멋쟁이피노님의 프로필 이미지

멋쟁이피노

@meotjaengyipino

+ 팔로우
[저속노화를 위한 습관]

-스트레스관리

-충분한 수면

-빼기 습관 들이기

-명상

-운동으로 예비능 높이기

-공부로 인지 예비능 높이기

-불편함을 즐기기
p157
불편함을 느낄때 비로소 변화가 시작되고 삶의 지평이 넓어진다
p158
저속노화를 위해서는 평생공부하며 머리를 쓰고 즐거움을 발견해야되는데 우리나라의 입시까지만 바짝 공부하는 제도는 이에 역행하는 공부방식이다

-금주

-가처분 시간(나에게 쏟을 수 있는 자기돌봄 시간) 늘리기
p187 쌀 재난국가
p206
우리나라의 일하는 방식이 늙게 만든다(상사의 만족시키기 위한 야근/가짜노동, 일을 위한 일, 멀티테스킹 요구, 보고를 위한 보고서, 회의를 위한 자료, 회의록작성, 현안을 모르는 발언권만 센 윗사람만 말하는 회의, 각종 전화/메일/메신저로 집중 안되는 환경, 긴 노동시간...)
p209
창조적인 집중은 하루 4시간이 한계다
p212
인간의 뇌와 신체는 90분 주기로 각성 수준이 변화함, 90분마다 피로를 느낌

-달리기(움직이는 명상)

-꾸준한 몰입(악기연습)

-글쓰기 = 뇌 근력운동=나를 성장시키는 자기돌봄 활동
p268
글은 생각을 확장시키고, 단단하게 만들어주는 도구다
글을 읽고 쓰는 것은 뇌 성능을 높여주는 좋은 자극이다
우리나라는 읽고쓰는 능력을 내려놓은 뭉툭한 두뇌를 가진 윗분들을 모시게 된다
현대사회의 리더는 그 어느때보다도 더 깨어있는 정신과 명철한 판단력을 요구받고 있다
이제 리더의 역할은 단순한 관리감독을 넘어 창의적 문제 해결과 전략적 통찰의 영역으로 진화하고 있다
p269
나의 뇌 상태를 알고 싶다면 어떤 사안에 대해 글을 써봐라
뇌 썩음 상태에 가장 빠르게 도달하는 방법은 수면박탈과 음주다
뇌 썩음 상태: 복잡한 사안 이해능력 떨어짐, 충동 조절 저하, 쉽게 대노함, 앞뒤가 맞지 않는 의사결정, 끊임없는 자기자랑, 대화 맥락파악 못함, 워드 샐러드
p273
꾸준한 인지활동(독서, 글쓰기) 치매위험 23%감소
신체활동 치매위험 17% 감소
사회활동 치매위험 7%감소

-건강한 식사
p287
통곡물, 채소, 콩류, 올리브유, 과일, 견과류, 생선
붉은고기/설탕/가공식품 줄이기
p289
천천히 먹기

☆ 저속노화를 위한 자기만의 루틴(습관) 만들기
0

멋쟁이피노님의 다른 게시물

멋쟁이피노님의 프로필 이미지

멋쟁이피노

@meotjaengyipino

여기서 알려주는 포트폴리오는 별로..
뒤에 연금 수령 부분만 필요할듯 하다

박곰희 연금 부자 수업

박곰희 지음
인플루엔셜(주) 펴냄

6일 전
0
멋쟁이피노님의 프로필 이미지

멋쟁이피노

@meotjaengyipino

  • 멋쟁이피노님의 AI 투자 전쟁 게시물 이미지

AI 투자 전쟁

송종호 지음
한국경제신문 펴냄

읽었어요
6일 전
0
멋쟁이피노님의 프로필 이미지

멋쟁이피노

@meotjaengyipino

  • 멋쟁이피노님의  게시물 이미지
  • 멋쟁이피노님의  게시물 이미지
  • 멋쟁이피노님의  게시물 이미지
저속노화를 위한다는 더하기 소비는 가속노화 생활습관일 뿐이다
빼기 비소비를 해야 저속노화가 된다

나만의 회복 루틴(골디락스)
<기본>
7시간 이상 자기
자기전 빈속으로
오후 4시 이후 노카페인
술 안먹기(월 1회 맥주 3잔/2캔 까지만)
운동-하루 스쿼트 100개, 플랭크 1분, 주2회 골프 연습
주 1권 독서(시험 합격할때 까지만 월 1권 독서)
월 1개 소품 만들기(퀼트, 패브릭 공예)

<음식>
아침 과일주스(토마토, 당근, 사과 등)
오전 커피한잔👌
점심 간단하게(배 안부르게)
오후 연하게 커피한잔 👌
저녁 자유롭게(과식 금지)

<아침 출근시간 루틴>
운전하며 경제/시사/ 문화 등 유튜브 듣기
사무실 도착하면 들은 내용 생각하고 기록하기

<점심 시간 루틴>
경제신문 읽기
사설/컬럼 중 1개 3줄 요약하기
독서 or 걷기

<퇴근 시간 루틴>
운전하며 경제/시사/ 문화 등 유튜브 듣기
사무실 도착하면 들은 내용 생각하고 기록하기

<자기전-자유롭게>
휴식
독서
명상
스트레칭
6일 전
0

멋쟁이피노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