인실에 경멸하는 인간과 함께 갇혔다 만기출소한 이만이 나의 마음을 이해할 것이다.

나이 먹어 시든 여자와 타고 나길 못난 여자를 향한, 또 멍청해 재미 없는 남자와 성공 못해 돈 없는 남자에 대한 모욕적 묘사가 많다. 찾아가 한 따까리 하고 싶은데 일방적으로 들어야 한다. 심지어 품위 있는 척 쓰는 꼴은 참아내질 못하겠다.

드디어 디뎠다. 문학의 바닥을.

잃어버린 시절을 찾아서 1~12

마르셀 프루스트 지음
펭귄클래식코리아(웅진) 펴냄

1주 전
0
김성호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성호

@goldstarsky

30년 간 9편의 영화를 내놓고 은퇴한 벨라 타르다. 타르의 세계를 구성한 작품들은 슬로우시네마의 거장이란 평가와 함께 다른 누구와도 구별되는 독자적인 영화세계를 구축했다. <사탄탱고>는 <토리노의 말>과 함께 타르의 대표작으로 거론되며, 그 지루함과 난해함에 있어 악명이 자자한 작품. 러닝타임 내내 졸지 않았다는 사실만으로도 시네필임이 검증된다는 얘기가 나돌 정도다.

실린 글은 벨라 타르의 특징들, 이를테면 롱 쇼트의 적극적 활용, 시간과 날씨를 그대로 반영하는 선택, 관객의 의식을 프레임 바깥으로 확장케 하는 연출 등을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영화를 찍는다는 행위가 벨라 타르에게 어떤 의미인지를 짐작케 하고, 그가 그를 어떻게 감당했는지를 확인하도록 한다. 그리하여 벨라 타르가 영화예술계, 나아가 관객에게 어떤 가치를 갖는지를 사유하게끔 이끈다. 한국 유일 벨라 타르, 또 <사탄 탱고>의 입문서로의 역할을 톡톡히 해낸다.

사탄탱고

정태수 외 4명 지음
코프키노 펴냄

1주 전
0

김성호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