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와 트리만과

김병호 지음 | 세종마루 펴냄

나와 트리만과 (김병호 소설)

이 책을 읽은 사람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15,000원 10% 13,50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얇은 책

출간일

2025.11.30

페이지

200쪽

상세 정보

삼중가닥 DNA, AI의 지휘, 멸종 이후의 인간을 그리며 ‘인간다움’의 경계를 묻는 철학적 SF다. 과학의 언어를 빌려 존재론의 문장으로 되돌려놓은 이 작품은 “죽음은 끝이 아니라 연결의 또 다른 이름”이라는 명제 아래 생명과 의식, 존재의 의미를 사유한다. 기술이 아닌 ‘존재의 변이’를 주목하며 인간이라는 종의 형식을 다시 짜는 시도를 펼친다.

가상과 현실, 인간과 비인간, 생과 사가 뒤섞인 세계에서 인물들은 기억과 언어, 감정의 형태를 시험한다. 성별과 생식, 죽음이 재구성되는 경계의 순간, 작가는 ‘나’라는 단일한 인칭을 흔들며 새로운 생명의 리듬을 탐색한다. SF의 외피를 두르고 있지만 문학의 심층으로 향하는 이 소설은 존재의 한계와 가능성을 질문한다. 인류가 사라진 뒤에도 우리는 서로를 이해할 수 있을까, 그 물음이 작품의 마지막 울림으로 남는다.

상세 정보 더보기

이 책을 언급한 게시물1

주진숙님의 프로필 이미지

주진숙

@j274870

  • 주진숙님의 나와 트리만과 게시물 이미지

나와 트리만과

김병호 지음
세종마루 펴냄

2시간 전
0
집으로 대여
구매하기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삼중가닥 DNA, AI의 지휘, 멸종 이후의 인간을 그리며 ‘인간다움’의 경계를 묻는 철학적 SF다. 과학의 언어를 빌려 존재론의 문장으로 되돌려놓은 이 작품은 “죽음은 끝이 아니라 연결의 또 다른 이름”이라는 명제 아래 생명과 의식, 존재의 의미를 사유한다. 기술이 아닌 ‘존재의 변이’를 주목하며 인간이라는 종의 형식을 다시 짜는 시도를 펼친다.

가상과 현실, 인간과 비인간, 생과 사가 뒤섞인 세계에서 인물들은 기억과 언어, 감정의 형태를 시험한다. 성별과 생식, 죽음이 재구성되는 경계의 순간, 작가는 ‘나’라는 단일한 인칭을 흔들며 새로운 생명의 리듬을 탐색한다. SF의 외피를 두르고 있지만 문학의 심층으로 향하는 이 소설은 존재의 한계와 가능성을 질문한다. 인류가 사라진 뒤에도 우리는 서로를 이해할 수 있을까, 그 물음이 작품의 마지막 울림으로 남는다.

출판사 책 소개

죽음, 연결, 그 경계에 선 인간과 성(性에) 대한 새로운 정의!
과학과 철학, 현실과 환상을 넘나드는 미스터리 SF 장편소설.

이 소설은 인간이라는 오래된 구조를 다시 짜는, 철학적 실험이자 서정적 선언이다.
삼중가닥의 DNA, AI의 지휘, 그리고 멸종 이후의 인간.
『나와 트리만과』는 과학의 언어를 빌리되, 그 언어를 존재론의 문장으로 되돌려놓는다.
“죽음은 끝이 아니라 연결의 또 다른 이름”이라는 명제 아래, 이 작품은 생명과 의식, 그리고 ‘인간다움’의 마지막 경계를 조용히 뒤흔든다.
현대의 과학소설이 기술의 상상력에 기대는 동안, 『나와 트리만과』는 존재의 감각과 사유의 깊이로 나아간다. AI가 현실을 연출하고 인간이 그 무대 위에서 자신을 바라보는 시대에서 소설의 인물들은 스스로의 기억과 언어, 감정의 형태를 시험한다. 그들의 세계는 가상과 현실, 인간과 비인간, 생과 사가 끊임없이 뒤섞이는 거대한 ‘연결망’이다.
작품이 주목하는 것은 기술이 아니라 존재의 변이다. 성별이 해체되고, 생식이 재구성되며, 죽음이 새롭게 정의되는 그 지점에서 작가는 인간이라는 종의 형식을 재사유한다. ‘나’라는 단일한 인칭이 흔들리고, 생명은 하나의 리듬으로 진동한다.
『나와 트리만과』는 SF의 외피를 두르고 있으나, 그 본질은 철저히 문학적이다. 죽음과 삶, 개체와 집단, 육체와 의식의 경계를 탐색하는 이 소설은 우리가 ‘존재’라고 부르는 것의 한계와 가능성을 질문한다. 그리고 그 질문은 이렇게 바꿔 말할 수도 있다.
“인류가 사라진 뒤에도, 우리는 서로를 이해할 수 있을까?”

과학적 상상력으로 인간 존재를 다시 묻는 철학적 서사!


우리가 알고 있는 인간의 형태가 과연 완성된 진화일까. 『나와 트리만과』는 그 질문에서 출발한다. 소설은 어느 기자의 시선으로 시작되지만, 곧 인간이라는 종 전체를 향한 근본적인 물음으로 확장된다.
작품의 배경에는 삼중가닥 DNA, 인공지능의 개입, 그리고 완전히 새로운 존재의 등장이 있다. ‘트리만’이라 불리는 그들은 성별이 고정되지 않고, 생식이 두 단계로 이루어지며, 세 가닥 DNA를 통해 새로운 생명 방식을 제시한다. 그들의 존재는 성의 고정된 이분법을 넘어선 상상력, 그리고 성·생식·종의 다양성과 인류의 적응력에 대한 급진적인 도전이다.
이러한 상상은 젠더, 생태, 생명공학의 경계를 넘어 인류가 앞으로 어떤 형태로 살아남을 것인가에 대한 예언처럼 읽힌다. 또한, 호텔의 보이지 않는 운영자 ‘칩매니저(AI)’는 현실을 연출하는 지휘자이자 감시자로 등장한다. 그를 통해 소설은 AI가 인간의 주체를 대체해가는 시대의 불안과 유혹을 드러낸다. 보이지 않는 알고리즘이 인간의 감정과 선택을 조율하는 이 세계에서, 인간은 과연 여전히 ‘결정하는 존재’일 수 있을까. 이렇듯 『나와 트리만과』는 기술문명 이후의 세계를 그리고 있지만, 결국 그 핵심은 인간이 무엇으로 구성되는가라는 질문에 있다.
생명과 의식의 구조가 흔들리는 그 경계에서, 작가는 ‘죽음’을 단절이 아닌 연결의 또 다른 형태로 제시한다. 이때의 연결은 단순한 물리적 결합이 아니라, 인간이 타자와 세계를 다시 감각하는 방식에 대한 철학적 재해석이다. 이는 하이데거의 실존, 들뢰즈의 연결적 존재론,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수행성, 그리고 도나 해러웨이의 포스트휴먼 사유가 교차하는 지점에 서 있다.
차가운 과학적 설정 위로, 절제된 문장과 서정적 이미지가 겹치며 인류의 멸종 이후에도 남을 ‘인간다움의 마지막 흔적’을 섬세하게 포착한다. 『나와 트리만과』는 죽음과 연결, 인간과 비인간, 과학과 서정의 경계를 넘나드는 이야기다. 그리고 그 경계의 가장 깊은 곳에서, 우리는 다시 묻게 된다.
“우리가 인간이라 부르는 것은, 과연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더 많은 글을 보고 싶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