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19.1.17
페이지
268쪽
상세 정보
20세기 미국의 그래픽 디자인을 상징하는 인물 폴 랜드. 뉴욕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난 그는 전통적인 가풍 속에서 성장했지만 부모의 기대와는 다르게 상업 예술의 세계로 뛰어들었다. 뉴욕의 프랫인스티튜트와 파슨스디자인스쿨 등에서 디자인을 배운 폴 랜드는 스물셋이라는 젊은 나이에 <에스콰이어>지의 아트디렉터가 된 이후로 20세기 내내 미국의 광고와 그래픽 디자인에 그야말로 지대한 족적을 남겼다. 이 책에서 폴 랜드는 그러한 그의 디자인 인생에서 깨닫게 된 변치 않는 예술의 가치에 대해 역설하고 있다.
이 책 <폴 랜드의 그래픽 디자인 예술>의 원서 <Paul Rand: A Designer's Art>는 1985년에 예일대학교 출판부에서 처음 출간한 책이다. 폴 랜드가 디자이너로서 살아온 자신의 인생을 담은 이 책은 무엇보다도 그가 직접 인쇄소를 섭외하고 교정과 감리를 볼 만큼 완벽을 기한 노작이었다. 그로부터 30여 년이 지난 2016년에 Princeton Architecture Press에서 이 책을 복간했다. 디자인 평론가 스티븐 헬러는 복간본에서 폴 랜드가 생전 남겼던 추억과 일화를 비롯한 후기글을 덧붙였다.
한국에서 기업 디자인이 전성기를 누리던 1997년에 한국어판을 펴낸 안그라픽스도 20여 년 만에 한국어판 복간본을 펴냈다. 스티븐 헬러의 후기글도 함께 실린 2016년판을 번역했다. 번역 초판의 제목이었던 <폴 랜드 : 그래픽 디자인 예술>은 <폴 랜드의 디자인 예술>로 바뀌었으며 C(Classic)시리즈에 포함되었다.
추천 게시물
레리오
@lerio
먹어 보면 알지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미리
@miriju4k
쓰고 싶다 쓰고 싶지 않다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미리
@miriju4k
쓰고 싶다 쓰고 싶지 않다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이런 모임은 어때요?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교직원용)
7월 1일 (화) 오전 12:00 · 무료 · 16 /7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4)
5월 20일 (화) 오전 12:00 · 무료 · 29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5)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28 /180명
정모/행사 [100일] 플라이북 리딩 챌린지 📚
5월 19일 (월) 오전 12:00 · 무료 · 97 /제한 없음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1)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30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3)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33 /180명
.
무료 · 1 /1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6)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29 /180명
독서기록
무료 · 1 /1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2)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30 /180명
상세정보
20세기 미국의 그래픽 디자인을 상징하는 인물 폴 랜드. 뉴욕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난 그는 전통적인 가풍 속에서 성장했지만 부모의 기대와는 다르게 상업 예술의 세계로 뛰어들었다. 뉴욕의 프랫인스티튜트와 파슨스디자인스쿨 등에서 디자인을 배운 폴 랜드는 스물셋이라는 젊은 나이에 <에스콰이어>지의 아트디렉터가 된 이후로 20세기 내내 미국의 광고와 그래픽 디자인에 그야말로 지대한 족적을 남겼다. 이 책에서 폴 랜드는 그러한 그의 디자인 인생에서 깨닫게 된 변치 않는 예술의 가치에 대해 역설하고 있다.
이 책 <폴 랜드의 그래픽 디자인 예술>의 원서 <Paul Rand: A Designer's Art>는 1985년에 예일대학교 출판부에서 처음 출간한 책이다. 폴 랜드가 디자이너로서 살아온 자신의 인생을 담은 이 책은 무엇보다도 그가 직접 인쇄소를 섭외하고 교정과 감리를 볼 만큼 완벽을 기한 노작이었다. 그로부터 30여 년이 지난 2016년에 Princeton Architecture Press에서 이 책을 복간했다. 디자인 평론가 스티븐 헬러는 복간본에서 폴 랜드가 생전 남겼던 추억과 일화를 비롯한 후기글을 덧붙였다.
한국에서 기업 디자인이 전성기를 누리던 1997년에 한국어판을 펴낸 안그라픽스도 20여 년 만에 한국어판 복간본을 펴냈다. 스티븐 헬러의 후기글도 함께 실린 2016년판을 번역했다. 번역 초판의 제목이었던 <폴 랜드 : 그래픽 디자인 예술>은 <폴 랜드의 디자인 예술>로 바뀌었으며 C(Classic)시리즈에 포함되었다.
출판사 책 소개
“나의 디자인이 곧 나의 삶이다.”
미국 그래픽 예술의 선구자 폴 랜드
그래픽 디자이너로서 보낸 40여 년을 돌아보다.
