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부터 강렬한 『시체로 놀지 마 어른들아』는 구라치 준 데뷔 30주년을 기념하는 본격 미스터리 단편집이다. 네 편의 단편은 모두 ‘이상한 시체’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좀비에게 물린 시체, 죽은 자가 산 자를 죽인 듯한 밀실 사건, 여성의 팔이 붙은 남성 시체 등 “이게 말이 되나?” 싶은 설정들이 등장하지만, 작가는 그 비상식을 정교한 논리로 해명하며 ’시체가 왜 그런 상태가 되었는가?‘를 추리의 핵심으로 만든다.
단편들은 각각 다른 세계관을 가지지만, ‘시체의 상태를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진실이 바뀐다는 공통의 논리를 지닌다.
좀비 떼가 등장하는 〈본격 오브 더 리빙 데드〉, 세 명의 범인 후보가 자신이 사람을 죽였는지 상담하는 〈당황한 세 명의 범인 후보〉, 40년 전 밀실 동반 자살 사건을 추적하는 〈그것을 동반 자살이라고 불러야 하는가〉, 그리고 여성의 팔이 붙은 남성 시체가 등장하는 표제작 〈시체로 놀지 마 어른들아〉까지 각각의 트릭이 독립적이면서도 마지막에 하나의 흐름으로 이어진다.
이 퍼즐이 완성되는 순간, 작품 전체의 구조적 묘미가 폭발한다.
시체를 중심에 두었음에도 작품은 전혀 음산하지 않다. 구라치 준 특유의 경쾌한 문체와 위트 덕분에, 공포 대신 기묘한 유머가 흐른다. 그는 시체를 공포의 상징이 아닌 논리의 도구로 삼으며, 엽기와 유머가 공존하는 독특한 세계를 구축한다. 긴장과 웃음이 번갈아 터지는 리듬이 이 작품의 매력이다.
그의 트릭은 황당하지만 놀랍도록 납득된다. “시체를 이렇게까지 활용할 수 있다니!”라는 감탄이 절로 나온다. 말도 안 되는 설정을 논리의 힘으로 가능하게 만드는 것 — 그것이 바로 구라치 준식 미스터리다.
이 책은 단순히 괴이한 시체를 다룬 이야기가 아니라, 불가능한 상황을 논리로 성립시키는 지적 쾌감의 결정체다.
“다음엔 어떤 시체가 나올까?”라는 호기심이 끝까지 이어지고, 마지막엔 모든 조각이 맞물려 완벽한 퍼즐로 완성된다.
기묘하지만 지적이고, 가볍지만 치밀한 상반된 매력이 완벽히 공존하는 작품이었다.
“시체조차 논리의 일부로 만드는, 유머러스하고 치밀한 본격 미스터리의 결정체.”
시체로 놀지 마 어른들아
구라치 준 지음
블루홀식스(블루홀6) 펴냄
읽었어요
0
거짓말 VS 거짓말 VS 거짓말
산속 별장에서 벌어진 추락 사망 사건.
남편은 아내가 나와 아들을 죽이려 했다고,
아내의 수기에는 남편이 나와 아들을 죽이려 한다고,
그리고 아들의 메일엔 엄마와 아빠가 나를 죽이려 한다고 쓰여 있다.
세 사람 중 누가 거짓을 말하고 있을까?
살아남은 단 한 사람, 그리고 사라진 두 사람의 고백이
맞물리며 진실의 윤곽이 서서히 드러난다.
수기, 진술서, 이메일 등 ‘문서’로만 전개되는 독특한 형식의 미스터리.
재판 장면 하나 없이도 법정의 긴장감이 팽팽하게 이어지고,
단 한 줄의 대화문 없이도 흥미진진하게 전개된다.
변호사 출신 작가 미키 아키코의 내공이 느껴지는 작품.
법정 미스터리의 논리와 본격 추리의 정밀함이 절묘하게 맞물린다.
마지막 페이지를 덮고 나면, 작가가 곳곳에 심어둔 위화감이
한순간에 정리되는 짜릿한 쾌감을 맛보게 된다.
처음엔 다소 건조하게 느껴졌지만, 읽을수록
‘문서만으로 진행되는 이야기’의 힘에 놀랐다.
단 한 줄의 대화 없이도 이렇게 심리 묘사가 생생할 수 있을까.
등장인물의 말 한마디 한마디가 곧 ‘증거’처럼 느껴졌고,
나 역시 문장 속 단서를 좇는 기분이었다.
결말의 반전은 요란하지 않지만, 그 담담함이 오히려 오래 남는다.
책을 덮는 순간, 제목의 의미가 완벽히 맞아떨어진다.
읽는 내내 ‘진실’이라는 단어가 얼마나 불안정한 것인지 생각하게 했다.
모두가 자신의 입장에서 진실을 말하지만,
결국 누군가의 진실은 다른 누군가에게는 거짓이 된다.
작가는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 냉정하게 인간의 심리를 해부한다.
그래서 더욱 현실적이고, 그래서 더 서늘하다.
읽고 나면 단순한 추리소설이 아니라
‘인간의 자기합리화와 죄의식’에 대한 이야기로 느껴진다.
패자의 고백
미키 아키코 지음
블루홀식스(블루홀6) 펴냄
읽었어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