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달린 절벽에서 손을 뗄 수 있는가?

강신주 지음 | 동녘 펴냄

매달린 절벽에서 손을 뗄 수 있는가? (무문관, 나와 마주 서는 48개의 질문)

이 책을 읽은 사람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19,500원 10% 17,55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두꺼운 책

출간일

2014.6.30

페이지

480쪽

이럴 때 추천!

인생이 재미 없을 때 , 고민이 있을 때 읽으면 좋아요.

#불교 #삶 #인문학 #철학

상세 정보

긴장, 집착, 강박, 부자유에서 벗어나고 싶을 때
어리석었음을 깨닫고, 남은 삶을 달리 살게 될 철학

문이 없는 48개의 관문, 나와 마주 서는 48개의 질문. 무문관이라는 제목은 바로 '문이 없는 관문'이라는 뜻이다. 《무문관》에 실린 48개의 화두가 바로 깨달음에 이르는 48개의 문이 없는 관문인 셈이다. 화두가 상식적인 생각으로 해결할 수 없는 난제라면, 이는 상식을 넘어서야 풀릴 수 있는 문제일 것이다.

그렇다면 상식을 넘어선다는 것은 무엇일까? 바로 자신만의 삶을 영위하는 것, 오직 나이기에 살아 낼 수 있는 삶을 산다는 것이다. 때문에 화두란 상식을 맹목적으로 신뢰하는 사람에게는 역설로 보이지만, 자신만의 삶을 영위하고 있는 사람에게는 너무나 당연하게 풀리는 문제다. 자기만의 삶에 이른 그 사람이 바로 불교에서 말하는 부처다. 그러니 화두란 부처가 되기 위해 반드시 통과해야만 하는 관문인 셈이고, 오직 나만이 통과할 수 있는 문을 찾아야 하기에 문이 없는 관문인 셈이다.

어떤 권위에도 억압받지 않는 자유와 인간에 대한 사랑이야 말로 인문학의 가장 강력한 힘임을 갈파해 온 철학자 강신주와 《무문관》의 만남이 더할 나위 없이 어울리는 이유다. 내가 주인이 되는 데 방해가 된다면 부처마저 “마른 똥 막대기” 취급을 하고, 부처를 만나면 부처를 죽이고 조사를 만나면 조사를 죽여야 한다는 선불교의 정신만큼 인간의 자유와 힘을 긍정하는 사유가 있을까.

나아가 저자는 모든 사람이 주인공으로 자신의 삶을 사는 것, 그래서 들판에 가득 핀 다양한 꽃들처럼 자기만의 향과 색깔로 살아가는 세계가 바로 불교의 이상인 화엄세계라는 것에 주목한다. 그래서인지 선불교에서 자유와 사랑의 정신을 읽어 내는 것뿐 아니라 선불교의 강력한 인문정신을 지금 여기의 독자들에게 더 깊숙이 전달하고자 하는 저자의 마음이 책의 곳곳에 묻어난다.

상세 정보 더보기

이 책을 언급한 게시물6

꽃님의 프로필 이미지

@u4dhzt50zcls

언니의 추천

매달린 절벽에서 손을 뗄 수 있는가?

강신주 지음
동녘 펴냄

읽고싶어요
2020년 12월 18일
0
벨아미님의 프로필 이미지

벨아미

@belami

불교에 대해 너무 많은 몰이해를 하고 있었음을 알게되었다. 가장 술술 읽은 -물론 전부 이해한건 아니지만- 철학서적이랄까.

매달린 절벽에서 손을 뗄 수 있는가?

강신주 지음
동녘 펴냄

👍 동기부여가 필요할 때 추천!
2019년 12월 19일
0
정우진님의 프로필 이미지

정우진

@9wvixhhsjyvb

어느 날 사찰 깃발이 바람에 나부끼고 있었다.
이 광경을 보고 두 스님이 논쟁을 했다. 한 스님
은 "깃발이 움직인다"라고 말하고, 다른 스님은
"바람이 움직인다"라고 주장했다.