현대 그래픽 디자인을 예술로 끌어올린 폴 랜드
폴 랜드Paul Rand, 1914-1996는 20세기 미국의 그래픽 디자인을 상징하는 인물이다. 뉴욕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난 그는 전통적인 가풍 속에서 성장했지만 부모의 기대와는 다르게 상업 예술의 세계로 뛰어들었다. 뉴욕의 프랫인스티튜트와 파슨스디자인스쿨 등에서 디자인을 배운 폴 랜드는 스물셋이라는 젊은 나이에 《에스콰이어Esquire》지의 아트디렉터가 된 이후로 20세기 내내 미국의 광고와 그래픽 디자인에 그야말로 지대한 족적을 남겼다. 그래픽 디자인을 가히 예술의 경지로 끌어올린 것이다. 이 책 『폴 랜드의 디자인 예술』에서 폴 랜드는 그러한 그의 디자인 인생에서 깨닫게 된 변치 않는 예술의 가치에 대해 역설하고 있다. 그는 특히 1950-1970년대 미국의 경제 성장기에 여러 기업의 아이덴티티인 CI를 디자인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특히 ABC방송국과 IBM, UPI와 같은 회사들의 로고는 50여 년이 지난 지금도 우리의 눈에 낯설지 않다. 특히 1950년대에 처음 개발된 IBM의 경우 지금까지도 기업 디자인의 걸작으로 손꼽힌다. 폴 랜드는 그 이후에도 디자이너는 물론 저술가로서도 왕성한 활동을 이어갔다. 그의 연구서 또는 선언문 형식의 저서들은 티보 칼맨Tibor Kalman은 물론 폴라 쉐어Paula Scher, 브루스 마우Bruce Mau, 스테판 사그마이스터Stefan Sagmeister 등 쟁쟁한 후배 디자이너들에게도 영향을 끼치며 새로운 디자인 저술의 형식을 보여주었다.
변함 없는 디자인 고전 『폴 랜드의 디자인 예술』과
안그라픽스의 Classic 시리즈
이 책 『폴 랜드의 그래픽 디자인 예술』의 원서 『Paul Rand: A Designer's Art』는 1985년에 예일대학교 출판부에서 처음 출간한 책이다. 폴 랜드가 디자이너로서 살아온 자신의 인생을 담은 이 책은 무엇보다도 그가 직접 인쇄소를 섭외하고 교정과 감리를 볼 만큼 완벽을 기한 노작이었다. 그로부터 30여 년이 지난 2016년에 Princeton Architecture Press에서 이 책을 복간했다. 디자인 평론가 스티븐 헬러Steven Heller는 복간본에서 폴 랜드가 생전 남겼던 추억과 일화를 비롯한 후기글을 덧붙였다. 한국에서 기업 디자인이 전성기를 누리던 1997년에 한국어판을 펴낸 안그라픽스도 20여 년 만에 한국어판 복간본을 펴냈다. 스티븐 헬러의 후기글도 함께 실린 2016년판을 번역했다. 번역 초판의 제목이었던 『폴 랜드: 그래픽 디자인 예술』은 『폴 랜드의 디자인 예술』로 바뀌었으며 C(Classic)시리즈에 포함되었다. 안그라픽스의 C시리즈는 그래픽 디자인을 포함한 예술과 건축전반의 고전을 다루는 라인이다. 폴 랜드의 이야기처럼 시간이 흘러도 언제나 유효한 예술의 가치를 담고 있는 고전을 독자들에게 꾸준히 소개하고 있다.
디자인 평론가 스티븐 헬러가 회고하는 폴 랜드
“영원한 현역으로 남은 디자이너”
미국의 디자인 평론가 스티븐 헬러는 폴 랜드의 생전 그를 잘 알고 지낸 사람 중 한 명이다. 그가 기억하는 폴 랜드는 언제나 명료한 시각을 유지하며 왕성하게 활동을 이어가는 디자이너였다. 이 책 『폴 랜드의 디자인 예술』은 이미 커리어 막바지에 쓴 책이었지만 폴 랜드는 책 출간 후 관련된 서평들을 찾아보며 칭찬에는 기뻐하고 비판에는 다소 날카롭게 반론을 제기했다. 스티븐 헬러는 이 책에 대한 기사가 《Book Review》지의 1면에 실린다는 이야기를 듣고 아이처럼 기뻐하던 폴 랜드를 잊을 수 없다고 한다. 적어도 자신의 작업에 있어서만큼은 늘 예민한 감각을 유지하는 디자이너였던 것이다. 결코 남 앞에 나서는 성격이 아닌 그가 제법 능숙하게 청중 앞에서 직접 강연을 하는 모습을 지켜보며 스티븐 헬러는 그의 열정에 자못 놀랐다고 회고한다. 그에게나 우리에게나 폴 랜드는 늘 자신의 '상업 예술'에 자부심을 느끼던 사람으로 기억되고 있다. 우리는 그가 떠난 지금도 그의 디자인을 보고 느끼고 향유한다. 그렇다면 결국 폴 랜드는 여전히 우리 곁에서 활동하고 있는 디자이너가 아닐까.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