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 팔로우
호랑이를 부탁해 - 2024년 제30회 황금도깨비상 수상작의 표지 이미지

호랑이를 부탁해 - 2024년 제30회 황금도깨비상 수상작

설상록 지음
비룡소 펴냄

읽었어요
0

에버네버님의 다른 게시물

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 이 후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아름다운 두 소녀의 얼굴이 표지를 가득 채운 <두 개의 달>은 표지부터 시선을 끈다. 닮은 듯, 다른 두 소녀에게 무슨 일이 있는 걸까 벌써부터 궁금해지는데다 언제나 신비로움 가득한 "달"이 제목에 들어가니 당연히 읽고 싶을 수밖에 없다.



그런 표지의 첫 느낌처럼 소설의 시작은 호기심으로 가득하다. 보육원에서의 대화는 한 아이에 대한 것이고 누군가가 그 아이를 원한다는 것, 그런데 그 아이는 뭔가 좀 평범하지 않다는 사실을 곧 알게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미스테리는 아이뿐이 아니다. 이 아이를 원하는 츠다 할머니는 생일과 혈육, 달이라는 단서를 달아 아이를 찾고 있다. 어쩌면 이 아이는 어떤 음모에 이용되는 것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절로 든다. 그런가 하면 또다른 곳에서 또다른 아이가 같은 형식으로 츠다 할머니와 연결된다. 츠다는 왜 이 아이들을 찾는 것일까.



앞부분의 진행이 무척 흥미로워서 정말 즐겁게 읽어나갔다. 달과 연관된 이름을 가진 두 명의 아이들, 미즈키와 아키라가 각각 다른 곳에서 지냈지만 이 둘은 같은 눈과 각자의 능력을 갖춘 아이들이라는 설정도 그렇고 어째서 아무 관련이 없는 츠다가 이 아이들을 한 곳에 모았는지도 흥미진진하다. 무엇보다 다른 환경에서 자랐기에 전혀 다른 성격을 가지게 된 두 아이가 서로를 받아들이고 함께 하는 모습은 무척 흐뭇하기까지 하다.



마냥 판타지일 것만 같던 <두 개의 달>은 서서히 츠다의 비밀이 밝혀지며 가볍지만은 않은 주제로 이어진다. 뒷 표지에 쓰인 츠다의 말, "나로 인해 죽은 너를 다시 만날 수 있다면 돌아오지 못해도 괜찮아."(...뒷표지 중)는 책의 주제로 이어지는 문장이다. 한순간의 실수와 판단이 어떤 결과로 이어지는지, 하지만 그것을 되돌려놓기 위해 하는 행동은 또 어떤 결말로 이어지는지, 그것을 책임질 수 있는 자만이 결국은 용기내어 용서받을 수 있는 것이 아닐까.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다. 지금 이 순간의 행복을 소중히 해야 함은 누구나 알고 있지만 가장 하기 힘든 일. 그래도 하루를 충실히, 내 곁의 이들에게 감사함을, 오늘도 별일 없이 하루가 지나감에 행복함을 다시 한번 되새긴다.

두 개의 달

도미야스 요코 지음
다산어린이 펴냄

2일 전
0
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 에버네버님의 두 개의 달 게시물 이미지

두 개의 달

도미야스 요코 지음
다산어린이 펴냄

읽었어요
2일 전
0
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 이 후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한때 일본어를 공부하며 읽게 된 작품이 나쓰메 소세키의 <도련님>이었다. 소설 속 등장하는 별명이라든가, 그 내용이 무척 재미있고 신기했던 기억이 난다. 이후 나쓰메 소세키라는 작가는 인간들의 내면을 참으로 잘 묘사하는 작가로 남아 있다. 워낙 유명한 작가이고, 워낙 유명한 작품들이 많아서 의외로 집에도 나쓰메 소세키의 작품이 꽤 있다.



<마음>도 제목을 알고 있던 책이다. 다른 제목과는 달리 너무나 평범해서 오히려 기억에 남았던 책이다. 한편으론 대놓고 "마음"이라고 제목을 지었으니 그의 어떤 작품들보다 더 인간의 마음에 대해 다루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책은 세 부분으로 나뉜다. 상은 선생님과 나 사이에 있던 일, 중은 부모님과 나 사이의 일을 이야기하고 그 와중에 받은 선생님의 편지, 즉 하에서 선생님의 유서를 다룬다. 학생이었던 어린 시절 '나'는 여름방학 놀러갔던 곳에서 선생님을 만나게 되고 인간적 끌림으로 인해 도쿄에 돌아와서도 만남을 이어간다. 하지만 선생님은 좀처럼 곁을 내주지 않는 사람이었고 그럼에도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선생님 댁을 방문하고 관계를 이어간다.



'나'에게 있어 도쿄와 고향은 이상과 현실로 분리되어 있다. 고향은 생활비와 교육비를 내 주시는 부모님께 효도하고 장래를 걱정해야 하는 곳인 반면, 도쿄는 자신이 좋아하는 책을 마음껏 읽고 선생님 댁을 방문하여 즐거운 시간을 보내거나 선생님과의 대화를 통해 인간과 삶에 대해 고찰하는 이상적인 장소다. 동시에 속을 알 수 없는 선생님에 대한 탐구심이나 인간 본연의 마음을 알고 싶어 더 가까이 다가가는 곳이기도 하다. 하지만 선생님에게 더 다가가기 위해선 선생님이 감추는 그 무언가를 알아야 하고 '나'는 결국 선생님의 유서를 통해 그 내용을 알게 된다.



따라서 상과 중보다는 하에서 드러나는 "선생님의 유서"가 이 책의 백미다. 선생님이 왜 그렇게 살 수밖에 없었는지에 대해 선생님은 처절하게, 혹은 담담하게 자신의 "마음"을 서술한다. 거기엔 일말의 주저함이나 망설임이 없다. 그런가 하면 그 젊은 시절의 선생님이 겪었을 "마음" 자체를 독자들은 고스란히 이해하고 공감하게 된다.



완전한 악인이나 완전한 선인은 없다. 선생님의 '나'에 대한 충고와 고백이 너무나 가슴 아픈 이유이다. 과연 우리는 선생님을 욕할 수 있을 것인가.

마음

나쓰메 소세키 지음
성림원북스 펴냄

3일 전
0

에버네버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