서로의 주장만이 오갈 뿐, 논쟁은 결코 해결되지
않는다. 이때 육조 혜능은 말했다.
"바람이 움직이는 것도, 깃발이 움직이는 것도
아닙니다. 그대들의 마음이 움직이고 있을 뿐입니다."
두 스님은 소스라치게 놀랄 수밖에 없었다.

<무문관> 29칙, '비풍비번'



무문관, 나와 마주하는 48개의 질문 / 강신주
***
바람이 불어서 깃발이 거칠게 나부낍니다.
그와 동시에 그걸 바라보는 '그들의 마음'도
바람처럼, 아니 깃발처럼 그렇게 움직이는
겁니다.

만약 그들이 그것을 바라보지 않았다면,
즉, 그것에 '집착'하지 않았다면, 아마도
그들의 마음은 조금도 움직이지 않았을
것입니다.

하지만 마음이란 기본적으로 무언가를 지향
합니다. 그렇기에, 오직 '그들의 마음'만이
움직이고 있던 것은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매달린 절벽에서 손을 뗄 수 있는가?

강신주 지음
동녘 펴냄

2018년 9월 6일
0
대여하기
구매하기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문이 없는 48개의 관문, 나와 마주 서는 48개의 질문. 무문관이라는 제목은 바로 '문이 없는 관문'이라는 뜻이다. 《무문관》에 실린 48개의 화두가 바로 깨달음에 이르는 48개의 문이 없는 관문인 셈이다. 화두가 상식적인 생각으로 해결할 수 없는 난제라면, 이는 상식을 넘어서야 풀릴 수 있는 문제일 것이다.

그렇다면 상식을 넘어선다는 것은 무엇일까? 바로 자신만의 삶을 영위하는 것, 오직 나이기에 살아 낼 수 있는 삶을 산다는 것이다. 때문에 화두란 상식을 맹목적으로 신뢰하는 사람에게는 역설로 보이지만, 자신만의 삶을 영위하고 있는 사람에게는 너무나 당연하게 풀리는 문제다. 자기만의 삶에 이른 그 사람이 바로 불교에서 말하는 부처다. 그러니 화두란 부처가 되기 위해 반드시 통과해야만 하는 관문인 셈이고, 오직 나만이 통과할 수 있는 문을 찾아야 하기에 문이 없는 관문인 셈이다.

어떤 권위에도 억압받지 않는 자유와 인간에 대한 사랑이야 말로 인문학의 가장 강력한 힘임을 갈파해 온 철학자 강신주와 《무문관》의 만남이 더할 나위 없이 어울리는 이유다. 내가 주인이 되는 데 방해가 된다면 부처마저 “마른 똥 막대기” 취급을 하고, 부처를 만나면 부처를 죽이고 조사를 만나면 조사를 죽여야 한다는 선불교의 정신만큼 인간의 자유와 힘을 긍정하는 사유가 있을까.

나아가 저자는 모든 사람이 주인공으로 자신의 삶을 사는 것, 그래서 들판에 가득 핀 다양한 꽃들처럼 자기만의 향과 색깔로 살아가는 세계가 바로 불교의 이상인 화엄세계라는 것에 주목한다. 그래서인지 선불교에서 자유와 사랑의 정신을 읽어 내는 것뿐 아니라 선불교의 강력한 인문정신을 지금 여기의 독자들에게 더 깊숙이 전달하고자 하는 저자의 마음이 책의 곳곳에 묻어난다.

출판사 책 소개

문이 없는 48개의 관문, 나와 마주 서는 48개의 질문!
《무문관》을 뚫어 내며 만나는 인문정신의 극치!

