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이병한의 아메리카 탐문 - 피터 틸, 일론 머스크, 알렉스 카프, J.D. 밴스, 이들은 미국을 어떻게 바꾸려 하는가
이병한 지음
서해문집 펴냄
☝️ '25년 1월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 당선 소식. 그것도 놀랍게도 압도적인 득표차라는 점.
🤔 '16년 대통령 취임 시점에도 여전히 공화당 내 비주류였던 트럼프였으나, 지금은 미국의 변화를 주도하는 주류세력이 되어 재등장했죠.
🧐 그리고 트럼프를 견인하고 있는 핵심인물들에 대한 이야기. 국제정세 특히 미국 내부의 변화를 이끄는 키 플레이어 4명을 소개하고 있는 책이 나왔네요.👍
💡 미국이 “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구호 아래 어떻게 재편되고 있으며 그 변화가 세계에 어떤 영향을 줄지 깊이 탐구한 책입니다.
.
📚 '이병한의 아메리카 탐문'(서해문집)
.
미국과 국제정세에 관심 많은 분들을 위해, 이 4인 인물 중심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
1️⃣ 피터 틸(Peter Thiel) : 기술 엘리트의 정치적 야망과 탈(脫)관료제 지향하는 "설계자"
✅️ 틸은 전통적 정치 엘리트, 관료제, 행정국가(딥 스테이트)에 대한 회의를 표하며, 기술과 자본 중심의 효율적 거버넌스를 꿈꿉니다.
✅️ 그는 선거와 대중의 감정 변화보다 지속가능한 비전, 장기적인 구조적 재설계를 중요시하죠.
✅️ 실리콘밸리 출신으로 페이팔, 팔란티어 등을 통해 기술자본 형성과 정치적 영향력을 키워가며 미국 변화의 ‘설계자(architect)’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
2️⃣ 일론 머스크(Elon Musk) : 기술과 미디어, 우주로 확장하는 "개척자"
✅️ 머스크는 전기자동차 테슬라, 우주탐사 기업 스페이스X, 그리고 미디어/소셜 미디어 X(구 트위터) 등을 통해 기술과 통신의 경계를 넓히고 있습니다.
✅️ 그는 기존 국가 경계, 기존 미디어 구조, 관료적 규제의 제약을 넘어 ‘다음 지평선(next horizon)’인 우주, 우주통신, 인간-기계/AI 통합 등에 대한 비전을 실현하려고 합니다.
✅️ 이 비전은 단순한 기업적 야망을 넘어 국가의 패러다임 변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
3️⃣ 알렉스 카프 (Alex Karp) : 데이터, 감시, 기술 정부를 최적화 구현하는 "수호자"
✅️ 알렉스 카프는 철학적 배경을 가진 인물로서, 테크 기업 팔란티어를 통해 데이터 분석, 감시 기술, 정부 운영의 디지털화 등에 깊이 개입하고 있습니다.
✅️ 그는 기술이 민주주의를 붕괴시킬 수도, 강화시킬 수도 있다는 인식 아래 ‘테크노-민주주의’ 또는 ‘알고리즘 기반 정치 거버넌스’의 가능성과 위험을 제시합니다.
✅️ ‘국가’의 일부 기능이 기술 기업과 데이터 플랫폼에 의해 대체되거나 보완되는 흐름이 그는 중요한 변화 요인이라고 봅니다.
.
4️⃣ J.D. 밴스 (J.D. Vance) : 보수 민족주의, 문화보수주의 그리고 지역공동체의 회복에 민감한 "정신적 대변인"
✅️ 밴스는 저소득층 백인, Rust Belt 지역 출신으로서, 미국 내부의 지역 격차, 경제적 고립, 전통적 가치(가족, 신앙, 공동체)의 붕괴에 대해 민감한 인물입니다.
✅️ 그는 트럼프2기의 부통령 역할을 통해 ‘미국 우선주의’, 보호무역, 문화적 보수주의, 정체성 회복 등의 방향을 대표합니다.
✅️ 또한 기술과 미디어가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에서, 문화 전쟁(culture war)의 프론트라인으로서 자신을 위치시키며 정체성 정치(identity politics)의 강화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
🎯 차후 예상되는 미국 변화양상 포인트 : “테크노 정치 + 정체성 문화전쟁 + 탈자유주의적 규제 변화의 시대가 본격화”
✅️ 기술기업과 테크엘리트의 정치적 영향력 확대 👉 피터 틸, 알렉스 카프 등처럼 기술과 알고리즘을 매개로 ‘정치 엘리트’의 역할을 수행하는 인물이 더 많아질 것이며, 국가의 기능 중 일부가 기술 규제, 정보 관리, 감시 및 데이터 거버넌스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정체성 정치의 강화와 문화적 분열 심화
👉 J.D. 밴스와 유사한 인물들이 중심이 되어, ‘무엇이 진짜 미국인가?’라는 정체성 질문이 사회 전반에서 핵심 상수가 될 것입니다. 민족주의, 기독교적 가치, 백인 근본주의 등의 요소들이 자유주의·다문화주의와 본격적으로 경쟁하게 되겠죠.
✅️ 정책방향의 보수적 재편 + 규제 프레임의 변화
👉 규제 완화만이 아니라, 언론과 소셜 미디어, 표현의 자유, 데이터 프라이버시 등에서 국가 통제 또는 가치 중심의 규제가 강화될 수 있습니다.
✅️ 기술 중심의 글로벌 경쟁 심화
👉 미국은 중국, 유럽, 기타 신흥 국가들과의 기술 패권전쟁에서 더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기 위해 AI, 우주, 반도체, 네트워크 인프라 등에 정책적·자본적 집중을 할 것입니다. 또한 비전 있는 민간기술 주체(머스크 등)의 활동이 국가 전략과 맞물리는 형태가 늘어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나래슈즈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