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은 사람
1명
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두꺼운 책
출간일
2025.9.30
페이지
492쪽
상세 정보
중국발 ‘딥시크 쇼크’로 미국의 정책 기조가 바뀌었고, 대한민국 정부는 '인공지능(AI) 3대 강국'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우면서 2030년까지 AI 분야에 100조 원을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국내 AI 생태계는 누가 주도할 것인가? 세계의 권력은 AI로 인해 어떻게 재편되고 있는가? 한국은 이번에야말로 AI 강국이 될 수 있을까?
국내 최고 미래연구기관의 전문가들이 그 어디에서도 볼 수 없었던 수준 높은 분석과 통찰을 전하는 ‘카이스트 미래전략’ 시리즈. 2026년에는 ‘AI 권력’을 주제로 패권 경쟁 속에 변화하고 있는 우리의 경제, 사회, 문화를 한 권으로 정리한다.
상세정보
중국발 ‘딥시크 쇼크’로 미국의 정책 기조가 바뀌었고, 대한민국 정부는 '인공지능(AI) 3대 강국'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우면서 2030년까지 AI 분야에 100조 원을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국내 AI 생태계는 누가 주도할 것인가? 세계의 권력은 AI로 인해 어떻게 재편되고 있는가? 한국은 이번에야말로 AI 강국이 될 수 있을까?
국내 최고 미래연구기관의 전문가들이 그 어디에서도 볼 수 없었던 수준 높은 분석과 통찰을 전하는 ‘카이스트 미래전략’ 시리즈. 2026년에는 ‘AI 권력’을 주제로 패권 경쟁 속에 변화하고 있는 우리의 경제, 사회, 문화를 한 권으로 정리한다.
출판사 책 소개
일자리에서 주권까지 AI가 다시 쓴다!
2026년 카이스트가 주목한 과학기술 메가트렌드
딥시크 충격부터 AI 엘리트까지 미래 ‘AI 권력’ 보고서
★ 미래전망·트렌드 분야 11년 연속 스테디셀러 ★
★ 국내 최고 미래연구기관 & 최다 전문가 참여 ★
세상의 부와 권력은 AI로 재편된다
특이점을 눈앞에 둔 기술과 권력!
딥시크 충격부터 AI 엘리트까지, 미래 AI 권력 보고서
“AI 권력의 시대는 이미 시작되었다. 이제 우리에게 던져진 질문은 이 권력을 어떻게 통제하고 활용할 것인가, 그리고 궁극적으로 AI가 어떤 세계를 만드는 데 기여할 것인가다. 이 질문에 대한 우리의 답변이 미래 세대가 살아갈 세계의 모습을 결정할 것이다.”
AI가 유용한 도구이자 실질적인 무기로 진화하면서 AI 권력의 향방에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중국발 ‘딥시크 쇼크’로 미국의 정책 기조가 바뀌었고, 챗GPT를 개발한 오픈AI는 기술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충분한 안전장치 없이 개발을 서두르다 진통을 겪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인공지능(AI) 3대 강국'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우면서 2030년까지 AI 분야에 100조 원을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국내 AI 생태계는 누가 주도할 것인가? 세계의 권력은 AI로 인해 어떻게 재편되고 있는가? 한국은 이번에야말로 AI 강국이 될 수 있을까?
국내 최고 미래연구기관의 전문가들이 그 어디에서도 볼 수 없었던 수준 높은 분석과 통찰을 전하는 ‘카이스트 미래전략’ 시리즈. 《카이스트 미래전략 2026》은 ‘AI 권력’을 주제로 패권 경쟁 속에 변화하고 있는 우리의 경제, 사회, 문화를 한 권으로 정리한다. 1부에서는 AI가 만들어내는 새로운 권력의 패러다임을 다각도로 살펴본다. 2부에서는 사회, 기술, 환경, 인구, 정치, 경제, 자원 7가지 STEPPER 영역 전문가들의 미래전략이 펼쳐진다. 《카이스트 미래전략 2026》를 통해 기술 혁신에서 권력 혁신으로, AI가 여는 시대의 새 장을 대비할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지금 세계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2026년 카이스트가 주목한 과학기술 메가트렌드
-AI 정치인이 선거에 출마하다
뉴질랜드의 AI 정치인 ‘샘(SAM)'과 일본 지방자치단체장 선거에 출마한 ‘AI 후보’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책을 설계하고, 유권자의 질문에 대응하며, SNS를 통해 피드백을 수집·반영했다. 이들이 더 나아가 공감 능력을 발휘하고 윤리적 판단을 내릴 수 있을까? 그렇더라도 권리도 책임도 없는 AI가 인간 정치인을 대체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미래의 정치는 사람 대 AI의 경쟁이 아니라, AI를 이해하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의 경쟁이 두드러질 것이다.
