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공지영 지음
해냄 펴냄
결말은 전개에 비해 몹시 평이하다. 제목에서 드러나듯 홀로 먼저 바로서야 건강한 관계에 이를 수 있다는 흔하고 오래된 깨달음에 이르는 것이다. 소설의 방점이 결말이 아닌 문제제기, 즉 결혼제도와 여성에 대한 부당한 억압, 그를 보여주는 수많은 사건의 나열에 찍혀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는 몇 년 전 흥행한 소설 <82년생 김지영>의 63년생 버전으로 보아도 될 듯하다.
이 소설의 가치에 대해 93년 당시 발문을 쓴 여성학자 유현미씨는 '역사는 뺏고 뺏기는 힘의 대결로 움직여 왔고, 그렇기 때문에 처절함과 피눈물을 원동력으로 삼고 있다'며 '(이 소설이) 모든 것들의 차이를 구별하고, 지적하고, 폭로하는 외침에 가깝다'고 평가했다.
이러한 평이야말로 소설의 가치와 한계를 적나라하게 지적한다. 소설이 시대를 넘어 유의미한 가치를 제대로 던지지 못한 채 1993년 언저리에 고립되고 만 이유는 단지 한 쪽의 억울함만 폭로하고 상대가 겪는 고통은 외면했기 때문이 아닌가.
따라서 오늘날 새 시대를 만들어갈 작가는 망실될 운명이 분명한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로부터 교훈을 얻어야만 한다. 시간의 엄혹한 심판을 넘어 살아남을 소설을 쓰기 위해선 상대를 취사선택하고 일방의 억울함만 호소하는 것으로는 되지 않는다는 걸, 구별과 지적과 폭로를 넘어 공정한 화합과 비판이 있어야 한다는 걸 말이다.
0
김성호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