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몇 번째인지 까먹은 아무튼 시리즈. 2009-12년쯤 한창 트위터 열심히 하다가 스르르 관심사가 인스타그램으로 옮겨갔었다. 왠지 모를 마이너스러움과 드립력에 밀려 똑 하고 떨어져나온 느낌도 조금은 들었다. 친했던 트친들이 페북으로 옮겨가며 타임라인이 심심해진 것도 컸다. 한때 잠깐 불처럼 즐겼던 썸같은 존재라고나 할까, 그래서 사실 아무튼 시리즈 중에 장바구니에 담아지지 않던 책 중 하나였다. 아무튼 시리즈를 읽을 때마다 듣던 아무튼 팟캐스트의 진행자 ‘오라질년’님이 이 책의 저자라는 것도 알았다. 알았지만 크게 관심은 생기지 않았다. 그저 저자의 말투와 목소리가 막내 시언니와 비슷하다는 생각만 했다. 진짜 소름 돋을 만큼 닮았다. 남편은 모르겠다고 하지만.
그러다 하루는 오랜만에 트위터에 들어가 봤다. 뉴스 트위터나 봇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내가 기억하는 네임드 트위터리안들은 조용해졌지만, 유독 한 명이 남아있었다. 한복을 입은 사람이 팔꿈치로 소주병을 치는 등의 짤로 유명한 자유부인 짤을 프로필에 해뒀던 트위터리안이었다. 오 오랜만이다~ 싶어서 프로필을 눌러 들어가 봤더니 웬걸, 계정 프로필 바이오에 ‘[아무튼, 트위터]를 썼습니다’라고 적혀있는 게 아닌가? 실제로 2011년인가 2012년쯤부터 재밌어서 팔로해놓고 보던 사람인데!! 그때부터 모든 게 짜 맞춰졌다. 아 그 자유부인 짤에 오라질년이라고 쓰여 있었는데! 아 그래서 팟캐스트 진행자 명칭이 오라질년이었구나! 아 세상에! 세상에!! 너무 신기해서 바로 그 순간에 이 책을 장바구니에 넣었다. 그때부터 열심히 트위터를 하시더니 결국 책까지 내셨다. 이야.. 역시 한 가지에 푹 빠지고 볼 일이다. 나처럼 유행에 민감하네 어쩌네 하며 이것저것 건드리는 사람으로서는 절대 닿을 수 없는 저 먼 정거장이다. 책 내용도 약간 트위터답게 정신이 없다. 이미 몇 번 작가님의 팟캐스트를 들어서 그런지 딱 본인 스타일이 드러나게끔 집필했다는 생각이 든다. 뭐라 할까, 조잡한 듯하면서 강력한 한두 방이라고 해야 하나? 이 모든 내용이 트윗 몇 개면 되레 깔끔하게 정리될 수 있는데, 책으로 쓰려고 열심히 늘린 느낌이었다. 얼마 전 페이스트리 과자를 만들었는데, 페이스트리를 만들려면 냉동고에 반죽을 휴지시켰다가 밀대로 몇 번이고 밀고 접고 밀고 접고를 반복해야 한다. 이미 땅땅하게 얼어버린 완고한 반죽놈을 얇게 밀어야 해서 땀이 날 정도로 힘들었다. 아니 얼리래놓고 왜 또 밀라는 거야 짜증 나게~라고 생각했었는데 만들어놓고 보니 그 모든 과정이 잊힐 만큼 만족스러웠다. (맞다. 엄마손파이 만들었다) 약간 그 느낌이다. 짧았어도 될 말을 구태여 늘려 말한 듯하지만 모두 그만한 이유가 있었다는 말이다.
아무튼 시리즈는, 내 기준 전문가가 아닌 사람이 취미로 좋아하는 것에 대해 적었을 때 더 재밌다. 술과 양말처럼. 그게 아니라 집필한 주제와 관련된 분야에서 돈을 벌어 먹고사는 전문가라면 아무래도 재미보다는 전문성이 드러나게 되어있다. 요가와 서재처럼. 트위터는 조금 애매모호하다. 사실 살짝 배신감이 드는 부분도 있다. 트위터를 한창 할 때 나도 남들처럼 재밌는 드립을 치고 싶었는데, 알고 보니 그 드립가들이 전부 작가나 기자나 카피라이터처럼 글을 쓰는 전문가들이었단 말이야?? 와 배신감. 그러니 내가 끼지를 못하지! 라기엔 그저 그만큼 능력의 차이가 드러났던 것뿐이겠지만. 결국 이 책의 저자도 기자였고, 글쓰기의 달인이었고, 트위터까지 잘하는 글쟁이였던 것이다! ~책에 전문성이 가미되었습니다~
책에서 말하듯이 확실히 트위터는 온라인에서 혼잣말하는 느낌이다. 난 실친 몇 명과도 같이 했었기 때문에 완벽하게 솔직한 혼잣말보다는 드립에 더 신경을 썼던 것 같다. 오랜만에 들어가 보니 확실히 트친도 실친도 많이 떠난 상태여서 조금은 마음 편하게 혼잣말을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마음에 몇 개 트윗을 올려봤다. 다시 매일같이 하게 될지는 모르겠다. 아마 아닐 가능성이 크다. 그래도 가끔 혼자 뻘짓하고 싶을 때면 트윗 하나씩 툭툭 던지고 싶은 마음은 크다. 그러니 트잉여가 아니어도 이 마음은 작가님과 동일하다. 항상 거기 있어 줘, 트위터야 아프지 마.
“공을 물고 달려와 던져달라는 시늉을 하면서도 정작 가져가진 말라며 공을 입에서 놓지 않는 개를 닮은 마음들이 가득한 곳.”
3
안나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
빵소금
아무튼 시리즈를 좋아하는데, 재미있는 리뷰인 것 같아용!
2019년 8월 2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