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06.5.1
페이지
219쪽
상세 정보
영지주의(그노시즘) 외경 중 하나인 '막달라 마리아 복음서'는 2세기경 쓰인 것으로 추정되며, 1896년 이집트에서 발견되었다. 현재 베를린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이 문서는 예수의 연인이라는, "역사상 가장 위험한 소문"에 휘말린 막달라 마리아가 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후 1945년 발견된 '나그함마디 문서'와 함께 초기 기독교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엿볼 수 있게 해주는 문서이기도 하다.
이 책은 콥트어로 되어 있는 막달라 마리아 복음서의 20여쪽에 달하는 전문을 그대로 싣고, 이에 대한 자세한 해설을 들려준다. 철학과 심리학 박사 학위를 가지고 있고 도미니크 수도회와 동방 정교회 사제로도 활동한 지은이가 동서 교단 양쪽의 가르침을 받아들여 이 고문서를 풀어낸다.
해설 부분에서는 기존의 신약성서 정경, 중세 신학 등의 담론을 끌어들여 마리아 복음서를 철학, 종교적으로 해석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이 복음서 역시 다른 복음서들처럼 예수와 주변인물에 대한 역사적 기록이자 동시에 예수로부터 얻은 깨달음의 기록인 때문이다.
복음서에 등장하는 막달라 마리아와 다른 사도들 간의 갈등을 정치적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마리아가 예수 사후에 그의 환영을 여러 번 봤다고 이야기하자, 베드로와 안드레아(정통파)가 마리아(영지주의자)가 스스로 꾸며낸 낯선 관념과 거짓말을 정당화하기 위해 예수를 본 척하는 것이라고 비난하는 장면이 그 예이다.
한편으로 다른 외경들의 묘사를 함께 살펴보면서, 기존 정경에서는 열두 번 밖에 등장하지 않는 막달라 마리아의 모습을 보다 입체적으로 살펴보기도 한다. '창녀'라는 일반의 잘못된 인식을 벗겨내고(성경 속에 그녀를 '창녀'로 묘사하는 부분은 등장하지 않는다고 한다), 성경 속에 등장하는 여성들 중 가장 진취적이고 적극적이었던 막달라 마리아의 모습을 그려낸다.
추천 게시물
김보법
@flow
마키아벨리 한비자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혀누
@banduck2
내가 한 말을 내가 오해하지 않기로 함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고요
@900408
밝은 밤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이런 모임은 어때요?
정모/행사 하루 한 장면 챌린지
5월 20일 (화) 오전 12:00 · 무료 · 8 /제한 없음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4)
5월 20일 (화) 오전 12:00 · 무료 · 31 /180명
엇음이랑 읽겟음
무료 · 171 /제한 없음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3-6)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29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3-5)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29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교직원용)
7월 1일 (화) 오전 12:00 · 무료 · 17 /7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3-3)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30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2-5)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31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2-6)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32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2-3)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33 /180명
상세정보
영지주의(그노시즘) 외경 중 하나인 '막달라 마리아 복음서'는 2세기경 쓰인 것으로 추정되며, 1896년 이집트에서 발견되었다. 현재 베를린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이 문서는 예수의 연인이라는, "역사상 가장 위험한 소문"에 휘말린 막달라 마리아가 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후 1945년 발견된 '나그함마디 문서'와 함께 초기 기독교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엿볼 수 있게 해주는 문서이기도 하다.
이 책은 콥트어로 되어 있는 막달라 마리아 복음서의 20여쪽에 달하는 전문을 그대로 싣고, 이에 대한 자세한 해설을 들려준다. 철학과 심리학 박사 학위를 가지고 있고 도미니크 수도회와 동방 정교회 사제로도 활동한 지은이가 동서 교단 양쪽의 가르침을 받아들여 이 고문서를 풀어낸다.
해설 부분에서는 기존의 신약성서 정경, 중세 신학 등의 담론을 끌어들여 마리아 복음서를 철학, 종교적으로 해석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이 복음서 역시 다른 복음서들처럼 예수와 주변인물에 대한 역사적 기록이자 동시에 예수로부터 얻은 깨달음의 기록인 때문이다.
복음서에 등장하는 막달라 마리아와 다른 사도들 간의 갈등을 정치적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마리아가 예수 사후에 그의 환영을 여러 번 봤다고 이야기하자, 베드로와 안드레아(정통파)가 마리아(영지주의자)가 스스로 꾸며낸 낯선 관념과 거짓말을 정당화하기 위해 예수를 본 척하는 것이라고 비난하는 장면이 그 예이다.
한편으로 다른 외경들의 묘사를 함께 살펴보면서, 기존 정경에서는 열두 번 밖에 등장하지 않는 막달라 마리아의 모습을 보다 입체적으로 살펴보기도 한다. '창녀'라는 일반의 잘못된 인식을 벗겨내고(성경 속에 그녀를 '창녀'로 묘사하는 부분은 등장하지 않는다고 한다), 성경 속에 등장하는 여성들 중 가장 진취적이고 적극적이었던 막달라 마리아의 모습을 그려낸다.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