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머리가 좋다는 건 무슨 뜻일까?
모나이 히로무 지음
갈매나무 펴냄
중요한 것은 어디에 어떻게 집중할 것인가다. 자기 몸의 소리를든 는 첫걸음은 지금 자신이 어느 부위를 움직이고 있는지, 어떤 감각에 노출되어 있는지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다. 자신이 어떻게 걷는지, 말할 때는 어디에 혀를 두는지를 생각해본 적 있는가? 그런데 막상 주의를 기울이면 제법 적절히 움직이고 있음을 깨닫는다. (p.140)
『머리가 좋다는 건 무슨 뜻일까』라는 다소 딱딱한 제목의 책을 읽었다. 사실 책을 처음 접할 때에는 내용도 어렵고, 재미도 없을 것 같다 생각했는데 막상 책을 읽으니 정말 술술 읽혀서 깜짝 놀랐다. 평소 내가 가장 신뢰하는 힘인 “지구력” 영역에 뇌도 넣을 수 있다는 생각을 해보지 않았던 터라 “뇌지구력”이라는 단어는 몹시 낯설었는데, 이것이야 말로 수시로 달라지는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실패의 상황에서도 다시 생각하고 뇌를 사용하게 하는 필수적인 요소임을 깨ㄷㄷ게 된 것. 급변하는 사회에 우리 아이들이 조금 더 유연한 사고, 조금 더 능동적인 사고를 하길 바란다면 꼭 한번 만나보길 바란다.
우리가 어릴 때 부모님들이 종종 했던 말. “우리 애는 머리는 좋은 데 노력을 안해요”. 하지만 대학입시를 준비하고, 취업을 할 때 의문이 들었을 것이다. “내가 정말 머리라도 좋았던 걸까”하고 말이다. 그렇다면 정말 뇌와 공부는 밀접한 관계가 있을까? 구태어 나누자면 머리가 좋지 않아도 공부를 잘할 수 있고, 뇌의 기능과 지능은 별개라고 할 수 있겠다. 『머리가 좋다는 건 무슨 뜻일까』에서도 IQ가 좋다고 해서 마리가 좋은 것도 아니고, 의사소통이나 사회성, 감성지능 등은 지표로 표현할 수 없기에 뇌의 능력과 지식의 수준이 같다고 말할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뇌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것에 맞는 훈련을 한다면 뇌를 더욱 잘 이용할 수 있기때문에 기억력이나 응용력이 개선될 수는 있다.
『머리가 좋다는 건 무슨 뜻일까』에서는 이런 특성들을 바탕으로 세상과 통화는 뇌, 모험을 즐기는 뇌, 망각하는 뇌, 몸과 교감하는 뇌, 예술을 추구하는 뇌, 공감하는 뇌, 뒷정리잘하는 뇌 등에 대해 무척 다양하고 상세하게 이야기를 풀어간다. 무척 흥미롭게 느껴졌던 부분은 감수성이 뇌에 미치는 영향이었다. 민감도를 어떻게 풀어내야 뇌 발전에 도움을 줄 지 읽으며, 우리 아이 특성에 맞는 교육이 정말 필수적이라는 생각을 했다. 그 외에도 감정과 행동 사이에서 뇌가 하는 일 등을 풀어놓은 부분을 보며, 내 감정을 조금 더 간단하게 정리하는 연습을 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기도 했다.
『머리가 좋다는 건 무슨 뜻일까』의 중심이자, 가장 궁금했던 영역인 AI였다, 최근에는 AI의 발달로 직업을 잃는 이들도 생기고, 우리 아이도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교육을 받고 있기에 절로 관심이 기울여졌다. 뇌와 AI의 차이를 읽으며 인간만이 가진 고유한 부분을 보다 발달시키고, 보다 똑똑하게 AI를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는 것이 실질적이고 필수적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꽤 오랜기간, 기계의 발달로 인간의 뇌자체에 대한 관심이 다소 줄었던 것 같다. 하지만 뇌지구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여러 포인트들을 놓치지 않고 발전시킨다면 AI도 인간의 훌륭한 파트너가 될 수 있을리라는 생각이 든다. 요즘, 꼭 필요한 읽기가 아니었나 생각하며 『머리가 좋다는 건 무슨 뜻일까』였다.
2
책읽는엄마곰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