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10.12.27
페이지
256쪽
상세 정보
세계는 왜 분쟁의 회오리에 휘말려 있는가? 분쟁을 종식시키고 평화를 안착시킬 방안은 없는가? 분쟁이 발생하는 요인은 인종이나 영토, 민족, 종교 등 시간과 공간이 얽히고설킨 다층적이라는 점이 특징이다. <세계의 분쟁>에서는 지구촌 각지에서 발생하고 있는 분쟁의 배경과 원인을 크게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아메리카 권역으로 구분하여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 있다.
특히, 인종·민족·종교·영유권 등과 같은 자국의 권리를 차지하기 위해 ‘분쟁’으로 시작된 각각의 사건들이 사실 그 이면에는 강자와 약자의 논리, 다수와 소수의 논리가 깔려 있는 ‘전쟁’으로 변화되어 가는 과정을 어느 한편의 입장에도 치우치지 않고 객관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또한 각 부마다 첨부된 대륙별 개관 지도는 분쟁 지역의 위치를 입체적으로 알아볼 수 있도록 하였고, 장마다 실린 국가별 분쟁 지역의 상세 지도를 통해서는 자연적·지리적 조건 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책을 읽다 보면 ‘세계의 분쟁’이 가해자와 피해자라는 이분법으로 설명되는 피상적인 상황이 아니라, 역사·정치·문화 등 다층적이고 점층적인 관계에 의해 발생하는 것임을 깨닫게 된다.
추천 게시물
강혜리
@helia
가짜 노동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강혜리
@helia
포노 사피엔스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강혜리
@helia
잘 먹고 잘 싸운다, 캡틴 허니 번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이런 모임은 어때요?
정모/행사 [100일] 플라이북 리딩 챌린지 📚
5월 19일 (월) 오전 12:00 · 무료 · 94 /제한 없음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4)
5월 20일 (화) 오전 12:00 · 무료 · 28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3)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32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2)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28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5)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27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6)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29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1)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29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교직원용)
7월 1일 (화) 오전 12:00 · 무료 · 8 /70명
.
무료 · 1 /1명
정모/행사 주말 독서 챌린지
5월 12일 (월) 오전 12:00 · 무료 · 5 /5명
상세정보
세계는 왜 분쟁의 회오리에 휘말려 있는가? 분쟁을 종식시키고 평화를 안착시킬 방안은 없는가? 분쟁이 발생하는 요인은 인종이나 영토, 민족, 종교 등 시간과 공간이 얽히고설킨 다층적이라는 점이 특징이다. <세계의 분쟁>에서는 지구촌 각지에서 발생하고 있는 분쟁의 배경과 원인을 크게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아메리카 권역으로 구분하여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 있다.
특히, 인종·민족·종교·영유권 등과 같은 자국의 권리를 차지하기 위해 ‘분쟁’으로 시작된 각각의 사건들이 사실 그 이면에는 강자와 약자의 논리, 다수와 소수의 논리가 깔려 있는 ‘전쟁’으로 변화되어 가는 과정을 어느 한편의 입장에도 치우치지 않고 객관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또한 각 부마다 첨부된 대륙별 개관 지도는 분쟁 지역의 위치를 입체적으로 알아볼 수 있도록 하였고, 장마다 실린 국가별 분쟁 지역의 상세 지도를 통해서는 자연적·지리적 조건 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책을 읽다 보면 ‘세계의 분쟁’이 가해자와 피해자라는 이분법으로 설명되는 피상적인 상황이 아니라, 역사·정치·문화 등 다층적이고 점층적인 관계에 의해 발생하는 것임을 깨닫게 된다.
출판사 책 소개
우리 곁의 불편한 진실, 세계는 지금 분쟁 중!
세계는 왜 분쟁의 회오리에 휘말려 있는가?
지구촌 분쟁의 배경과 원인 그리고 진행과정,
분쟁을 종식시키고 평화를 안착시킬 방안은 진정 요원한 것인가?
지구촌 분쟁의 요인, 한마디로 정의하기 어려워…
끝없이 반복되는 폭력 행위, 어떠한 명분으로도 그 정당성을 입증하기 어려운 것
지구촌의 화약고라 불리는 중동의 팔레스타인에서 들려오는 테러와 공습, 보스니아 내전 당시의 인종 청소, 동티모르의 분리 독립 분쟁에 파견된 UN 평화유지군의 활동 등. 연일 인터넷이나 신문, TV 등을 통해 접하는 국제적인 분쟁 소식들은, 현재도 전 세계가 분쟁의 회오리에 휩싸여 있음을 새삼 깨닫게 한다. 세계화된 현 시대 상황에서 들려오는 각지의 분쟁 소식은 우리와는 상관없는 먼 나라의 이야기들이 아니다.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 현지에 대한 파병처럼 멀리 떨어진 나라의 분쟁 상황이 국내의 정치·사회적 현안들과 연관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로 우리가 살고 있는 한반도 또한 북한과의 갈등으로 분쟁을 겪고 있는 상황인지라, 우리네 의지와 상관없이 전 세계의 분쟁 상황에 관심을 가지게 될 수밖에 없다.
