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은 사람
38명
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두꺼운 책
출간일
2016.11.30
페이지
424쪽
상세 정보
첫 출간 후 20년이 넘도록 독자들의 사랑을 꾸준히 받아 온 공지영 작가의 대표작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가 새롭게 독자들과 만난다. 여성에 대한 억압과 차별, 그리고 편견 등의 문제를 사회 전반의 문제로 끌어올린 작품으로, 출간 당시 사회적으로 주목을 받으며 페미니즘 논쟁의 중심에 자리하기도 했다.
주인공 혜완이 친구 경혜에게서 영선의 자살 시도 소식을 전화로 전해 듣는 사건으로부터 시작되는 이 소설은, 결혼 후 각자의 삶을 잘 살고 있는 것처럼 보였던 이들이 서로의 삶을 오롯이 알아가면서 점차 드러나는 삶의 정체에 혼란스러워하는 모습으로 사건이 전개된다.
대학 졸업과 동시에 결혼하고 아이를 낳았지만 불의의 사고로 아이를 잃고 이혼한 채 소설가의 삶을 살고 있는 혜완, 아나운서 활동 중 의사와 결혼했으나 남편의 외도로 형식적인 부부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경혜, 세간의 주목을 받는 영화감독의 아내이지만 알코올중독으로 자살 시도라는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영선을 통해 작가는 우리들의 삶이 자기 자신의 기대와 달리 상처투성이가 되는 이유가 어디에 있을까를 추적한다.
이 책을 언급한 게시물6
김나영
@gimnayoungfv4t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김성호
@goldstarsky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뽀사버림
@bp3xkukzh4w8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외 2명이 좋아해요
상세정보
첫 출간 후 20년이 넘도록 독자들의 사랑을 꾸준히 받아 온 공지영 작가의 대표작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가 새롭게 독자들과 만난다. 여성에 대한 억압과 차별, 그리고 편견 등의 문제를 사회 전반의 문제로 끌어올린 작품으로, 출간 당시 사회적으로 주목을 받으며 페미니즘 논쟁의 중심에 자리하기도 했다.
주인공 혜완이 친구 경혜에게서 영선의 자살 시도 소식을 전화로 전해 듣는 사건으로부터 시작되는 이 소설은, 결혼 후 각자의 삶을 잘 살고 있는 것처럼 보였던 이들이 서로의 삶을 오롯이 알아가면서 점차 드러나는 삶의 정체에 혼란스러워하는 모습으로 사건이 전개된다.
대학 졸업과 동시에 결혼하고 아이를 낳았지만 불의의 사고로 아이를 잃고 이혼한 채 소설가의 삶을 살고 있는 혜완, 아나운서 활동 중 의사와 결혼했으나 남편의 외도로 형식적인 부부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경혜, 세간의 주목을 받는 영화감독의 아내이지만 알코올중독으로 자살 시도라는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영선을 통해 작가는 우리들의 삶이 자기 자신의 기대와 달리 상처투성이가 되는 이유가 어디에 있을까를 추적한다.
출판사 책 소개
세상의 모든 딸들이여, 건투를 빈다!
연극, 영화, 뮤지컬로 만들어진 공지영 신드롬의 시작
누군가와 더불어 행복해지고 싶었다면
그 누군가가 다가오기 전에 스스로 행복해질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성적 차별과 억압, 부조리한 현실에 대한 고발을 넘어
주체적이고 행복한 삶의 가능성을 탐색한 작품
첫 출간 후 20년이 넘도록 독자들의 사랑을 꾸준히 받아 온 공지영 작가의 대표작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가 새롭게 독자들과 만난다. 여성에 대한 억압과 차별, 그리고 편견 등의 문제를 사회 전반의 문제로 끌어올린 작품으로, 출간 당시 사회적으로 주목을 받으며 페미니즘 논쟁의 중심에 자리하기도 했다.