사랑과 자유의 철학자, 강신주가 관통하는 48개의 화두


어느 스님이 “무엇이 달마 대사가 서쪽에서 온 뜻인가요?”라고 묻자, 조주 스님이 대답했다.
“뜰 앞의 잣나무!”
_《무문관》제37칙 정전백수(庭前栢樹)

‘화두’란 상식적인 생각으로는 결코 해결할 일이 없는 딜레마나 역설로 가득 차 있는 난제를 말한다. 무엇이 달마 대사가 서쪽에서 온 뜻이냐는 질문에 설명은커녕 난데없이 “뜰 앞의 잣나무!”라니. 게다가 스님이 고양이를 잡아 죽이고, 어린 동자의 손가락을 잘라 버리는 등 무차별한 폭력까지 난무한다. 이 역설적이고 무차별적인 폭력마저 난무하는 화두라는 이야기는 무엇이란 말인가. 《무문관》은 1228년에 나온 가장 압축적인 화두 모음집으로, 무문 혜개가 48개의 화두를 선별해 해설을 덧붙인 선불교의 대표적인 텍스트다. 무문관(無門關)이라는 제목은 바로 문이 없는 관문(The Gateless Gate)이라는 뜻이다. 제목부터가 고난도의 화두다. 문이 없는 관문이라니, 이 관문은 문이라는 말인가, 아니면 문이 아니라는 말인가? 바로 《무문관》에 실린 48개의 화두가 문이 없는 48개의 관문이다.
화두가 상식적인 생각으로 해결할 수 없는 난제라면, 이는 상식을 넘어서야 풀릴 수 있는 문제일 것이다. 그렇다면 상식을 넘어선다는 것은 무엇일까? 이 지점이 바로 저자가 가장 주목하는 선불교의 핵심적 정신이다. 상식을 넘어선다는 것은 자신만의 삶을 영위하는 것, 오직 나이기에 살아 낼 수 있는 삶을 산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화두란 상식을 맹목적으로 신뢰하는 사람에게는 역설로 보이지만, 자신만의 삶을 영위하고 있는 사람에게는 너무나 당연하게 풀리는 문제다. 그리고 자기만의 삶에 이른 그 사람이 바로 불교에서 말하는 ‘부처’, 즉 깨달은 사람이다. 그러니 화두란 다시 말해 부처가 되기 위해 반드시 통과해야만 하는 관문이고, 그 누구도 아닌 오직 나만이 통과할 수 있는 문을 찾아야 하기에 문이 없는 관문, 즉 무문관인 셈이다.

모두가 주인공으로 자신의 삶을 사는 세계
:매달린 절벽에서 손을 떼고, 백척간두에서 발을 떼라

어떤 권위에도 억압받지 않는 자유와 인간에 대한 사랑이야말로 인문학의 가장 강력한 힘임을 갈파해 온 철학자 강신주와 《무문관》의 만남이 더할 나위 없이 어울리는 이유다. 불교는 누구나 자기 삶의 주인, 즉 부처가 될 수 있다고 긍정하는 사유체계다. 절에서 만난 스님이 우리에게 하는 인사가 무엇인가. “성불하세요.” 부처가 되라는 인사다. 부처의 말을, 스님의 말을 믿고 따르라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깨달음에 이르러 부처가 되라는 것이다. 싯다르타의 마지막 사자후마저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라는 것이 아니었던가. 내가 주인이 되는 데 방해가 된다면 부처마저 “마른 똥 막대기” 취급을 하고, 부처를 만나면 부처를 죽이고 조사를 만나면 조사를 죽여야 한다는 선불교의 정신만큼 인간의 자유와 힘을 긍정하는 사유가 있을까. 저자는 무문관을 뚫어 내는 여정 속에서 우리에게 질문한다. 당신은 주인의 삶을 살고 있느냐고 말이다. 절벽에서 계단이나 사다리에 의존해 절벽에 매달려 있을 것인지, 그 계단과 사다리를 걷어차고 스스로 설 것인지를 말이다.

“무언가에 의존한다는 것, 그건 우리가 그것에 좌지우지된다는 말입니다. 스스로 말하고, 행동하고, 나아가야 합니다. 아무리 도움이 되어도 그것이 외적인 것이라면, 어느 순간 반드시 우리는 그것을 버려야만 합니다. (…) ‘스스로!’ 계단과 사다리로 상징되는 일체의 외적인 것에 의존하지 않고 온몸으로 깨닫지 않는다면, 그건 깨달음일 수도 없는 법이니까요. 깨달음은 스스로 주인으로 삶을 영위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382쪽)