-‘페이팔 마피아’를 이은 ‘오픈AI 마피아’가 출현하다
일론 머스크는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정부효율부 수장으로 활동했다. 이처럼 직간접적으로 정치에 참여하는 기술 엘리트가 늘고 있다. 20년 전 '페이팔 마피아'에 이어 '오픈AI 마피아'라 불리는 실리콘밸리 출신 혁신가들이 경제 정책을 좌우하고, 정치적 영향력까지 발휘하면서 기대와 우려의 목소리가 동시에 나오고 있다. AI 기술이 언론 형성과 군사 안보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이들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와 견제가 필요하다.
-빅테크들이 데이터 확보 전쟁을 벌이다
데이터는 21세기의 석유로 불릴 정도로 가치 있는 자원이다. 치열한 AI 개발 경쟁으로 고품질 학습 데이터는 빠르게 고갈되고 있다. 구글은 2024년 초 미국 최대 커뮤니티 사이트 레딧과 연간 6,000만 달러 규모 계약을 체결했고, 메타는 사이먼앤슈스터 출판사 인수를 추진하며 데이터 확보에 힘쓰고 있다. 한편 데이터 고갈 문제에 대비해 합성 데이터가 개발되면서 데이터 확보 경쟁은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
-육체를 얻은 AI가 노동을 혁신하다
피지컬 AI는 ‘AI의 실물화’로서 휴머노이드 로봇이나 자율주행차와 같은 물리적 기기에 AI 에이전트가 탑재되는 것이다. 피지컬 AI는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하며, 지치지 않는 지구력과 정확성을 발휘한다. 산업 현장에서 인간이 할 수 없는 일들을 해내고, 일상생활에서도 배달, 이동, 돌봄 등 적극적인 활약을 펼칠 수 있다. 앞으로는 기존의 블루칼라와 화이트칼라를 대체하는 AI '실리콘칼라', 인간과 AI가 융합한 '뉴칼라' 노동자가 등장할 것이다.
-양자컴퓨팅부터 바이오까지, 딥테크가 뜬다
딥테크 스타트업은 최첨단 과학 기술을 활용해 기후 위기, 식량 고갈, 전염병과 같은 전 지구적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비즈니스로 연결한다. 우주개발·바이오·양자 기술과 같은 분야에서 딥테크 유니콘이 연이어 탄생하고 있으며, 미국 스페이스X와 팬데믹을 잠재운 mRNA 백신 개발사가 전형적인 성공 사례로 꼽힌다. 국내에도 퓨리오사AI(AI 전용 반도체 설계), 에스엠랩(배터리 소재 제작), 그래핀스퀘어(세계 최초로 신소재 그래핀 대량 합성 기술 개발) 등의 스타트업이 활동 중이다.
-AI, 환경 파괴의 주범인가, 기후 위기 해결의 실마리인가?
AI는 에너지와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게 돕고, 기후재난을 더 정확히 예측해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건물의 조명이나 냉난방 장비에 AI를 접목하면 전력 사용을 최적화시켜서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다. 하지만 데이터센터의 막대한 전력 수요로 결국 더 많은 탄소가 배출된다. ‘기후를 위한 AI’조차도 어디까지나 지구 생태계의 허용 범위 안에서 작동해야 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STEPPER, 7개 분야의 전망과 통찰
핀테크를 이은 금융 혁신은 무엇인가? 자율주행 시대 도시는 어떻게 바뀌어야 할까? 호모 헌드레드 시대 어떤 항노화 기술에 주목해야 할까? 카이스트의 STEPPER 전략은 우리를 둘러싼 사회(Society), 기술(Technology), 환경(Environment), 인구(Population), 정치(Politics), 경제(Economy), 자원(Resources) 7가지 분야의 현안을 압축적으로 제시한다. 기술 과학에서 사회 정치까지, 7개 분야 전문가의 가장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전망과 통찰을 알 수 있다.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