주인공 혜완이 친구 경혜에게서 영선의 자살 시도 소식을 전화로 전해 듣는 사건으로부터 시작되는 이 소설은, 결혼 후 각자의 삶을 잘 살고 있는 것처럼 보였던 이들이 서로의 삶을 오롯이 알아가면서 점차 드러나는 삶의 정체에 혼란스러워하는 모습으로 사건이 전개된다. 대학 졸업과 동시에 결혼하고 아이를 낳았지만 불의의 사고로 아이를 잃고 이혼한 채 소설가의 삶을 살고 있는 혜완, 아나운서 활동 중 의사와 결혼했으나 남편의 외도로 형식적인 부부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경혜, 세간의 주목을 받는 영화감독의 아내이지만 알코올중독으로 자살 시도라는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영선을 통해 작가는 우리들의 삶이 자기 자신의 기대와 달리 상처투성이가 되는 이유가 어디에 있을까를 추적한다.
작가는 남자 또는 이 사회가 여자에게 ‘착한 여자’, ‘똑똑한 여자’, ‘능력 있는 여자’의 역할을 동시에 요구한다는 데 집중한다. 그 과정에서 역할을 수행하는 여자도, 그것을 요구하는 남자 스스로도 알지 못한 채 모순된 선택을 하면서 비극적인 상황을 맞게 된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작가가 문제의 원인을 남성에게 전가하는 것은 아니다. “우리의 어머니들은 딸들에게는 자신과 다른 생을 살라고 가르쳤고, 그리고 아들들에게는 아버지와 같은 삶을 살라고 가르쳤지”라는 혜완의 말과 같이, 그것은 특정한 한 사람의 잘못이 아닌, 우리 모두가 함께 고민해야 하는 문제인 것이다. 작가가 이 소설의 주제는 ‘페미니즘’이 아니라 ‘아무도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가르쳐 주지 않은 삶에 대한 이야기’라고 한 것과 그 맥락이 같다.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는 말은 한 인간이 스스로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낼 수 있을 때, 남자 또는 타인, 그리고 세상과의 건강한 관계가 가능할 수 있다는 말과 다르지 않다. 작가는 이 작품을 처음 발표할 당시 이렇게 썼다. “남자들과 대화를 나누고 혹은 격렬하게 싸우며 끝내는 손잡고 함께 걸아가기 위해서 나는 글을 시작했다.”
이 소설이 처음 출간되었을 때도, 그로부터 20년이 훌쩍 넘은 지금도, 그 문제의식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사실을 아무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지금 우리 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남성과 여성을 둘러싼 무수한 논란이 지향해야 하는 방향을 깊이 시사해 주는 작품이다.
등장인물 소개
혜완 _대학 졸업 후 스물셋의 어린 나이에 결혼해 아이를 두었으나 불의의 사고로 아이를 잃은 후 남편과 불화 끝에 이혼한 인물. 아이를 죽게 만들었다는 자책감과 이혼녀라는 사회의 편견을 무릅쓰고 살면서, 새로 다가오는 사랑이 아직은 부담스럽다.
경혜 _대학 때부터 똑 부러지는 성격으로, 졸업 후 당당히 아나운서 시험에 합격하고 의사를 만나 결혼한 인물. 결혼 후 남편의 요청에 따라 일을 그만두고 아이를 키우고 있지만, 겉으로 보이는 화려함과 달리 상처를 안고 있다.
영선 _혜완, 경혜에 비해 좀더 침착하고 여성스럽다고 친구들로부터 평가받는 인물. 결혼 후 남편과 함께 유학을 떠났다가 영화감독으로 성공한 남편과 함께 귀국해 잘 살고 있는 듯이 보였으나, 어느 날 자살을 시도해 친구들을 놀래킨다.
선우 _혜완의 대학동창이자 남자 친구인 인물. 대학시절부터 혜완을 좋아했지만 고백하지 못하고 혜완의 이혼 후에 계속해서 그녀 곁에 머물며 그녀를 사랑하는 인물이다. 혜완의 전남편과는 친구사이이기도 하다.
박 감독 _영선의 남편이자 영화감독으로서 세간의 인정을 받는 인물. 영선의 자살시도 후 만난 혜완에게 자신이 사랑한 여자는 영선뿐이라고 말하지만, 영선과는 끝내 불화한다.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