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그의 운명에 대한 아주 개인적인 생각
유시민 지음
생각의길 펴냄
대한민국을 둘러싼 상황은 어느 때보다 험악하다. 국가 비상사태라는 말이 틀리지 않다. 미국의 도를 넘는 관세정책은 제조업 기반인 한국엔 치명적일 밖에 없다. 가뜩이나 둔화된 경제가 아예 뭉개질 수 있으리란 위기가 공공연하다.
이미 적잖은 공장이 멈춰 섰고 시장엔 돈이 잘 돌지 않는다. 사회적 약자들은 어느 때보다 위태롭다. 복지를 책임지는 지역의 소멸이 위기에 든 건 이제는 놀랍지도 않다. 어느 때보다 멀어진 남북관계는 신경 쓰는 이들조차 얼마 남지 않았다. 인구절벽과 연금제도 붕괴는 예고된 재앙처럼 자리한다. 주어진 이십여 년의 시간은 공동체의 지속가능한 번영을 마치 항아리게임 같은 난이도처럼 여기도록 한다. 공동체는 침몰하는 배와 같으니 각자도생의 튜브나 챙기자는 자조를 흔하게 마주한다.
그럼에도 희망을 말하는 이가 있다. 절망의 언덕에서 희망을 구하는 이, 어떻게든 흐름을 되돌리자 외치는 이들을 본다. 민주주의 공화국의 유일한 희망이 정치, 현명한 주권행사에 있다는 데 이들은 뜻을 함께 한다. 윤석열을 선출한 것도 정치, 그의 선택을 막아선 것도 정치, 마침내 그를 끌어내려 법의 심판대에 올린 것도 정치이고 보면, 정치가 시민과 공동체의 보루란 건 분명해 보인다.
스스로 편파적 저널리즘으로 오늘의 언론이 망쳐놓은 기울어진 지형을 보완해야 한다 역설하는 저자다. 책 전반에 걸쳐 민주당과 이재명, 조국 등에게 노골적으로 우호적 서술을 이어가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조국을 <글래디에이터> 속 막시무스나 그리스 고전 비극 주인공에 빗대는 묘사, 노무현 대통령과 노회찬 전 의원과 함께 논하는 대목 등이 특히 그렇다. 일부 대목에선 이들에 대한 비판에 지나치게 격렬히 반응하여 피해의식의 작용이 아닌가 여겨지는 대목도 없지 않다.
그러나 책 가운데는 읽을 만한 대목이 훨씬 더 많다. 민주당의 잘못을 지적한 유일한 대목이 특히 그러하다.
유시민은 민주당이 총선에서 크게 이기고도 180석의 의석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필요한 개혁과 입법에 실패한 사실을 인정하고, 그 원인을 규명하며, 제도적으로 이를 방비하자는 데까지 나아간다. 지난 잘못을 외면하거나 아예 정치에 회의를 갖는 대신, 당에 대한 믿음을 간직한 채 제도를 개선하자는 저자의 태도가 매우 건설적이며 진취적으로 느껴졌다. 진심으로 감탄했다.
1
김성호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