단편적으로 보면 ‘분쟁’이라는 주제는 마치 우리들의 일상과 상관없는 듯이 보인다. 그동안 ‘분쟁’이라는 단어는 단지 사전적 의미 그대로 ‘말썽을 일으켜 시끄럽고 복잡하게 다투는 것’으로만 여겨졌던 것 또한 사실이다. 하지만 이 책에서 보듯 ‘분쟁’은 곧 국가 간의 무력 투쟁인 ‘전쟁’으로 그 의미를 확대할 수 있으며, 분쟁의 결말은 그 사회의 무고한 구성원들이 고스란히 겪을 수밖에 없는 것이 된다. 비근한 예로 최근 중국과 일본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조어도(釣漁島)만 해도, 인근 해양의 영유권을 차지하기 위한 두 나라의 ‘분쟁’이라고 해석할 수 있지만, 분쟁 발생의 한 유형인 자원과 영토를 차지하기 위한 대립이 심화되어 무력이 개입된다면 결국 무고한 사람들의 희생이 뒤따르게 될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사실인 것이다. 동티모르의 산타크루즈 대학살이나 발칸 반도 세르비아의 코소보 사태, 르완다에서 일어난 투치족과 후투족의 대립을 그저 흔한 다툼으로만 볼 수 없는 것은, 결국 분쟁이 곧 전쟁을 의미하는 것임을 새삼 일깨워 주기 때문이다.
분쟁이 발생하는 요인은 인종이나 영토, 민족, 종교 등 시간과 공간이 얽히고설킨 다층적이라는 점이 특징이다. 따라서 지구촌 곳곳에서 발생하는 여러 종류의 분쟁과 갈등을 하나의 요인으로 설명하거나 분류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일 뿐더러, 의미 없는 일이기도 하다. 어쨌거나 민족 분쟁, 종교 분쟁, 영유권 분쟁 등 그 어떤 종류의 분쟁일지라도 그 표출 방법이 테러나 전쟁으로 점철되는 이상, 정의를 위한 다툼은 없는 것이고 또한 어떠한 논리로도 정당화될 수가 없다. 이는 민족의 독립을 위하여 목숨을 바친 숭고함이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른 무력 투쟁으로 변질되기 십상이며, 그에 따른 무모한 희생만이 있을 뿐이라는 사실을 전 세계의 각종 분쟁에서 우리는 여실히 보았기 때문이다.
수십 개의 입체적인 지도와 사진과 도표, 한눈에 살펴보는 세계의 분쟁 양상
지구촌 구성원의 일원으로 분쟁 지역에 대한 해결 방안 함께 고민하는 시간이 되기를…
이번에 발간된 “세계의 분쟁”은 지구촌 각지에서 발생하고 있는 분쟁의 배경과 원인을 크게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아메리카 권역으로 구분하여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점이 눈에 돋보인다. 특히, 인종·민족·종교·영유권 등과 같은 자국의 권리를 차지하기 위해 ‘분쟁’으로 시작된 각각의 사건들이 사실 그 이면에는 강자와 약자의 논리, 다수와 소수의 논리가 깔려 있는 ‘전쟁’으로 변화되어 가는 과정을 어느 한편의 입장에도 치우치지 않고 객관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또한 각 부마다 첨부된 대륙별 개관 지도는 분쟁 지역의 위치를 입체적으로 알아볼 수 있도록 하였고, 장마다 실린 국가별 분쟁 지역의 상세 지도를 통해서는 자연적·지리적 조건 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뿐만 아니라 각지에서 벌어진 실제 분쟁을 테마로 한 영화와 책을 소개함으로써 분쟁 지역 사람들의 삶을 좀 더 구체적이면서도 피부에 와 닿을 수 있게 배치한 점도 눈에 띈다.
이 책의 구성을 따라가다 보면 ‘세계의 분쟁’이 가해자와 피해자라는 이분법으로 설명되는 피상적인 상황이 아니라, 역사·정치·문화 등 다층적이고 점층적인 관계에 의해 발생하는 것임을 깨닫게 된다. 아울러 평범한 일상을 꿈꾸며 살아가고 있는 지구촌 구성원들의 한 일원으로서 분쟁 지역을 바라보고 또한 분쟁과 전쟁의 무자비함에 대해 단지 감상적으로 안타까워하고 마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서 분쟁의 배경과 해결책을 함께 고민하는 자신을 볼 수 있게 될 것이다.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