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딩북페어인가에서 언급되어 알게 된 책 제목. 긴가민가...하다가 우선 대여해서 빌려보았다. 키워드 정도만 안 상태에서 읽어내려간 상태였지만 영~ 내용이 내가 상상한 대로 흘러가지 않아서 참, 당황했다.
우선 불법적이거나 부도덕한 것에 영~ 알러지가 있는 사람이라 첫 시작부터 부도덕하고 법을 어기는 주인공이 참 마음에 들지 않기 시작, 그 이후는 그녀가 왜 그렇게까지 할 수밖에 없었는지에 대한 이야기가 주르륵~
재미가 없지는 않았지만서도, 책 뒤편 평론가, 작가들이 천편일률적이지 않은 내용에 훌륭함을 언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입맛이 쓰고 불편한 감정이 이는 것은 어쩔 수가 없다.
분명한 사회적 문제가 이 책의 소재다. 간병!
11개월 동안 엄마를 간병했지만 나 혼자이지 않았고, 코로나 시작 살짝 전이었고, 우리집엔 어느 정도 병원비나 간병비를 낼 만한 상황이었고 1년, 2년... 10년이 아니라 1년이 채 안되는 11개월뿐이었다고 해도 분명 간병은 힘든 일이다. 10년 넘게 치매 할머니를 모셨던 경험도 있어 잘 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모든 일들이 불법을 저지르거나 부도덕한 데에 변명이 되지는 않는다.
또하나의 불편함. 바로 그녀의 딸이다. 대학을 졸업할 정도의 나이만큼 먹어서 엄마 등을 치는 딸이 정말 많은가? 흔한가? 모르겠다. 누군가에겐 너무나 감동적인, 잊을 수 없는 책이 될지언정 적어도 나에겐 영~ 불편한 책이었음은 분명하다.
우리가 겨울을 지나온 방식
문미순 지음
나무옆의자 펴냄
0
온라인 서점 인친님들의 서평을 둘러보다가 레이더망에 걸린 책 <사랑의 역사>. 표지도 사랑스러운데 책 제목도 사랑의 역사라니~ 정말 몽글몽글하다. 스포당할까 자세히 읽지 않아 이 책이 남녀간의 사랑에 대한 책인 줄. 그래도 읽고 싶어서 일단 대여해 봤다.
첫 느낌과 점점 달라지는 느낌에, 역시나 읽기 잘했다고 생각하는데 뭔가 점점 익숙한 느낌이 난다. 조너선 사프란포어의 <엄청나게 시끄럽고 믿을 수 없게 가까운>이라는 책. 9.11 테러를 배경으로 하고 아빠를 잃은 아이의 아픈 성장기를 다룬 책인데, 어째서 <사랑의 역사>에서 그 향기가 나는 걸까~ 신기하다...생각하다가 검색해 봤더니! 세상에~! 두 작가가 부부란다. 오호~ 이럴 수도 있구나 싶다. 부부는 닮는다더니, 책의 성격도 닮는 걸까. 그건 좀 아니지 않나...혼자 이런저런 생각을 해 봤으나, 뭐 두 작가의 대표작밖에 안 읽어봤으므로 결론은 내릴 수 없다.
<사랑의 역사>는 제 2차 세계대전에서부터 비롯된다. 전쟁으로 목숨을 잃을 뻔 했던 한 소년. 그 이후 사랑하던 소녀도 잃고, 가족도 잃었다. 일생에 자신의 사랑은 그녀 하나뿐이라고 생각해 우여곡절 끝에 찾아갔으나 그녀는 이미 가정을 이룬 뒤였다. <사랑의 역사>는 그 이후 이 소년과 이 소년이 소녀를 사랑하며 쓴 책 <사랑의 역사>를 가지고 있던 그의 친구, 또, 칠레에 방문했다가 우연히 이 책을 구입해 감동하여 자신의 딸에게 책 속 엘마의 이름을 붙여주고 그 이름을 가지게 된 한 소녀의 이야기로 진행된다. 엄격하게 이야기하자면, 주인공은 사랑의 책을 쓴 레오폴드 거스키와 그 책의 여자주인공 이름을 갖게 된 엘마로 볼 수 있다.
이들 모두 상실을 경험했고 어떻게든 자신의 삶을 이어 살아가고자 한다. 한 사람은 죽음을 앞둔 나이로 죽기 전에 자신의 존재와 자신이 남긴 것들을 통해 의미를 찾고자 하고, 다른 한 사람은 이제 막 사춘기를 겪으며 제대로 자신의 두 발로 이 땅에 서기를 희망한다. 그런 두 사람이 <사랑의 역사>라는 책의 진실을 쫓아간다.
결국 이 책은 "상실의 슬픔과 애도"에 관한 책이다. 전쟁으로 인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 시간 동안 고통받는지를 보여준다. 그럼에도 마지막은 서로가 서로를 이해하는 사랑으로 끝날 수 있어 좋았다.
사랑의 역사
니콜 크라우스 (지은이), 민은영 (옮긴이) 지음
문학동네 펴냄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