저자는 나아가 무문관의 48개의 관문에서 어떤 외적 권위에도 휘둘리지 않는 자유와 함께 자신만 주인공의 삶을 살아 내는 것이 아니라 타자 역시 주인공의 삶을 살도록 돕는, 타자에 대한 사랑이라는 인문학의 강력한 정신을 발견한다. 바로 선불교의 ‘자리이타(自利利他)’의 정신이다. 그러니까 자신도 이롭게 만들고 타인도 이롭게 만든다는 것이다. 불교의 이상향은 모든 사람이 주인공으로 자신의 삶을 사는 세계, 즉 들판에 핀 다양한 꽃들처럼 자기만의 향과 색깔로 살아가는 세계, 바로 화엄세계다. 때문에 자기만 깨달음에 이르는 것이 아니라 타자의 깨달음을 돕는 것은 깨달은 자에게도 남겨지는 책임이 된다. 그렇기에 백척간두(百尺竿頭), 즉 100척이나 되는 대나무 꼭대기에 힘들게 오른 자도 그 한 발을 떼야 한다고 말하는 선불교의 절절한 외침은 타자에 대한 조건 없는 사랑과 환대에 다름 아니다. 저자는 키에르케고르의 말을 빌려 이렇게 말한다.

“백척간두에 서 있는 것이 ‘자신에 대해 주관적인 것’이라면, 그곳에 발을 떼고 평지로 내려오는 것은 ‘자신에 대해 객관적이게 된 것’을 의미하는 겁니다. 자신에 대해 객관적인 사람은 타인의 주관이나 주체를 의식하는 사람, 즉 타인도 그만의 본래면목으로 세상을 경험한다는 것을 인정하는 사람일 수밖에 없지요. (…)자기만이 주인이 아니라 타인도 주인일 수 있다는 사실을 알기 위해 우리는 스스로 손님의 자세를 취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이렇게 백척간두에서 내려온 사람만이 세계에 자신만이 주인이 아니라, 삶에서 마주치는 모든 타인들이 주인이라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366-367쪽)

우리의 성장을 기다리는 이야기 앞에서

저자는 《무문관》의 48개의 화두를 두고 “우리의 성장을 기다리는 이야기”(292쪽)라고 표현한다. 화두는 깨닫지 못한 사람에게는 역설로 보이지만, 깨달은 사람에게는 역설이 아니라 자명한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물론 여기서의 성장이란, 집착에서 벗어나 자유를 얻는 방향으로 성장, 일반인에서 부처가 되는 방향으로의 성장을 말하는 것이다. 이 책의 역할 또한 마찬가지이다. 이 당혹스러운 48개의 난제들을 통과하며 저자는 우리의 성장을 독려하고 독촉한다. 나이를 먹어 어른이 되었지만 슬프게도 힘과 자유를 갖지는 못한, 그래서 진정한 어른의 삶을 살고 있지 못한 우리가 용기를 갖고 싸워 힘과 자유를 얻어내 단 한 번이라도 어른이 되어 살아보자고 말이다.
그래서인지 선불교에서 자유와 사랑의 정신을 읽어 내는 것뿐 아니라 선불교의 강력한 인문정신을 지금 여기의 독자들에게 더 깊숙이 전달하고자 하는 저자의 마음이 책의 곳곳에 묻어난다. 동서양 철학을 종횡무진하며 인간의 힘과 자유를 긍정하고 타자를 사랑하는 선불교의 인문정신을 길어 올린다. 니체에게서 외적인 권위와 가치평가에서 자유로운 ‘부처’의 모습을, 들뢰즈에게서 ‘본래면목’의 의미를, 사르트르에게서 ‘무아’를, 비트겐슈타인에게서 나가르주나를 읽어 내고 화두에 얽힌 풍성한 에피소드와 불교철학의 핵심적 이론도 함께 버무린다. 기존 《무문관》의 순서도 해체해 새롭게 구성했다. 900여 년 전의 독자들과 지금 여기의 독자들은 다르기 때문이다. 한 사람이라도 더 많은 독자들이 스스로 부처가 되고, 주인으로 삶을 살아 내기를 바라는 간절함의 발로다.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FLYBOOK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지금 앱 다운로드하고
실시간 게시글과 FLYBOOK을 확인해 보세요.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